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자의 논어(孔子的 论语)

论语 : 子曰 行己有恥하며 使於四方하여 不辱君命이면 可謂士矣니라(논어 : 자왈 행기유치하며 사어사방하여 불욕군명이면 가위사의나라) : 자신의 행동에 대해서 수치심을 깨닫고 사방에 사신으로 가서 임금의 명령을 욕되게 하지 않는다면 선비라고 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子 曰 (자왈) :

공자 말씀하시기를

 

行 己 有 恥 (행기유치)하며

자신의 행동에 대해서

부끄러워 할 줄 알고

 

使 於 四 方 (사어사방)하여 :

사방에 사신으로 가서

 

不 辱 君 命 (불욕군명)이면 :

 임금의 명을 욕되게 하지 않는다면

 

可 謂 士 矣 (가위사의)니라 :

선비라고 할 수 있다.

 

 

자신의 행동에 부끄러움이 있고 사신으로

다른나라에 가서 임금의 명을 욕되게 하지 

않으면 선비라고 할 수 있다.

 

论 (論) 语 (語) 使
논할 론 말씀 어 아들 자 가로 왈 다닐 행 몸 기 있을 유 부끄러울치 하여금 사 어조사 어
谓 (謂)
넉 사 모 방 아닐 불 욕될 욕 임금 군 목숨 명 옳을 가 이를 위 선비 사 어조사 의

 

 

제자 자공이 "선비라고 부르기에 족한 인물이라면?"

하고 물었다. 그 때의 대답이다. 그 다음은 주위사람

들로부터 부모에게 효도하고 어른께 공경스럽다고

칭찬 받는 사람, 다시 한급 아래로 신의를 지키고

임무를 완수하는 인물이라고 공자는 설명했다.

선비라고 부르기에 족한 위에 명시한 인물의 조건은

이해가 되지만 그 다음 효행과 공경스러움을 거론한

것은 재미있다. 유가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728x90
반응형

'공자의 논어(孔子的 论语)' 카테고리의 다른 글

论语 : 葉公이 問政한대 子曰近者說하며 遠者來이니라(논어 : 섭공이 문정한대 자왈근자설하며 원자래이니라) : 섭공이 정치에 대해 질문하자, 공자는 이렇게 말했다. 가까운 사람들은 기뻐 따르게 하고 먼 곳에 있는 사람들은 흠모하여 찾아 오게 하는 것이다.  (19) 2025.06.19
论语 : 子曰 無欲速하며 無見小利니 欲速則不達하고 見小利則하면 大事不成이니라(논어 : 자왈 무욕속하며 무견소리니 욕속즉부달하고 견소리즉하면 대사불성이니라) : 일을 속히 하려 말고 작은 이익을 돌아보지 말라. 속히 하고자 하면 달성하지 못한다. 작은 이익을 돌아보면 큰 일을 이루지 못한다.  (10) 2025.06.18
论语 : 子曰 君子는 泰而不驕하고 小人驕而不泰니라(논어 : 자왈 군자는 태이불교하고 소인교이불태니라) : 군자는 태연하지만 교만하지 않고 소인은 교만하지만 태연하지 못하다.  (1) 2025.06.14
论语 : 子曰 剛 毅 木 訥이 近仁이니라(논어 : 자왈 강 의 목 눌이 근인이니라) : 강직하고, 의연하고, 질박하고, 입이 무거운 것은 인에 가깝다.  (14) 2025.06.13
论语 : 子曰 君子는 坦蕩蕩이요 小人長戚戚이니라(논어 : 자왈 군자는 탄탕탕이요 소인장척척이니라) : 군자의 마음은 평안하고 넓으며 소인의 마음은 항상 근심하고 걱정한다.  (0) 2025.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