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子曰 (자왈) :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君子는 (군자)는 : 군자는
泰而不驕하고 (태이불교)하고 :
태연하지만 교만하지 않고
小人驕而不泰니라 (소인교이불태) :
소인은 교만하지만 태연하지 못하다.
군자는 섬기기는 쉬워도 기쁘게 하기는 어렵다.
도에 맞춰 기쁘게 하지 않으면 기뻐하지 않는다.
그 사람에게 일을 시킬 때는 그릇에 맞게 시킨다.
子 | 曰 | 君 | 子 | 泰 | 而 | 不 | 驕 (骄) |
아들 자 | 가로 왈 | 임금 군 | 아들 자 | 클 태 | 말이을 이 | 아닐 불 | 교만할 교 |
小 | 人 | 驕 (骄) | 而 | 不 | 泰 | ||
작을 소 | 사람 인 | 교만할 교 | 말이을 이 | 아닐 불 | 클 태 | ||
자왈(子曰) |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 군자(君子) | 군자는 | 태이(泰而) | 태연하지만 | ||
불교(不驕) | 교만하지 않고 | 소인(小인) | 소인은 | 교이(驕而) | 교만하지만 | 불태(不泰) | 태연하지 않다 |
마음가짐은 스스로 그 태도에서 나타나게 된다.
그러므로 군자는 자신의 내면이 풍부하고 신념이
뚜렷하므로 태연자여서 내용이 없고 신념도
빈약하므로 대범하고 침착한 태도를 취할 수 없다.
그 대신 오만해지고 금방 나태의 늪에 빠져버린다.
즉 자신감고 내용이 없는 인간일수록 스스로를
과장하려고 애쓴다고 지적하고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