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Knock247127 은설(銀雪)
반응형

한시(汉诗)215

朝鲜 古典 小说 春香传(조선의 고전 소설 춘향전) : 봄의 향기 이야기 春 香 传(춘향전) :봄의 향기 이야기 朝鲜 ( 鮮 )古典小说 ( 說 )春香传 ( 傳 )아침 조고울 선옛 고법 전작을 소말씀 설춘향 전향기 향전할 전李梦 ( 夢 )龙 ( 龍 )卞学 ( 學 )道   오얏 리꿈 몽용 룡법 변배울 학길 도     춘향전(春香传)에서 암행어사로 변모한 이몽룡(李梦龙)이 변학도(卞学道)의 생일 잔치에 잠입하여 탐관오리의 부패와 백성들의 비참한 현실을  폭로하는 장면을 낭송되는 것으로 아름다운 술과 맛있는 음식 뒤에는 백성들의 피와 땀, 눈물이 서려 있으며 흥겨운 노랫소리 속에는 억눌린 백성들의 원망이 가득하다는 표현을 담고 있다. 金 樽 美 酒 千 人 血 ( 금준미주천인혈 ) :금 술잔에 담긴 아름다운 술은 천 명의 피요. 玉 盘 佳 肴 万 姓 膏 ( 옥반가요만성고 ) :아름다운.. 2025. 4. 9.
古代 中国 古典诗 时代和 作家 不详的 月儿花(고대 중국 고전시 시대와 작가 불상인 월아화) : 달맞이꽃 月 儿 花 ( 월아화 ) :달맞이꽃 古代中国 ( 國 )古典诗 ( 詩 )时 ( 時 )代옛 고대신할 대가운데 중나라 국옛 고법 전시 시때 시대신할 대和作家不详 ( 詳 )的月儿 ( 兒 )花화할 화지을 작집 가아닐 불자세할 상과녁 적달 월아이 아꽃 화  달빛 아래에서 고요히 피어나는 순백의달맞이꽃을 묘사하고 있으며 어둠과 침묵이감도는 밤의 정적을 깨고 은은한 향기를 퍼뜨리는달맞이꽃은 차가워 보이는 겉모습과는 달리따뜻한 느낌을 주며 신비로운 빛깔 속에서 마치 세상의 소음으로부터 벗어나 자신만의 내면의 순수함과 영원히 변치 않는자신만의 존재감을 나타낸 것이다.달을 따라 꽃을 밤에만 피우고 있으며꽃말은 기다림, 밤의 요정, 소원, 마법 月 光 下 ( 월광하 ) :달빛 아래 静 静 绽 放 的 ( 정정탄방적 ) :고요히.. 2025. 4. 9.
中国 唐朝时代 诗人 王维的 送别(중국 당나라 시대 시인 왕유의 송별) : 친구와 이별을 아쉬워하며. 送 别(송별) :친구와 이별을 아쉬워하며. 中国 ( 國 )唐朝时 ( 時 )代诗 ( 詩 )가운데 중나라 국당나라 당아침 조때 시대신할 대시 시人王维 ( 維 )的送别 사람 인임금 왕벼리 유과녁 적보낼 송나눌 별   왕유가 벼슬을 버리고 남산으로 은거하려는친구를 송별할 때 친구에게 술을 권하며작별을 아쉬워하며 친구가 은거할 남산의아름다운 자연과 자유로운 삶과 그의 앞날을축복하는 마음을 표현했다. 下 马 饮 君 酒 ( 하마음군주 ) :말에 내려 그대에게 술을 권하노니 问 君 何 所 之 ?( 문군하소지 ?) :그대 가는 곳 어디인가 묻노라? 君 言 不 得 意 ( 군언부득의 ) :그대의 뜻을 이루지 못했다고 말하며 归 卧 南 山 陲 ( 귀와남산수 ) :남산 기슭으로 돌아가 쉬겠다고 하네. 但 去 莫 复 问 ( 단거.. 2025. 4. 8.
唐朝时代 诗人 兼 文人 李白《李太白》的 采莲曲(당대시인 겸 문학가 이백《이태백》의 채련곡) : 연밥을 따는 노래. 采 莲 曲(채련곡) :연밥을 따는 노래. 唐朝时 ( 時 )代 诗 ( 詩 )人兼文人당나라 당아침 조때 시대신할 대시 시사람 인겸할 겸글월 문사람 인李白李太白的采莲 ( 蓮 )曲오럇 리흰 백오럇 리클 태흰 백과녁 적캘 채연꽃 련굽을 곡약야계(若耶溪)중국 저장성(浙江省)샤오싱시(紹興市)동남쪽에 있는 아름다운 시내 이름 중국 남방 지역에서 연밥을 따면서 부르던 민요에서 유래되었으며 맑고 아름다운 약야계(若耶溪)에서 연밥을 따는 아가씨들의 즐거운 모습과 그 모습을 바라보는 젊은이의 설레는 마음을 표현하였고 햇살에 빛나는 아가씨들의 아름다움, 바람에 흩날리는 옷자락의 향기, 그리고 수양버들 사이로 보이는 젊은이들의모습이 한 폭의 그림처럼 묘사되었다. 若 耶 溪 旁 采 莲 女 ( 약야계방채련녀 ) :약야계 냇가에서 .. 2025. 4. 7.
中国 明朝 时代 文人 杨慎的 三国志演义 临江仙(중국 명나라 시대 문인 양신의 삼국지연의 임강선) : 강가에 다다르니 신선과 같다. 临 江 仙 (임강선) :강가에 다다르니 신선과 같다.《 강가에서 신선처럼 여유로운 경지에 이른다. 》 中国 ( 國 )明朝时 ( 時 )代文人杨 ( 楊 )慎 ( 愼 )가운데 중나라 국밝을 명아침 조때 시대신할 대글월 문사람 인버들 양삼갈 신的三国 ( 國 )志演义 ( 義 )临 ( 臨 )江仙 과녁 적석 삼나라 국뜻 지펼 연옳을 의임할 임강 강신선 선   중국의 소설 《 삼국지연의》의 서두에 나오는개권시(开卷诗)로 흔히 임강선(临江仙)이라는 사패(词牌)로 알려졌으며 삼국(三国 : 위(魏), 촉(蜀), 오(吳)의 흥망성쇠와 영웅들의 연의(演義 : 역사적 사실에 기반한 소설)로중국 후한 말부터 서진건국까지 역사를 배경으로 한 장편 역사 소설이다. 장강의 끊임없이 흐름과 대비하여영웅호걸들의 흥망성쇠가 덧없음을 노래하고.. 2025. 4. 6.
朝鲜前期 文臣 兼 学者 退溪 李滉的 陶山月夜咏梅(조선전기 문신 겸 학자 퇴계 이황의 도산월야영매) : 달밤에 도산에서 매화를 노래하다. 陶山月夜咏梅(도산월야영매) :달밤에 도산에서 매화를 노래하다. 朝鲜 ( 鮮 )前期文臣兼学 ( 學 )者退아침 조고을 선앞 전기약할 기글월 문신하 신겸할 겸배울 학놈 자물러날 퇴 李滉的陶山月夜咏 ( 詠 )梅시내 계오얏 리깊을 황과녁 적질그릇 도梢메 산달 월밤 야읊을 영매화 매  홀로 산속 창가에 기대어 매화가 만개한 달밤의 아름다운 풍경과 고요하고 차가운 밤 달빛 아래 핀 매화의 맑고 은은한 향기를 통해 자연의 신비로움과 운치를 표현하고 있다. 独 倚 山 窗 夜 色 寒 ( 독의산창야색한 ) :홀로 산속 창에 기대니 밤의 풍경 차갑고 梅 梢 月 上 正 团 团 ( 매초월상정단단 ) :매화 가지 끝에 둥근 달이 떠오르네. 不 须 更 唤 微 风 至 ( 불수갱환미풍지 ) :굳이 미풍을 불러올 필요 없으니 自 有 淸 .. 2025. 4.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