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논어

论语(논어) : 子曰 民은 可使由之요 不可使知之니라(논어 : 자왈 민은 가사유지요 불가사지지니라) : 백성들에게 도리를 따르게 할 수는 있지만 그 도리의 이치를 다 알게 할 수는 없다. 子 曰 (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民 은 (민)은 :백성들에게 可 使 由 之 요 (가사유지)요 :도리를 따르게 할 수는 있지만 不 可 使 知 之 니라 (불가사지지)니라.그 도리의 이치를 다 알게 할 수는 없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백성을 올바른 이치를 따라 하게 할 수는 있으나 그 이치를 이해시킬 수는 없다.즉 백성은 따르게 할 수는 있지만 깨닫게 할 수는 없다는 말이다. 论 (論)语 (語)子曰民可使논할 론말씀 어아들 자가로 왈백성 민옳을 가하여금 사由之不可使知之말미암을 유갈 지아닐 불옳을 가하여금 사알 지갈 지위정자(爲政者)정치를 하는 사람 백성을 다스리는데 있어 정부의 방침에 따르게할 수는 있다. 그러나 백성들이 왜 따르지 않으면안 된다고 그 이유까지 알려줄 수 없다. 그러므로위정자(爲政.. 더보기
论语 : 孔子對曰 苟子之不欲이면 雖賞之라도 不竊이니라(논어 : 공자대왈 구자지불욕이면 수상지라도 불절이니라) : 진실로 당신이 탐욕하지 않는다면 상을 준다고 해도 도둑질을 하지 않을 것이다. 孔子對曰 (공자대왈) :공자가 대답하길 苟子之不欲이면 (구자지불욕)이면 :진실로 그대가 욕심부리지 않는다면 雖賞之라도 (수상지)라도 :비록 상을 주더라도 不竊이니라 (불절)이니라 :도둑질을 하지 않을 것이다. 공자는 "만약 대부께서 욕심을 부리지 않는다면상을 준다 한들 백성들이 도적질을 하리오?"라고 대답하셨다. 论 (論)语 (語)孔子對 (对)苟子之논할 론말씀 어구멍 공아들 자대할 대진실로 구아들 자가 지不欲雖 (虽)賞 (赏)之不竊 (窃) 아닐 불바랄 욕비록 수상줄 상갈 지아닐 불훔칠 절 공자대왈(孔子對曰)공자가 대답하길구(苟)진실로자지(子之)그대가불욕(不欲)욕심을 부리지 않는다면수(雖)비록상지(賞之)상을 주더라도 불절(不竊)도둑질하지 않는다 계강자가 도둑을 걱정해서 공자에게 어찌된 일이냐고.. 더보기
论语 : 子曰 已矣乎라 吾未見能見其過而內自訟者也로다(논어 : 자왈 이의호라 오미견능기과이내자송자야로다) : 한심하구나! 난 아직도 자신의 잘못을 발견하고 마음으로 자책할 수 있는 사람을 보지 못하였다. 子曰 (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已矣乎라 (이의호)라 :한심하구나! 吾未見能見其過而內自訟者也로다(오미견능기과이내자송자야로다) :난 아직도 자신의 잘못을 발견하고 마음으로 자책할 수 있는 사람을 보지 못하였다. "끝났도다. 어쩔 수 없구나나는 나 자신의 허물을 보고서 스스로 잘 잘못을 따지는 자를 보지 못하였노라" 하시였다. 论 (論)语 (語)子曰已矣乎吾未見 (见)논할 론말씀 어아들 자가로 왈이미 이어조사 의어조사 호나 오아닐 미볼 견能見 (见)其過 (过)而內自訟 (讼)者也능할 능볼 견그 기지날 과말이을 이안 내스스로 자송사할 송놈 자어조사 야이의호(已矣乎)한심하구나(끝이로구나)오(吾)내가미견야(未見也)일찍이 보지 못했다능견기과이(能見其過而)자기 잘못을 보고내(內)안으로자송자(自訟者)자신을탓할수있는사.. 더보기
论语 : 子曰 老者安之하고 朋友信之하며 少者懷之니라(논어 : 자왈 노자안지하고 붕우신지하며 소자회지니라) : 노인들을 편안하게 하여주고 친구들에게는 신의를 지키며 젊은이에게는 나를 따르게 하는 것이다. 子曰 (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老者安之하고 (노자안지)하고 :노인들을 편안하게 하여주고 朋友信之하며 (부웅신지)하며 :친구들에게는 신의를 지키며 少者懷之니라 (소자회지)니라 :젊은이에게는 나를 따르게 하는 것이다. 노인들을 편히 모시고 벗들은 믿음으로 대하며 젊은이들은 품어 주어야 한다. 论 (論)语 (語)子曰老者安之논할 논말씀 어아들 자가로 왈늙을 로놈 자편안 안갈 지朋友信之少者懷 (怀)之벗 붕벗 우믿을 신갈 지적을 소놈 자품을 회갈 지노자안지(老者安之)늙은 사람을 편안하게 해주고붕우신지(朋友信之)벗에게 믿음을 주고소자회지(少者懷之)젊은 사람들을 품어준다.회(懷)따르게 하다,보살펴 주다. 제자인 자로가 선생님의 뜻을 들려주시기바란다고 청원한데 대한 공자의 대답이다.이 말은 공자 개인의 소망.. 더보기
论语 : 子曰 君子周急이면 不繼富이니라(논어 : 자왈 군자주급이면 불계부이니라) : 군자는 위급한 사람은 도와주지만 부자를 더 부자가 되도록 도와주지는 않는다. 子曰 (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君子周急이면 (군자주급)이면 :군자는 위급한 사람은 도와주지만 不繼富이니라 ( 불계부)이니라 : 부자를 더 부자가 되도록 도와주지는 않는다. 군자는 궁핍한 사람에게 보태주고넉넉한 사람에게는 더 주지 않는다. 论 (論)语 (語)子曰君子논할 론말씀 어아들 자가로 왈임금 군아들 자周急不繼 (继)富 두루 주급할 급아닐 불이을 계부유할 부 주급(周急)위급할 때 돌봐주다.불계부(不繼富)부들 계속 이어주다, 부자에게 보태주다. 스승의 일로 자화(子華 : 공자의 제자)라는 제자가 제나라에 갔을 때 일이다. 역시 제자인 염유(冉有)가자화의 모친을 위하여 부재중에 도와 줄 것을 부탁받았는데 자화는 원래 부자였기 때문에 공자는 더 이상물질적인 도움을 안 해도 될 것이라고 지시했다.그럼.. 더보기
论语 : 葉公이 問政한대 子曰近者說하며 遠者來이니라(논어 : 섭공이 문정한대 자왈근자설하며 원자래이니라) : 섭공이 정치에 대해 질문하자, 공자는 이렇게 말했다. 가까운 사람들은 기뻐 따르게 하고 먼 곳에 있는 사람들은 흠모하여 찾아 오게 하는 것이다. 葉 公이 (섭공)이 :섭공이 問 政 한대 (문정)한대 :정치에 대해 질문하자 子 曰 近 者 說 하며 (자왈근자열) 하며 :가까운 사람들은 기뻐 따르게 하고 遠 者 來 이니라(원자래이니라) :먼 곳에 있는 사람들은 흠모하여 찾아 오게 하는 것이다. 섭공이 정치에 대해 묻자. 공자께서'가까이 있는 사람들을 기쁘게 하면멀리 있는 사람들이 찾아올 것이다' 论 (論)语 (語)葉 公問 (问)政子논할 론말씀 어땅이름 섭공평할 공물을 문정사 정아들 자曰近者說 (说)遠 (远)子來 (来)가로 왈가까울 근놈 자기뻐할 열멀 원아들 자올 래엽공(葉公)초나라 정치가내(來)훌륭한 정치를 흠모하여 사람들이 찾아온다. 열(說)만족하고 열복(裂服 : 기쁜마음으로 복종함)하다. 당시 섭은 초나라 속국이었다. 섭국은 작고그 군주는.. 더보기
论语 : 子曰 無欲速하며 無見小利니 欲速則不達하고 見小利則하면 大事不成이니라(논어 : 자왈 무욕속하며 무견소리니 욕속즉부달하고 견소리즉하면 대사불성이니라) : 일을 속히 하려 말고 작은 이익을 돌아보지 말라. 속히 하고자 하면 달성하지 못한다. 작은 이익을 돌아보면 큰 일을 이루지 못한다. 子 曰 (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無 欲 速 (무욕속 ) :일을 속히 하려 말고 無 見 小 利 (무견소리) :작은 이익을 돌아보지 말라. 欲 速 則 不 達 (욕속즉부달) : 속히 하고자 하면 달성하지 못한다. 見 小 利 則 (견소리즉) :작은 이익을 돌아보면 大 事 不 成 (대사불성) : 큰 일을 이루지 못한다. 서두르지 말고 작은 이익(利益)을 탐(貪)하지 마라.서두르면 목적(目的)을 달성(達成)하지 못하고서두르면 도리어 일을 그르친다.작은 이익을 탐하면 성과(成果)를 거둘 수 없다. 论 (論)语 (語)子曰無 (无)欲速無 (无)논할 론말씀 어아들 자가로 왈없을 무하고자 할 욕빠를 속없을 무見 (见)小利欲速則 (则)不達 (达)볼 견작을 소날카로울 리하고자 할 욕빠를 속곧 즉아닐 부통달할 달見 (见.. 더보기
论语 : 子曰 行己有恥하며 使於四方하여 不辱君命이면 可謂士矣니라(논어 : 자왈 행기유치하며 사어사방하여 불욕군명이면 가위사의나라) : 자신의 행동에 대해서 수치심을 깨닫고 사방에 사신으로 가서 임금의 명령을 욕되게 하지 않는다면 선비라고 할 수 있다. 子 曰 (자왈) : 공자 말씀하시기를 行 己 有 恥 (행기유치)하며자신의 행동에 대해서 부끄러워 할 줄 알고 使 於 四 方 (사어사방)하여 :사방에 사신으로 가서 不 辱 君 命 (불욕군명)이면 : 임금의 명을 욕되게 하지 않는다면 可 謂 士 矣 (가위사의)니라 :선비라고 할 수 있다. 자신의 행동에 부끄러움이 있고 사신으로 다른나라에 가서 임금의 명을 욕되게 하지 않으면 선비라고 할 수 있다. 论 (論)语 (語)子曰行己有恥使於논할 론말씀 어아들 자가로 왈다닐 행몸 기있을 유부끄러울치하여금 사어조사 어四方不辱君命可谓 (謂)士矣넉 사모 방아닐 불욕될 욕임금 군목숨 명옳을 가이를 위선비 사어조사 의 제자 자공이 "선비라고 부르기에 족한 인물이라면?"하고 물었다. 그 때의 대답이다. 그 다음은 주위사람들로부..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