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96 老子的 道德经 二章(노자의 도덕경 이장) : 노자의 도와 덕에 대한 가르침을 담은 경전으로 이장은 상대적 가치와 무위를 이야기하다. 道 德 经 二 章 (도덕경 이장) 노자의 도와 덕에 대한 가르침을 담은 경전으로 이장은 상대적 가치와 무위를 이야기하다. 세상의 모든 가치 판단이 상대적으로 사람이 아름답다고 인식하는 것이 실은 추함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선하다고 여기는 것 또한 불선함과 맞닿아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대성은 유(有)와 무(無), 난(難)과 이(易), 장(長)과 단(短) 등 세상의 다양한 대립되는 개념들이서로 의존하며 존재한다는 이치를 통해 설명되고 있으며높음이 있기에 낮음이 있고 있음이 있기에 없음을 인식할 수 있는 것처럼 모든 것은 상호 관계 속에서 그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성인은 이러한 이치를 깨닫고 인위적인 행위를 지양하는 무위(無爲)의 삶을 살아가며 만물이 스스로 생겨나고 변화하는 것을 거스르.. 2025. 4. 27. 老子的 道德经 一章(노자의 도덕경 일장) : 노자의 도와 덕에 대한 가르침을 담은 경전으로 일장은 우주의 근본 원리와 그것이 인간에게 드러나는 덕성을 이야기하다. 道 德 经 一 章 (도덕경 일장) :우주의 근본 원리와 그것이 인간에게 드러나는 덕성을 이야기하다. 이 구절은 도(道)라는 것이 이름을 붙일 수 있는 것과 이름을 붙일 수 없는 두 가지 측면을 가지고 있으며 이 두 측면이 우주의 근원임을 이야기하는 것이며 도의 근원적인 불가사의(不可思議)함과 만물의 생성 원리를 설명하며 욕심 없는 마음으로 세상을 관찰할 때 더 깊은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道 可 道 非 常 道 ( 도가도비상도 ) :말로 표현할 수 있는 도는 항상 변하는 도이며 名 可 名 非 常 名 ( 명가명비상명 ) :이름 붙일 수 있는 이름은 항상 변하는 이름이다. 无 名 天 地 之 始 ( 무명천지지시 ) :이름이 없는 것은 천지(天地)의 시작이며 有 名 万 物 之 母 ( 유명만.. 2025. 4. 26. 日帝强占末期 诗人 兼 敎育者 徐廷柱的 鞦千词 - 中国语 Version(일제강점말기 시인 겸 교육자 서정주의 추천사 - 중국어 버전) : 춘향이가 그네 타며 부르는 노래. 鞦 千 词(추천사) :춘향이가 그네 타며 부르는 노래. 日帝强占末期诗 ( 詩 )人兼敎날 일임금 제강할 강점령할 점끝 말기약할 기시 시사람 인겸할 겸가르칠 교育者徐 廷柱的鞦千 ( 韆 )词 ( 詞 )기를 육놈 자천천히 할 서조정 정기둥 주과녁 적밀치끈 추그네 천말씀 사 5월 단옷날 춘향이가 푸른 나무 사이로 그네 뛰던 모습을 처음 본 이 도령이 사랑을느끼던 그 장면을 모티브(motive)한 것으로춘향전의 춘향이가 그네를 타고 하늘을 향해날아오르듯 춘향과 이 도령의 한국의 고전이야기를 다룬 사랑을 표현한 시(诗)이다. 香 丹 啊 ( 향단아 ) :향단(香丹)아, 推 一 下 那 秋 千 的 绳 索( 추일하나추천적승삭 ) :그넷줄을 밀어라. 就 像 把 船 推 向 遥 远 的 大 海 一 样(취상파선추향요원적대해일양 .. 2025. 4. 25. 中国 元朝时代 诗人 杨果的 曲牌 小桃红 / 采莲女(중국 원나라 시대 시인 장과의 곡패 소도홍 / 채련녀) : 뺨에 홍조 띤 여인이 연꽃을 따네. 小 桃 红 / 采 莲 女(소도홍 / 채련녀 ) :뺨에 홍조 띤 여인이 연꽃을 따네. 원곡(元曲) : 중국 원나라 시대의 대중적인(유행한)가사를 지칭한다. 곡패(曲牌) : 중국 전통 음악에서 사용되는 고정된 선율 즉 곡조의 명칭을 뜻하며 "명시된 곡조" 또는"표시된 멜로디"로 해석될 수 있다. 中国 ( 國 )元朝时 ( 時 )代诗 ( 詩 )人杨 ( 楊 )가운데 중나라 국으뜸 원아침 조때 시대신할 대시 시사람 인버들 양果曲牌小桃红 ( 紅 )采莲 ( 蓮 )女실과 과굽을 곡패 패작을 소복숭아 도붉을 홍캘 채연꽃 련여자 녀 아름다운 풍경 속에서 여인의 애틋한 마음과 잔잔한 호수 위에 드리운 옅은 안개와 희미한 달빛, 인적 없는 배 위에서 홀로 노래하는 아름다운 여인의 모습과 처음 만났던 순간을 그리하며 헤어진 후.. 2025. 4. 24. 有狐(유호) : 表题(표제)는国风(국풍 : 제나라)이고 副题(부제)는 衛风(위풍)으로 衛国(위나라)에서 내려온 风诗(풍시 : 바람에 전해지는 민가 노래 시) : 여우 有 狐 (유호) : 여우 주(周)나라 무왕(武王)은 은(殷)나라를멸(灭)한 뒤 그 땅을 패(邶), 용(鄘), 위(衛)로 가르고 다스리다가 자손대(子孙代)에 이르러위(衛)로 통합하여 불렀다. 有狐表题 ( 題 )国 ( 國 )副题 ( 題 )衛있을 유여우 호겉 표제목 제나라 국버금 부제목 제지킬 위风 ( 風 )衛国 ( 國 )风 ( 風 )诗 ( 詩 )武王殷바람 풍지킬 위나라 국바람 풍시 시호반 무임금 왕은나라 은灭 ( 滅 )鄘子孙 ( 孫 )代婚期 다할 멸나라 이름 용아들 자손자 손대신할 대혼인할 혼기약할 기 기수(淇水)라는 강가에서 여유롭게 거니는여우의 모습과 옷이 없어 제대로 갖춰 입지못한 사람에 대한 안타까움, 어려운 처지에 놓인 사람에 대한 연민을 표현했으며 짝을 그리워하는 외로운 마음이나 사랑하는 사람.. 2025. 4. 23. tvtort dome 音乐 现在(티브트롯 데모 음악 현재) : 이제는 现 在 (현재) : 이제는音乐 ( 樂 )现 ( 現 )在未知소리 음노래 악나타날 현있을 재아닐 미알 지 dome(데모) : 샘플 음원을 녹음한 노래로demonstration(데몬스테이션)의 준말이며작곡자와 연주가가 음악의 개요를 알리기 위해만든 곡을 가리키는 말로 가수는 미지(未知)이며 AI 노래인 듯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rg41a5wypSo&pp=ygUJ7J207KCc64qU0gcJCX4JAYcqIYzv 이제는 슬퍼하지 않으리아파하지도 않으리하늘을 보면그것은 모두 나의 것두 팔을 벌리면스며드는 바람이나를 감싸 주고마음을 열면 언제나사랑하는 이의 그림자는꿈결처럼 찾아오는데하지만 사랑한단 이 마음을전하고 픈데다가설 수 없는 이 마음이너무 안타까워밤하늘의 별이.. 2025. 4. 22. 이전 1 2 3 4 ··· 6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