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시경(诗经)8

东门之杨(동문지양) : (表题(표제)는 国风이고 副题(부제)는 陈风(진풍)이다. 陈(진)나라는 禹贡(우공) 予州(예주)의 동쪽에 위치한 小国(소국)으로 民间(민간)에서 전해 내려온 歌谣(가요)로서 风诗(풍시)라고한다 : 동문의 버드나무 东 门 之 杨 ( 동문지양 ) : 동문의 버드나무东 ( 東 )门 ( 門 )之杨 ( 楊 )表题 ( 題 )陈 ( 陳 )风 ( 風 )동녘 동문 문갈 지버들 양겉 표제목 제베풀 진바람 풍禹贡 ( 貢 )予 ( 豫 )州小国 ( 國 )民间 ( 間 )하우씨 우받칠 공미리 예고을 주작을 소나라 국백성 민사이 간歌谣 ( 謠 )风 ( 風 )诗 ( 詩 )    노래 가노래 요바람 풍시 시      몰래 만나기로 약속하고는 오지 않는애인을 원망하는 노래로 고대 중국인들은남쪽과 동쪽을 상서로운 곳으로 남녀의 밀회의 장소였던 것 같다.잎새가 무성한 버드나무 밑에서 샛별이반짝이는 새벽까지 애인을 기다렸으나 그는 오지 않아 원망의 뜻을 노래했다. 东 门 之 杨 ( 동문지양 ) : 동문의 버드나무 其 葉 牂 牂 ( 기엽장장 ) :잎사귀.. 2025. 1. 3.
何彼穠矣(하피농의) : (表题(표제)는 国风(국풍)이고 国은 諸侯(제후나라)이고 风(풍)은 召南地域(소남지역)民間(민간)에서 전해 내려온 歌謠로서 風詩(풍시)라고한다) : 저리 고운 저 꽃은 何彼穠矣 : (하피농의) :저리 고운 저 꽃은 주(周)나라 평왕(平王)의 손녀(孫女)인 공주(公主)가 제(齊)나라 제후(齊侯)의 아들에게 혼인(婚姻)하여 시집가는것을 기뻐하고 칭송하는 노래何彼穠 ( 秾 )矣表题 ( 題 )国 ( 國 )风 ( 風 )어찌 하저 피무성할 농어조사 의겉 표제목 제나라 국바람 풍諸侯召南地域民間모두 제제후 후부를 소남녘 남땅 지지경 역백성 민사이 간歌謠風詩孫女婚姻노래 가노래 요바람 풍시 시손자 손여자 여혼인할 혼혼인 인 何 彼 穠 矣 ( 하피농의 ) :저리 고운 저 꽃은 唐 棣 之 花 ( 당체지화 ) :산매자의 꽃 曷 不 肅 雝 ( 갈불숙옹 ) :의젓하고 고요한  王 姬 之 車 ( 왕희지거 ) :공주의 수레 何 彼 穠 矣 ( 하피농의 ) :저리 고운 저 꽃은 華 如 桃 李 ( 화여도.. 2024. 11. 10.
鵲巢(작소) : (表题(표제)는 召南(소남)이고 周王朝(주왕조시대)周南(주남)의 남쪽에서 長江(장강)유역인 召南(소남)에서 民間(민간)에서 전해 내려온 歌謠(가요)로서 風詩(풍시)라고한다) : 까치 집 鵲 巢 ( 작 소 ) : 까치 집높은 집안의 처녀가 시집가는 것을축복(祝福)한 노래로 까치집은 남자가쌓아 놓은 공적, 비둘기는 다 이루어 놓은남의 집안에 시집가는 처녀를 견준 것이다.수레 백 채로 마중하고 배웅한다 하니고귀한 신분을 소재로 표현한 듯하다.鵲巢表题 ( 題 )召南周王朝까치 작새집 소겉 표제목 제부를 소남녘 남두루 주임금 왕아침 조長江民間歌謠風 詩 길 장강 강백성 민사이 간노래 가노래 요바람 풍시 시  維 鵲 有 巢 ( 유작유소 ) :까치가 집을 지으면 維 鳩 居 之 ( 유구거지 ) :비둘기가 가서 사네. 之 子 于 歸 ( 지자우귀 ) :아가씨 시집갈 땐 百 兩 御 之 ( 백량아지 ) :수레 백 채 배웅하네. 維 鵲 有 巢 ( 유작유소 ) :까치가 집을 지으면 維 鳩 方 之 ( 유구방지 ) :.. 2024. 11. 6.
隰有萇楚(습유장초) : (表题(표제)는 檜风(회풍 : 檜朝(회나라시대)河南省 密縣 东北(하남성 밀현 동북)에 위치했던 小国(소국)에서 내려온 风诗(풍시) : 진펄에는 쐐기풀 隰有萇楚(습유장초) 진펄에는 쐐기풀 男女(남녀)가 서로 誘惑(유혹)하는 노래로 남녀의 군중(群衆)속에서 약간의 조롱을겸해서 부르던 사랑의 노래로 隰地(습지)의 興(흥)을 愛情(애정)과 관련된 것으로 보았던 것같다. 隰有萇楚表题 ( 題 )檜风 ( 風 )朝진펄 습있을 유양도 장초나라 초겉 표제목 제전나무 회바람 풍아침 조河南省密懸东 ( 東 )北小国 ( 國 )물  하남녘 남살필 성빽빽할  밀달 현동녘 동북녘 북작을 소나라 국男女誘惑群衆 隰 地興사내 남여자 녀꾈 유미혹할 혹무리 군무리 군진펄 습땅 지일 흥 隰 有 萇 楚 ( 습유장초 ) :진펄에는 쐐기풀 猗 儺 其 枝 ( 아나기지 ) :아름다운 그 줄기. 夭 之 沃 沃 ( 요지옥옥 ) : 싱싱하고 예쁜 너 樂 子 之 無 知 ( 낙자지무지 ) :처녀이기 더 좋아 .. 2024. 11. 5.
黃鸟(황조) : (表题(표제)는 小雅(소아 : 秦朝(진나라시대)궁중에서 불렀던 노래)이고 副表題는(魚藻之什 : 부표제는 어조지십)이다. 꾀골꾀꼴 꾀꼬리 : 꾀꼬리가 계속해서 우는 소리 黃 鸟 ( 황조 ) : 꾀꼴꾀꼴 꾀꼬리꾀꼬리가 계속해서 우는 소리 길을 떠난 사신(使臣)이 환송연(歡送宴)을 받고그 각오를 새로이 하는 노래로 미천(微賤)한 사람이 나라의 어지러움을 풍자한 것이라 했으나옛날에는 사신(使臣)의 고초(苦楚)가 심했지만그런 고초(苦楚)를 감수하겠다는 굳은 의지(意志)가 있었던 모양이다. 지금의 시대(時代)와는 대조적이다.黃鸟 ( 鳥 )表题 ( 題 )小雅秦朝누를 황새 조겉 표제목 제작을 소맑을 아나라이름 진아침 조副魚藻之什使臣歡버금 부물고기 어마름 조갈 지열사람 십부릴 사신하 신기뻐할 환送宴微賤苦楚意志보낼 송잔치 연작을 미천할 천괴로울 고회초리 초뜻 의뜻 지 緜 蠻 黃 鳥 ( 면만황조 ) :꾀꼴꾀꼴 꾀꼬리 止 于 丘 阿 ( 지우구아 ) :언덕 위에 앉아 우는데 道 之 云 遠 (.. 2024. 11. 3.
無衣(무의) : (表题(표제)는 唐风(당풍 : 당나라)이고 晋(진나라 진 : 후세에 唐을 晋으로 고쳐 부르게 된다)山西成 太原一帶民間(산서성 태원 일대 민간)에서 전해 내려온 歌謠로 風詩(풍시)라고한다) : 옷이야 없으랴만 無 衣 ( 무의 ) : 옷이야 없으랴만귀인을 사모하는 여인의 노래로 무공(武公)이진나라를 차지했을 때 그의 대부(大夫)가 천자(天子)의 사신(使臣)에게 임명하기를 청(請)하면서지은 시(詩)인데 의복(衣服)에  비유한 것으로 의칠(衣七), 의육(衣六)을 각각 후백(侯伯 : 후작과 백작)과 천자의 경(卿)들이 입은 옷으로 보고 그런 자리에 임명해달라는 뜻으로 풀이되나 칠의(七衣)을 후백(侯伯)의 복장이라 한다면 " 내게는 그것이 없으랴만 " 으로 풀이 한다.여기서 칠의(七衣)와 육의(六衣)는 제후(諸侯)의 면복에 칠(七)의 수(數)를 쓰고 禮(예)는 칠명(七命)이고 천자의 경(卿)은 육(六)의 수(數)을 쓴다느것." 옷 일곱 벌 쯤이야 내게도 있지만" 풀이된다. 豈 曰 無 衣 七 兮 ( 기일무의칠혜 ) :일.. 2024. 10.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