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경(诗经)

黃鸟(황조) : (表题(표제)는 小雅(소아 : 秦朝(진나라시대)궁중에서 불렀던 노래)이고 副表題는(魚藻之什 : 부표제는 어조지십)이다. 꾀골꾀꼴 꾀꼬리 : 꾀꼬리가 계속해서 우는 소리

by 무지개색 빨주노초파남보 2024. 11. 3.
반응형

黃 鸟 ( 황조 ) : 꾀꼴꾀꼴 꾀꼬리

꾀꼬리가 계속해서 우는 소리

 

길을 떠난 사신(使臣)환송연(歡送宴)을 받고

그 각오를 새로이 하는 노래로 미천(微賤)한 

사람이 나라의 어지러움을 풍자한 것이라 했으나

옛날에는 사신(使臣)의 고초(苦楚)가 심했지만

그런 고초(苦楚)를 감수하겠다는 굳은 의지(意志)

있었던 모양이다. 지금의 시대(時代)와는 대조적이다.

鸟 ( 鳥 ) 题 ( 題 )
누를 황 새 조 겉 표 제목 제 작을 소 맑을 아 나라이름 진 아침 조
使
버금 부 물고기 어 마름 조 갈 지 열사람 십 부릴 사 신하 신 기뻐할 환
보낼 송 잔치 연 작을 미 천할 천 괴로울 고 회초리 초 뜻 의 뜻 지

 

緜 蠻 黃 鳥 ( 면만황조 ) :

꾀꼴꾀꼴 꾀꼬리

 

止 于 丘 阿 ( 지우구아 ) :

언덕 위에 앉아 우는데

 

道 之 云 遠 ( 도지운원 ) :

갈길은 멀고 멀어

 

我勞如何 ( 아로여하 ) :

내 고생 벅차지마는

 

飮 之 食 之 ( 음지사지 ) :

술과 음식 내리시고

 

敎 之 誨 之 ( 교지회지 ) :

간곡한 분부 뼈에 스며

 

命 彼 後 車 ( 명피후차 ) :

뒤따를 수레에도

 

謂 之 載 之 ( 위지재지 ) :

준비 갖춰 어서 길 떠나리.

 

 

緜 蠻 黃 鳥 ( 면만황조 ) :

꾀꼴꾀꼴 꾀꼬리

 

止 于 丘 隅 ( 지우구우 ) :

언덕 모퉁이에 앉아 우는데

 

豈 敢 僤 行 ( 기감탄행 ) :

먼 길 떠남을 꺼리기커녕

 

畏 不 能 趨 ( 외부능추 ) :

행여 늦을까 두렵거니

 

飮 之 食 之 ( 음지사지 ) :

술과 음식 내리시고

 

敎 之 誨 之 ( 교지회지 ) :

간곡한 분부 뼈에 스며

 

命 彼 後 車 ( 명피후차 ) :

뒤따를 수레에도

 

謂 之 載 之 ( 위지재지 ) :

준비 갖춰 어서 길 떠나리.

 

緜 蠻 黃 鳥 ( 면만황조 ) :

꾀꼴꾀꼴 꾀꼬리

 

止 于 丘 ( 지우구측 : 곁측 ) :

언덕 위에 앉아 우는데

 

豈 敢 僤 行 ( 기감탄행 ) :

먼 길 떠남을 꺼리기커녕

 

畏 不 能 ( 외부능극 : 다할극 ) :

행여 못 이를까 두렵거니

 

飮 之 食 之 ( 음지사지 ) :

술과 음식 내리시고

 

敎 之 誨 之 ( 교지회지 ) :

간곡한 분부 뼈에 스며

 

命 彼 後 車 ( 명피후차 ) :

뒤따를 수레에도

 

謂 之 載 之 ( 위지재지 ) :

준비 갖춰 어서 길 떠나리.

이어질 면 종족 이름 만 누를 황 새 조 그칠 지 어조사 우 언덕 구 언덕 아
길 도 갈 지 이를 운 멀 원 나 아 일할 로 같을 여 어찌 하
마실 음 갈 지 먹이 사 갈 지 가르칠 교 갈 지 가르칠 회 갈 지
목숨 명 저 피 뒤 후 수레 거 이를 위 갈 지 실을 재 갈 지
이어질 면 종족 이름 만 누를 황 새 조 그칠 지 어조사 우 언덕 구 모퉁이 우
어찌 기 감히 감 빠를 탄 다닐 행 두려워할 외 아닐 부 능할 능 달릴 추
마실 음 갈 지 먹이 사 갈 지 가르칠 교 갈 지 가르칠 회 갈 지
목숨 명 저 피 뒤 후 수레 거 이를 위 갈 지 실을 재 갈 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