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군자

论语 : 子曰 君子는 坦蕩蕩이요 小人長戚戚이니라(논어 : 자왈 군자는 탄탕탕이요 소인장척척이니라) : 군자의 마음은 평안하고 넓으며 소인의 마음은 항상 근심하고 걱정한다. 子 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君 子는 (군자)는 :군자의 坦 蕩 蕩이요 (탄탕탕)이요마음은 평안하고 넓으며 小 人 長 戚 戚이니라 (소인장척척)이니라 : 소인의 마음은 항상 근심하고 걱정한다. 论 (論)语 (語)子曰君子坦논할 론말씀 어아들 자가로 왈임금 군아들 자평탄할 탄蕩 (荡)蕩 (荡)小人長 (长)戚戚방탕할 탕방탕할 탕작을 소사람 인길 장근심할 척근심할 척 군자는 평탄해 너그럽고 여유가 있으며소인은 오래 동안 언제나 근심하므로한 걸음 물러서서 느긋하게 세상을 바라보고 욕심을 버려 초초함을 없애라. 군자는 영원한 진리, 인에 생활하고 현실적 명리(名利 : 명예와 이익)를 초월하므로마음이 넓고 화평한 반면, 소인은 항상 사리사욕에집착하고 현실적 명리를 얻으려고 하기 때문에늘 근심걱정에 휩싸인다.. 더보기
论语 : 君子篤於親이면 則民興於仁하고 故舊不遺면 則民不偸니라(논어 : 군자독어친이면 즉민흥어인하고 고구불유면 즉민불투니라) : 군자가 친척들에게 후덕하게 대하면 백성들 사이에는 인덕의 기풍이 일어나고 옛 친구를 버리지 않으면 백성들의 덕풍도 두터워진다. 子曰 (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君 子 篤 於 親이면(군자독어친)이면 :군자가 친척들에게 후덕하게 대하면 則 民 興 於 仁하고 (즉민흥어인)하고 :백성들 사이에는 인덕의 기풍이 일어나고 故 舊 不 遺면 (고구불유)면 : 옛 친구를 버리지 않으면 則 民 不 偸니라 (즉민불투)니라 : 백성들의 덕풍도 두터워진다. 论 (論)语 (語)君子篤 (笃)於親 (亲)則 (则)民興 (兴)논할 론말씀 어임금 군아들 자도타울 독어조사 어친할 친곧 즉백성 민일 흥於仁故舊 (旧)不遺 (遗)則 (则)民不偸 (偷)어조사 어어질 인연고 고옛 구아닐 불남길 유곧 즉백성 민아닐 불훔칠 투 군자가 어버이에게 독실(篤實)히 하면백성들이 인을 일으키고 옛 친구를 버리지않으면 백성들이 야박해지지 않는다. 친족에게 사랑을 베풀며 옛날에 알.. 더보기
论语 : 子曰 質勝文則野요 文勝質則史니 文質이 彬彬然後에 君子니라(논어 : 자왈 질승문즉야요 문승질즉사니 문질이 빈빈연후에 군자니라) : 본바탕이 외모의 꾸밈보다 더 나으면 촌스럽고 외모의 꾸밈이 본바탕보다 더 나으면 겉만 세련됨이니 외모의 꾸밈과 본바탕이 서로 조화된 연후에야 군자이니라. 子 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質 勝 文 則 野요 (질승문즉)요 :본바탕이 외모의 꾸밈보다 文 勝 質 則 史니 (문승질즉사)니더 나으면 촌스럽고 외모의 꾸밈과 文 質이 (본질)이 :본바탕이 彬 彬 然 後에 (빈빈연후)에 :서로 조화된 연후에야 君 子니라 (군자)니라 :군자이니라. 바탕이 겉차림보다 나으면 세련되 보이지 못하고겉차림이 바탕보다 나으면 형식적인 것이 된다.바탕과 겉차림이 잘 어울려야 바로 군자라 할 수 있다. 论 (論)语 (語)質 (质) 勝 (胜)文則野文勝 (胜)質 (质) 논할 논말씀 어바탕 질이길 승글월 문곧 즉들 야글월 문이길 승바탕 질則史文質 (质) 彬彬然後 (后)君子곧 즉사관 사글월 문바탕 질빛날 빈빛날 빈그럴 연뒤 후임군 군아들 자질(質)본질이승문(勝文)문을 이기면야(野)촌스.. 더보기
论语 : 子曰 君子는 固窮이나 小人은 窮斯濫矣니라(논어 : 자왈 군자는 고궁이나 소인은 궁사람의니라) : 군자도 곤궁할 때가 있다. 소인은 곤궁해지면 곧 함부로 행동한다. 子 曰 (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君 子는 (군자)는 : 군자는 固 窮 이나 (고궁)이나 :곤궁할 때가 있다. 小 人 은 (소인)은 : 소인은 窮 斯 濫 矣 니라 (궁사람의)니라 :곤궁해지면 곧 함부로 행동한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길군자는 어려울수록 단단해지지만소인은 어려움이 닥치면 쉽게 포기하고넘어져 버린다. 论 (論)语 (語)子曰君子固논할 론말씀 어아들 자가로 왈임금 군아들 자굳을 고窮 (穷)小人窮 (穷)斯濫 (滥)矣다할 궁작을 소사람 인 다할 궁이 사넘칠 람어조사 의 영공의 곁을 떠난 공자 일해이 진나라에서식량이 떨어지고 제자들은 병을 앓고 피로해서활동할 수 없게 되었다. 이 참상을 보고 노한 자로가" 군자도 곤궁할 수 있는 것입니까? " 하고공자에게 대들었다. 그때 공자의 답변이다.초나라로 .. 더보기
论语 : 孔子曰 君子는 義以爲質이요 禮以行之하며 孫以出之하고 信以成之하니 君子哉이니라(논어 : 공자왈 군자는 의이쉬질이요 예이생지하며 손이출지하고 신이성지하니 군자재이니라) : 의로움을 바탕으로 삼고 예로써 행하며 공손한 태도로 말하고 신의로써 이루어야만 군자인 것이다. 孔 子 曰 (공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君 子 는 (군자)는 :군자는 義 以 爲 質 이요 (의이위질)이요 :의로움으로 바탕을 삼고 禮 以 行 之 하며 (예이생지)하며 :예로써 행하며 孫 以 出 之 하고 (손이출지)하고 :공손한 태도로 말하고 信以成之하니 (신이성지)하니 :신의로써 이루어야만 君 子 哉 이니라 (군자재)이니라 :군자인 것이다. 군자는 의로써 바탕을 삼고 예로써 그것을행하며 겸손으로써 그것을 내며 믿음으로써그것을 이루나니 군자로다. 论 (論)语 (語)孔子義 (义)以爲 (为)質 (质)禮 (礼)논의할 론말씀 어구멍 공아들 자옳을 의써 이할 위바탕 질예도 례以行之孫 (孙)以出之信以써 이다닐 행갈 지손자 손써 이날 출갈 지믿을 신써 이成之君哉 이룰 성갈 지임금 군어조사 재 군.. 더보기
论语 : 孔子曰 君子는 疾沒世而이면 名不稱焉이니라.(논어 : 공자왈 군자는 질몰세이이면 명불칭언이니라) : 군자는 죽은 뒤에 이름이 칭송되지 않음을 걱정한다. 孔 子 曰 (공자왈 )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君 子 는 (군자)는 :군자는 疾 沒 世 而 이면 (질몰세이)이면 :죽은 뒤에 名 不 稱 焉 이니라 (명불칭언)이니라 :이름이 칭송되지 않음을 걱정한다. 군자는 죽은 뒤에 이름이 세상에 남기지못함을 부끄럽게 생각한다. 孔子曰君子疾沒구멍 공아들 자가로 왈임금 군아들 자병 질짐길 몰世而名不稱 (称)焉 인간 세말이을 이이름 명아닐 불일컬을 칭어찌 언 蓋 (盖)棺事定 덮을 개널 관일 사정할 정 《중국 속담에 개관사정(蓋棺事定)》이란 말이 있다.인간은 관 속에 들어가서야 비로소 그 진가를알 수 있다는 뜻이다. 즉 사람의 일생은 죽은 후에야평가가 정해진다는 말이다. 그런 의미에서 죽은 후에 그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것은 생전에 좋은 일을 하지 못했다는 증거..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