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try-content a, .post-header h1 em, .comments h2 .count { color: #000000 } .comment-form .submit button:hover, .comment-form .submit button:focus { background-color: #000000 }
본문 바로가기
  • Knock247127 은설(銀雪)
728x90
반응형

한시(汉诗)245

中国 唐朝时代 《诗人 贾岛》 寻隐者不遇(중국 당나라 시대 《시인 가도》심은자불우) : 은자를 찾아갔으나 만나지 못하다 寻隐者不遇 (심은자불우) :은자를 찾아갔으나 만나지 못하다 中国 (國)唐朝时 (時)代诗 (詩)人가운데 중나라 국당나라 당아침 조때 시대신할 대시 시사람 인贾 (賈)岛 (島)的寻 (尋)隐 (隱)者不遇값 가섬 도과녁 적찾을 심숨을 은놈 자아닐 불만날 우 소나무 아래에서 동자에게 은자 스승이 어디계신지 묻자 동자는 스승이 분명히 이 산 안에계시지만 구름이 너무 깊이 드리워져 있어서정확히 어디에 계신지 자신도 알 수 없다고 하니은자를 찾으러 간 간절한 마음과 은둔자의 신비로움그리고 자연의 깊고 오묘함을 표현하고 있다. 松 下 问 童 子 (송하문동자) :소나무 아래에서 동자에게 물으니 言 师 采 药 去 (언사채약거) :스승님은 약 캐러 가셨다네. 只 在 此 山 中 (지재차산중) :다만 이 산중에 계시는데 云 .. 2025. 7. 5.
中国 北宋时代 《词作家 晏几道》 长相思(중국 북송시대 《사작가 안기도》 장상사) : 긴 시간 동안 그리워하다 长 相 思 (장상사) :긴 시간 동안 그리워한다《서로를 그리워함》 中国 (國)北宋时 (時)代词 (詞)作가운데 중나라 국북녘 북송나라 송때 시대신할 대말 사지을 작家晏几 (幾)道的长 (長)相思집 가늦을 안조짐 기길 도과녁 적길 장서로 상생각 사 그리움은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야만 끝날 수 있으며 그 그리움의 깊이는 마음이 깊지 않는 사람은 이해하기 어렵다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이처럼 절절한 그리움을 누구에게도 온전히 털어놓을 수 없으며 마음이 얕은 사람들은 이 깊은 감정을 결코 이해하지 못할 것이라는외롭고도 깊은 사랑의 고통을 표현하고 있다. 长相思 (장상사) : 그리워 长相思 (장상사) :그리워 若 问 相 思 甚 了 期 (약문상사심료기) :만약에 그리움이 언제 끝나는지 묻는다면 除 非 相 见 时 (제비상.. 2025. 7. 5.
中国 唐朝时代 第十四代 《皇帝 李昂》 宫中题(중국 당나라 시대 제14대 《황제 이앙》 궁중제) : 궁주에서 짓다 《황실에서 시를 짓다》 宫中题 (궁중제) :궁주에서 짓다《황실에서 시를 짓다》 中囯 (國)唐朝时 (時)代第十四가운데 중나라 국당나라 당아침 조때 시대신할 대차례 제열 십넉 사代皇帝李昂 (昻)的宫 (宮)中题 (題)대신할 대임금 황임금 제오얏 리밝을 앙과녁 적집 궁가운데 중제목 제 궁궐의 가을 풍경을 배경으로 지어진 시로 제왕의 고독과 번뇌를 쓸쓸한 풍경과 화려하지만 무상한 궁궐의 모습 속에서 황제는 높은 자리에 앉아 헤아릴 수 없는 많은 생각에 잠겨 있는 모습에 그를 모시는 신하들조차 그 깊은 마음을 알아주고 헤아려 줄 만한 신하나 벗이 더 이상 없고 화려함 뒤에 숨겨진 고독감과 쓸쓸함을 표현하고 있다. 辇 路 生 秋 草 (연로생추초) :황제가 타는 수레 길에 가을 풀이 자라고 上 林 花 满 枝 (상림화만지) :상림원에는 .. 2025. 7. 4.
中国 唐朝时代 《诗人 苏颋》 汾上惊秋(중국 당나라 시대 《시인 소정》분상경추) : 분수(汾水)강가에서 가을에 놀라다 《가을을 깨닫다》 汾上惊秋 (분상경추) :분수(汾水)강가에서 가을에 놀라다 《가을을 깨닫다》 中国 (國)唐朝时 (時)代诗 (詩)人가운데 중나라 국당나라 당아침 조때 시대신할 대시 시사람 인苏 (蘇)颋 (頲)的汾上惊 (驚)秋 차조기 소곧을 정과녁 적클 분윗 상놀랄 경가을 추 멀리 고향을 떠나 분수 강가에서 북풍이 불어 흰 구름을 흘려보내고 먼 길을 헤쳐 분수 강에 당도한 마음은 나뭇잎이 떨어지듯 흔들리고 황량하며 가을의 온갖 소리마저 들리지 않을 정도로 마음은 깊은 상실감과 고독감에 잠겨 고향을 떠나 온 객지에서 가을을 맞아 느끼는 감정으로 '가을이 왔음을 깨달았지만 북풍이 멀리서 불어와 흰 구름을 흩트리고 먼 강물을 건너오는 듯한 쓸쓸한 풍경 속에서 내 마음은 낙엽처럼 시들고 떨어져 버렸기에 정작 가을의 소리는들리지 .. 2025. 7. 2.
中国 北宋时代 《文人 司马光》 客中初夏(중국 북송시대 《문인 사마광》객중초하) : 타향에서 맞이하는 초여름 客中初夏 (객중초하) :타향에서 맞이하는 초여름 中国 (國)北宋时 (時)代文人가운데 중나라 국북녘 북송나라 송때 시대신할 대글월 문사람 인司马 (馬)光的客中初夏맡을 사말 마빛 광과녁 적손 객가운데 중처음 초여름 하 비가 갠 후 맑고 화창해진 날씨와 창밖으로 선명하게보이는 남산의 풍경 그리고 봄의 상징인 버들개는사라지고 초여름의 상징인 해바라기가 해를 향해 있는모습등 자연의 변화를 통해 계절의 전환과 그 속에서 느끼는 소박하고 평화로운 정취와 타향에서의 삶 속에서느끼는 담담함을 느끼며 초여름의 풍경을 나타내고 있다. 四 月 淸 和 雨 乍 晴 (사월청화우사청) :사월은 맑고 화창하며 비는 금방 그쳤네 南 山 当 户 转 分 明 (남산당호전분명) :남산이 창문 앞에 있어 더욱 선명하게 보이는구나. 更 无 柳 .. 2025. 6. 30.
中国 罗唐时代 《诗人 张维》 偶成(중국 나당시대 《시인 장유》 우성) : 우연히 짓다《즉흥적으로 짓다》 偶成 (우성) : 우연히 짓다《즉흥적으로 시를 짓다》 中国 (國)罗 (羅) 唐时 (時)代诗 (詩)가운데 중나라 국그물 라당나라 당때 시대신할 대시 시人张 (張)维 (維)的偶成 사람 인베풀 장벼리 유과녁 적짝 우이룰 성 나당시기(羅唐時期)나당 전쟁을 의미하며 신라와 당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 시기를 말한다. 아름다운 자연 풍경(꽃과 달)을 배경으로 15년 전 그 아름다운 밤에 누군가와 함께 시를 지으며 꽃을 감상했던 행복하고 아름다운 순간을 기억하지만 시간이 흘러 다시 꽃과 달을 보면서 자연은 15년 전과 변함없는데 자신의 마음은 더 이상 과거의 그 행복하고 순수했던 감정을 느낄 수 없음에 대한 안타까움과 쓸쓸함을 표현하고 있다. 十 五 年 前 花 月 底 (십오년전화월저) :십 오년 전 꽃과 달빛 아래에.. 2025. 6. 2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