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百 联 抄 解 (백련초해) :
대구(한시에서 두 줄로 이루어져 의미상 대를
이루는 구절을 말한다)를 이루는 백 쌍의 한자를
뽑아 그 뜻과 쓰임을 풀이한 책으로 처음 한시를
배우는 사람들을 위한 한시 학습 입문서입니다.
朝 | 鲜 ( 鮮 ) | 时 ( 時 ) | 代 | 文 | 人 | 金 |
아침 조 | 고울 선 | 때 시 | 대신할 대 | 글월 문 | 사람 인 | 성씨 김 |
麟 | 厚 | 的 | 百 | 联 ( 聯 ) | 抄 | 解 |
기린 인 | 두터울 후 | 과녁 적 | 일백 백 | 연이를 련 | 뽑을 초 | 풀 해 |
고요한 밤의 풍경과 봄의 정경을 나타낸
것으로 밤하늘의 달과 별을 아름답게 비유했으며
달의 둥근 모양을 손잡이 없는 부채에 빛나는
별들을 흩어진 구슬에 표현했다.
月 为 无 柄 扇 ( 월위무병선 ) :
달은 자루 없는 부채가 되고
星 作 绝 缨 珠 ( 성작절영주 ) :
별은 끊어진 갓끈의 구슬이 되네.
风 来 花 自 舞 ( 풍래화자무 ) :
바람이 오니 꽃은 스스로 춤추고
春 入 鸟 能 言 ( 춘입조능언 ) :
봄이 드는 새는 능히 말하는 듯하네.
月 | 为 (爲 ) | 无 ( 無 ) | 柄 | 扇 | 星 | 作 | 绝 ( 絶 ) | 缨 (纓 ) | 珠 |
달 월 | 할 위 | 없을 무 | 자루 병 | 부채 선 | 별 성 | 지을 작 | 끊을 절 | 갓 끈 영 | 구슬 주 |
风 ( 風 ) | 来 ( 來 ) | 花 | 自 | 舞 | 春 | 入 | 鸟 ( 鳥 ) | 能 | 言 |
바람 풍 | 올 래 | 꽃 화 | 스스로 자 | 춤출 무 | 봄 춘 | 들 입 | 새 조 | 능할 능 | 말씀 언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