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2025/03

论语 : 子曰 何以報德고 以直報怨이요 以德報德이니라(논어 : 자왈 하이보덕고 이직보원이요 이덕보덕이니라) : 무엇으로 은덕을 갚겠는가. 정직으로 원한을 갚고 은덕은 덕으로 갚는 것이다. 子 曰 (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何 以 報 德 고 (하이보덕)고무엇으로 은덕을 갚겠는가. 以 直 報 怨 이요 (이직보원)이요정직으로 원한을 갚고 以 德 報 德 이니라 (이덕보덕)이니라 :은덕은 덕으로 갚는 것이다. 덕에는 무엇으로 갚겠는가.곧은 정직함으로써 원한을 갚고덕으로써 덕을 갚는 것이다. 论 (論)语 (語)子曰何以報 (报)德논할 론말씀 어아들 자가로 왈어찌 하써 이갚을 보클 덕以直報 (报)怨以德報 (报)德써 이곧을 직갚을 보원망할 원써 이클 덕갚을 보클 덕하이(何以)무엇으로이직(以直)바름으로이덕(以德)덕으로 보덕(報德)덕을 갚는가보원(報怨)원한을 갚고보덕(報德)덕으로 갚는다. 어떤 사람이 " 원한에는 덕으로 갚으라고말하고 있지만 어떻습니까? " 하고 잘문한데대한 공자의 답변이다.노자는 .. 더보기
论语 : 孔子曰 驥는不稱其力이라 稱其德也니라(자왈 기는 불칭깅력이라 칭기덕야니라) : 천리마는 그 힘을 일컬음이 아니라 그 덕을 일컬은 것이다. 孔 子 曰 (공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驥 는 (기)는 :천리마는 不 稱 其 力 이라(불칭기력)이라 :그 힘을 칭송하는 것이 아니라 稱 其 德 也 니라 (칭기덕야)니라 :덕을 일컬은 것이다. 공정하고 남을 넓게 이해하고받아 들이는 마음이나 행동. 论 (論)语 (語)孔子曰驥 (骥)不논할 론말씀 어공자 왈아들 자가로 왈천리마 기아닐 불稱 (称)其力稱 (称)其德也일컬을 칭그 기힘 력일컬을 칭그 기클 덕어조사 야기(驥)하루에 천리를 달린다는 명마를 일컬음기력(其力)그 힘을 불칭(不稱)칭송하는 것이 아니라칭기덕야(稱其德也)그 덕을 칭찬하는 것이다. 말을 예로 든 것은 비유이다.실제로는 인간에 대해 말하려는 뜻이 담겨 있다.인간에게는 재능이나 역량이 필요하다.그러나 근본적으로 갖추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은그 .. 더보기
中国 汉朝时代 初代 皇帝 刘邦 《后宫 戚夫人》 永歌行(중국 한나라 시대 초대 황제 유방 《후궁 척부인》 영가행) : 영원한 노래《영원히 기억될 노래 永歌行 (영가행) :영원한 노래《영원히 기억될 노래) 中国 (國)汉 (漢)朝时 (時)代初代가운데 중나라 국한나라 한아침 조때 시대신할 대처음 초대신할 대皇帝刘 (劉)邦后 (後)宫 (宮)戚夫임금 왕임금 제죽일 류나라 방뒤 후집 궁친척 척지아비 부人的永歌行 汉 (漢) 高祖사람 인과녁 적길 영노래 가다닐 행한나라 한높을 고조상 조척부인(戚夫人)척부인은 중국 전한(前汉) 고조(高朝) 유방(刘邦)의 총애를 받던 후궁(后宫) 한고조(汉高祖) 유방의 총애를 받았던 후궁으로 척부인이 아들 유여의(赵王 : 조왕)의 안위를 걱정하며 지은 노래로 어머니의 애절한 마음과 권력 다툼의 비정함이 담겨 있으며 척부인은 유방이 죽은 후 그의 아내였던 여태후(吕太后)에 의해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고 아들과의 이별에 대한 슬픔을 표현.. 더보기
中国 明朝时代 第十四代 皇帝 万历帝 《后宫 郑贵妃》 蝶恋花(중국 명나라 시대 제14대 황제 만력제 《후궁 정귀비》 접련화) : 나비가 꽃을 그리워하네 蝶恋花 (접련화) :나비가 꽃을 그리워하네 中国 (國)明朝时 (時)代第十가운데 중나라 국밝을 명아침 조때 시대신할 대차례 제열 십四皇帝万 (萬)历 (歷)帝后 (後)宫 (宮)넉 사임금 왕임금 제일만 만지날 력임금 제뒤 후집 궁郑 (鄭)贵 (貴)妃的蝶恋 (戀)花 나라 이름 정귀할 귀왕비 비과녁 적나비 접그리워할 련꽃 화 정귀비의 삶을 묘사한 시로 그녀의아름다움과 총애를 받았던 삶 그리고정치적 암투 속에서 겪었던 고뇌를 담고있으며 정귀비는 만력제의 총애를 믿고권세를 휘둘렀지만 결국 태자 책봉 문제로인해 몰락했고 그녀의 삶은 중국 역사 속에서 권력과 암투 그리고 여인의 슬픈 운명을 표현했다. 花 落 花 开 春 又 去 (화락화개춘우거) :꽃지고 피니 봄은 또다시 가는데 独 自 凭 栏 情 难 诉 (독자빙란정난.. 더보기
论语 : 孔子曰 上好禮이면 則民易使夜니라(공자왈 상호례이면 즉민이사야니라) : 윗사람이 예의를 좋하하면 백성들은 부리기 쉽다. 孔 子 曰 (공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上 好 禮 이면 (상호례)이면 :윗 사람이 예의를 좋아하면 則 民 易 使 夜 니라 (즉민이사야)니라 :백성들은 부리기 쉽다. 윗 사람이 예의를 좋아하면백성들은 부리기가 쉬워진다. 论 (論)语 (語)孔子曰上好논할 론말씀 어구멍 공아들 자가로 왈윗 상좋을 호禮 (礼)則 (则)民易使也 예도 례곧 즉백성 민쉬울 이부릴 사어조사 야 위정자가 예의를 잘 지키면 그 지배하에 있는백성도 저절로 온순해진다.따라서 다스리기가용이하다. 이것이 공자의 사고방식이다. 기업에 비유해서 말하면 위에 있는 사람이 예의바르게 행동하면 사원들도 모두 공손해지고분에 맞춰서 행동하기 때문에 회사 운영이용이하다. 즉 사원을 뜻대로 일을 시키려면위에 있는 자가 예의를 지키고 모든 면에서 절제를하.. 더보기
论语 : 子曰 君子는 固窮이나 小人은 窮斯濫矣니라(논어 : 자왈 군자는 고궁이나 소인은 궁사람의니라) : 군자도 곤궁할 때가 있다. 소인은 곤궁해지면 곧 함부로 행동한다. 子 曰 (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君 子는 (군자)는 : 군자는 固 窮 이나 (고궁)이나 :곤궁할 때가 있다. 小 人 은 (소인)은 : 소인은 窮 斯 濫 矣 니라 (궁사람의)니라 :곤궁해지면 곧 함부로 행동한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길군자는 어려울수록 단단해지지만소인은 어려움이 닥치면 쉽게 포기하고넘어져 버린다. 论 (論)语 (語)子曰君子固논할 론말씀 어아들 자가로 왈임금 군아들 자굳을 고窮 (穷)小人窮 (穷)斯濫 (滥)矣다할 궁작을 소사람 인 다할 궁이 사넘칠 람어조사 의 영공의 곁을 떠난 공자 일해이 진나라에서식량이 떨어지고 제자들은 병을 앓고 피로해서활동할 수 없게 되었다. 이 참상을 보고 노한 자로가" 군자도 곤궁할 수 있는 것입니까? " 하고공자에게 대들었다. 그때 공자의 답변이다.초나라로 .. 더보기
中国 宋朝时代 初代 《皇帝 赵匡胤》 登相州西楼(중국 송나라 시대 초대 《황제 조광윤》 등상주서루) : 상주 서쪽 누각에 올라 지은 시. 登相州西楼 (등상주서루) :상주 서쪽 누각에 올라 지은 시. 中国 (國)宋朝时 (時)代初代皇帝가운데 중나라 국송나라 송아침 조때 시대신할 대처음 초대신할 대임금 황임금 제赵 (趙) 匡胤的登相州西楼 (樓)나라이름 조바를 광이을 윤과녁 적오를 등서로 상고을 주셔녘 서다락 루조광윤(赵匡胤)중국 송나라의 초대 황제 태조(太祖)의 이름이다. 조광윤이 천하를 통일하고 황제가 된 후상주 서쪽 누각에 올라 광활한 자연을 바라보며 자신의 업적과 감회를 노래한것으로 조광윤의 호방한 기상과 천하를다스리는 군주로서의 자신감과 태평성대를이루고자 하는 그의 염원과 백성들을 향한애민(爱民 : 백성을 사랑함)정신을 엿볼 수 있다, 六 龙 一 玺 万 山 秋 (육룡일새만산추) :육룡이 비상하니 온 산이 황금빛 가을로 물들고 凤 阁.. 더보기
中国 宋朝时代 初代 《皇帝 赵匡胤》 咏牧丹花(중국 송나라 시대 초대 《황제 조광윤》 영목단화) : 모란꽃을 노래하다. 咏牧丹花 (영목단화) :모란꽃을 노래하다. 中国 (國)宋朝时 (時)代初代皇가운데 중나라 국송나라 송아침 조때 시대신할 대처음 초대신할 대임금 황帝赵 (趙)匡胤的咏 (詠)牧丹花임금 제나라이름조바를 광이을 윤과녁 적읊을 영칠 목붉을 단꽃 화조광윤(赵匡胤)중국 송나라의 초대 황제 태조(太祖)의 이름이다. 모란꽃을 보고 지은 시로 늦게 피어나는모란꽃의 아름다움을 노년의 원숙함에비유하며 그 아름다움을 예찬하고 있지만모란꽃의 화려함이 임금의 눈에는 사치스럽게비춰져 총애를 받지 못하는 현실을 안타가워하는마음을 담고 있으나 화려함 속에 숨겨진고독과 슬픔은 숨기지 못하고 표현하고 있다. 富 贵 隐 君 子 浅 香 (부귀은군자천향) :부귀로운 숨은 군자 옅은 향기 白 头 衰 尽 花 始 芳 (백두쇠진화시방) :흰머리 다 쇠..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