有 狐 (유호) : 여우 주(周)나라 무왕(武王)은 은(殷)나라를멸(灭)한 뒤 그 땅을 패(邶), 용(鄘), 위(衛)로 가르고 다스리다가 자손대(子孙代)에 이르러위(衛)로 통합하여 불렀다. 有狐表题 ( 題 )国 ( 國 )副题 ( 題 )衛있을 유여우 호겉 표제목 제나라 국버금 부제목 제지킬 위风 ( 風 )衛国 ( 國 )风 ( 風 )诗 ( 詩 )武王殷바람 풍지킬 위나라 국바람 풍시 시호반 무임금 왕은나라 은灭 ( 滅 )鄘子孙 ( 孫 )代婚期 다할 멸나라 이름 용아들 자손자 손대신할 대혼인할 혼기약할 기 기수(淇水)라는 강가에서 여유롭게 거니는여우의 모습과 옷이 없어 제대로 갖춰 입지못한 사람에 대한 안타까움, 어려운 처지에 놓인 사람에 대한 연민을 표현했으며 짝을 그리워하는 외로운 마음이나 사랑하는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