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경(诗经)16 古代 中国 南方 地域 民谣 越人歌(고대 중국 남방 지역 민요 월인가) : 월나라 사람의 입으로 전해지는 노래. 越 人 歌 (월인가) : 월나라 사람의 입으로 전해지는 노래. 古代中国 ( 國 )南方地域民谣 ( 謠 )옛 고대신할 대가운데 중나라 국남녘 남모 방땅 지지경 역백성 민노래 요越人歌楚鄂 君子 넘을 월사람 인노래 가초나라 초나라 이름악임금 군아들 자 춘추시대의 초(楚)나라 왕자인 악군자석(鄂君子晳)이배를 타고 유람할 때 노를 젓던 월(越)나라 사람이 부른노래로 전해지며 월나라 말로 불렀기 때문에 그 뜻을알 수 없었으나 초나라 사람에게 번역되었다고 한다. 신분이 낮은 월나라 뱃사공이 초나라의 왕자를 만나연정을 품게 된 마음을 노래한 것으로 노래는 한 여인이 왕자와 함께 배를 타게 된 기쁨과 설렘, 그리고 그를 향한 은밀한 사랑을 표현하고 있으며 비록 신분이 달라 감히 표현하지 못하지만 마음속 깊이 왕자를.. 2025. 5. 5. 有狐(유호) : 表题(표제)는国风(국풍 : 제나라)이고 副题(부제)는 衛风(위풍)으로 衛国(위나라)에서 내려온 风诗(풍시 : 바람에 전해지는 민가 노래 시) : 여우 有 狐 (유호) : 여우 주(周)나라 무왕(武王)은 은(殷)나라를멸(灭)한 뒤 그 땅을 패(邶), 용(鄘), 위(衛)로 가르고 다스리다가 자손대(子孙代)에 이르러위(衛)로 통합하여 불렀다. 有狐表题 ( 題 )国 ( 國 )副题 ( 題 )衛있을 유여우 호겉 표제목 제나라 국버금 부제목 제지킬 위风 ( 風 )衛国 ( 國 )风 ( 風 )诗 ( 詩 )武王殷바람 풍지킬 위나라 국바람 풍시 시호반 무임금 왕은나라 은灭 ( 滅 )鄘子孙 ( 孫 )代婚期 다할 멸나라 이름 용아들 자손자 손대신할 대혼인할 혼기약할 기 기수(淇水)라는 강가에서 여유롭게 거니는여우의 모습과 옷이 없어 제대로 갖춰 입지못한 사람에 대한 안타까움, 어려운 처지에 놓인 사람에 대한 연민을 표현했으며 짝을 그리워하는 외로운 마음이나 사랑하는 사람.. 2025. 4. 23. 月出(월출) : 表题(표제)는 国风(국풍 : 제나라)이며 副题(부제)는 陈风(진풍)이다. 陈(진)나라는 禹贡(우공) 予州(여주)의 동쪽에 위치한 小国(소국)으로 民间(민간)에서 전해 내려온 歌谣(가요)로써 风诗(풍시)라고한다 : 달이 떴네. 月 出 (월출) :달이 떴네. 月出表题 ( 題 )国 ( 國 )风 ( 風 )副题 ( 題 )달 월날 출겉 표제목 제나라 국바람 풍버금 부제목 제阵 ( 陳 )风 ( 風 )禹贡 ( 貢 )予州小国 ( 國 )베풀 진바람 풍하우씨 우바칠 공나 여고을 주작을 소나라 국民间 ( 間 )歌谣 ( 謠 )风 ( 風 )诗 ( 詩 ) 백성 민사이 간노래 가노래 요바람 풍시 시 아름다운 여인을 그리워하는 남자의 애절한 마음을 달빛에 빗대어 쓴 시로 달빛 아래 더욱 아름답게 빛나는 여인의 모습을 보며 깊고 간절한 그리움과 밝은 달을 쳐다보며 여인을 생각하는 노래이지만 벼슬하는 사람들이 덕(德)을 좋아하지 않고 미색(美色)을 좋아함을 풍자한 것이다. 月 出 皎 兮 ( 월출교혜 ) : 달이 떴네, 맑은 그 빛 ! 佼 人 僚 兮 (.. 2025. 4. 21. 蝃蝀(체동) : 表题(표제)는国风(국풍 : 제나라)이고 副题(부제)는 鄘风(용풍 : 周朝(주나라시대)河南省 淇县 东北(하남성 기현 동북)에 위치했던 衛国(위나라)에서 내려온 风诗(풍시 : 바람에 전해지는 민가 노래 시) : 무지개 蝃 蝀(체동) : 무지개주(周)나라 무왕(武王)은 은(殷)나라를멸(灭)한 뒤 그 땅을 패(邶), 용(鄘), 위(衛)로 가르고 다스리다가 자손대(子孙代)에 이르러위(衛)로 통합하여 불렀다. 무지개는 여자가 구혼(求婚)을 거절하는 노래로또한, 무지개는 수절(守节)하는 과부의 비유로서아무리 예뻐도 건드리지 않는다는 뜻이기도 하다. 蝃 ( 䗖 )蝀表题 ( 題 )国 ( 國 )风 ( 風 )副题 ( 題 )무지개 체무지개 동겉 표제목 제나라 국바람 풍버금 부제목 제鄘风 ( 風 )周朝河南省 나라이름 용바람 풍두루 주아침 조물 하남녘 남살필 성 淇县 ( 縣 )东 ( 東 )北衛国 ( 國 )风 ( 風 )诗 ( 詩 )물이름 기고을 현동녘 동북녘 북지킬 위나라 국바람 풍시 시武王殷灭 ( 滅 ) 鄘 子孙 ( 孫 )代굳셀 무임금 왕.. 2025. 2. 5. 静女(정녀) : 表题(표제)는 邶风(패풍 : 周朝(주나라시대)河南省 淇县 东北(하남성 기현 동북)에 위치했던 衛国(위나라)에서 내려온 风诗(풍시 : 바람에 전해지는 민가 노래 시) : 귀여운 아가씨 静女(정녀) : 귀여운 아가씨주(周)나라 무왕(武王)은 은(殷)나라를멸(灭)한 뒤 그 땅을 패(邶), 용(鄘), 위(衛)로 가르고 다스리다가 자손대(子孙代)에 이르러위(衛)로 통합하여 불렀다. 衛(위)나라 제후가 无道(무도)하고 부인이无德(무덕)함을 讽刺(풍자)한 것으로남자는 약속 장소에서 아름다운 아가씨를기다리고 있다. 그런데 아가씨가 얼른 오지않아 마음을 졸이고 아가씨가 준 사랑의 선물을보고 더욱 연정(恋情)을 불태우면서 애를 태운다. 静 ( 靜 )女表题 ( 題 )邶风 ( 風 )周朝고요할 정여자 녀겉 표제목 제나라이름 패바람 풍두루 주아침 조河南省淇县 ( 縣 )东 ( 東 )北 물 하남녘 남살필 성물이름 기고을 현동녘 동북녘 북 衛国 ( 國 )风 ( 風 )诗 ( 詩 )武王殷灭 ( 滅 )지킬 위나라 국.. 2025. 2. 4. 式微(식미) : 表题(표제)는 邶风(패풍 : 周朝(주나라시대)河南省 淇县 东北(하남성 기현 동북)에 위치했던 衛国(위나라)에서 내려온 风诗(풍시 : 바람에 전해지는 민가 노래 시) : 날로 여위면서 式微(식미) : 날로 여위면서주(周)나라 무왕(武王)은 은(殷)나라를멸(灭)한 뒤 그 땅을 패(邶), 용(鄘), 위(衛)로 가르고 다스리다가 자손대(子孙代)에 이르러위(衛)로 통합하여 불렀다. 黎(여)나라 제후가 狄人(적인)의 습격을 받아 衛(위)나라에 머물러 있었는데 그의 신하들이 归国(귀국)을 권하면서 매우 어려운 처지에 빠지게 되고 이에돌아가지 못하는데 그것이 임 때문이라는 슬픈 이야기이다. 式微表题 ( 題 )邶风 ( 風 )周朝법 식작을 미겉 표제목 제나라이름 패바람 풍두루 주아침 조河南省淇县 ( 縣 )东 ( 東 )北 물 하남녘 남살필 성물이름 기고을 현동녘 동북녘 북 衛国 ( 國 )风 ( 風 )诗 ( 詩 )周武王殷지킬 위나라 국바람 풍시 시두루 주굳셀 무임금 왕은나라 은邶鄘衛子孙 ( 孫 )代 .. 2025. 2. 3.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