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春香传(춘향전) :
봄의 향기 이야기
朝 | 鲜 (鮮) | 古 | 典 | 小 | 说 (說) | 春 | 香 | 传 (傳) |
아침 조 | 고울 선 | 옛 고 | 법 전 | 작을 소 | 말씀 설 | 춘향 전 | 향기 향 | 전할 전 |
李 | 梦 (夢) | 龙 (龍) | 卞 | 学 (學) | 道 | |||
오얏 리 | 꿈 몽 | 용 룡 | 법 변 | 배울 학 | 길 도 |
춘향전(春香传)에서 암행어사로 변모한
이몽룡(李梦龙)이 변학도(卞学道)의 생일 잔치에
잠입하여 탐관오리의 부패와 백성들의 비참한
현실을 폭로하는 장면을 낭송되는 것으로 아름다운
술과 맛있는 음식 뒤에는 백성들의 피와 땀, 눈물이
서려 있으며 흥겨운 노랫소리 속에는 억눌린
백성들의 원망이 가득하다는 표현을 담고 있다.
金 樽 美 酒 千 人 血 (금준주천인혈) :
금 술잔에 담긴 아름다운
술은 천 명의 피요.
玉 盘 佳 肴 万 姓 膏 (옥반가요만성고) :
아름다운 옥쟁반에 놓인 맛있는
안주는 만 백성의 기름이라.
烛 泪 落 时 民 泪 落 (촉루락시민루락) :
촛농이 떨어질 때 백성들의 눈물 떨어지고
歌 声 高 处 怨 声 高 (가성고처원성고) :
노래소리 높은 곳에 원망 소리 또한 높도다.
金 | 樽 | 美 | 酒 | 千 | 人 | 血 |
쇠 금 | 술통 준 | 아름다울 미 | 술 주 | 일천 천 | 사람 인 | 피 혈 |
玉 | 盘 (盤) | 佳 | 肴 | 万 (萬) | 姓 | 膏 |
구슬 옥 | 소반 반 | 아름다울 가 | 안주 효 | 일만 만 | 성씨 성 | 기름 고 |
烛 (燭) | 淚 (泪) | 落 | 时 (時) | 民 | 淚 (泪) | 落 |
촛불 촉 | 눈물 루 | 떨어질 락 | 때 시 | 백성 민 | 눈물 루 | 떨어질 락 |
歌 | 声 (聲) | 高 | 处 (處) | 怨 | 声 (聲) | 高 |
노래 가 | 소리 성 | 높을 고 | 곳 처 | 원망할 원 | 소리 성 | 높을 고 |
728x90
반응형
'한시(汉诗)'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国 金朝 时代 《文人 元好问》 雁丘词(중국 금나라 시대 《문인 원호문》 안구사) : 기러기의 무덤 - 上片(상편) (4) | 2025.04.11 |
---|---|
朝鲜中期 《诗人 许兰雪轩》 「本名 : 楚姬」 採莲曲(조선중기 《시인 허난설헌》 「본명 : 초희」 채련곡) : 연밥을 따는 노래 (2) | 2025.04.10 |
古代 中国 古典诗 时代和 作家 不详的 月儿花(고대 중국 고전시 시대와 작가 불상인 월아화) : 달맞이꽃 (1) | 2025.04.09 |
中国 唐朝时代 《诗人 王维》 送别(중국 당나라 시대 《시인 왕유》 송별) : 친구와 이별을 아쉬워하며. (4) | 2025.04.08 |
唐朝时代 诗人 兼 《文人 李白》 「李太白」 采莲曲(당대시인 겸 문학가 《이백》 「이태백」 채련곡) : 연밥을 따는 노래. (4)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