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秦 州 杂 诗 ( 진주잡시 ) :
진주에서 여러가지 생각이나
감정을 떠오르는 대로 쓴 글.
唐 | 代 | 诗 ( 詩 ) | 人 | 杜 | 甫 |
당나라 당 | 대신할 대 | 시 시 | 사람 인 | 막을 두 | 클 보 |
的 | 秦 | 州 | 杂 ( 雜 ) | 诗 ( 詩 ) | |
과녁 적 | 나라 이름 진 | 고을 주 | 섞일 잡 | 시 시 |
두보가 안사의 난을 피해 촉(蜀)으로 가던 중
진주(지금의 간쑤성 텐수이시)에 머물 때
고향을 떠나 타지에서 느끼는 외로음과 슬픔
그리고 고국에 대한 그리움을 나타내고 있다.
上 连 天 汉 落 ( 상련천한락 ) :
위로는 하늘의 은하수가
떨어지는 듯 이어지고
下 接 地 脈 浮 ( 하접지맥부 ) :
아래로는 땅의 기맥이
떠오르는 듯하네.
光 景 黃 昏 暮 ( 광경황혼모 ) :
빛나는 경치는 황혼 저녁 무렵이고
翻 翻 白 日 秋 ( 번번백일추 ) :
펄럭이는 흰 해는 가을날 같구나.
影 落 孤 鸿 舞 ( 영락고홍무 ) :
그림자 지니 외로운 기러기 춤추고
声 远 数 砧 愁 ( 성원수침수 ) :
멀리서 들리는 다듬이 소리 시름겹네.
故 国 音 书 断 ( 고국음서단 ) :
고향 소식 끊어지고
羁 棲 日 月 流 (기서일월류 ) :
타향살이 덧없이 세월만 흘러가네.
上 | 连 ( 連 ) | 天 | 汉 ( 漢 ) | 落 | 下 | 接 | 地 | 脈 | 浮 |
윗 상 | 잇닿을 련 | 하늘 천 | 한수 한 | 떨어질 락 | 아래 하 | 이을 접 | 땅 지 | 혈맥 맥 | 뜰 부 |
光 | 景 | 黃 | 昏 | 暮 | 翻 | 翻 | 白 | 日 | 秋 |
빛 광 | 볕 경 | 누를 황 | 어두울 혼 | 저물 모 | 날 번 | 날 번 | 흰 백 | 날 일 | 가을 추 |
影 | 落 | 孤 | 鸿 ( 鴻 ) | 舞 | 声 ( 聲 ) | 远 ( 遠 ) | 数 ( 數 ) | 砧 | 愁 |
그림자 영 | 떨어질 락 | 외로울 고 | 기러기 홍 | 춤출 무 | 소리 성 | 멀 원 | 셈 수 | 다듬잇돌침 | 근심 수 |
故 | 国 ( 國 ) | 音 | 书 ( 書 ) | 断 ( 斷 ) | 羁 ( 覊 ) | 棲 | 日 | 月 | 流 |
연고 고 | 나라 국 | 소리 음 | 글 서 | 끊을 단 | 굴레 기 | 깃들일 서 | 날 일 | 달 월 | 흐를 류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