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try-content a, .post-header h1 em, .comments h2 .count { color: #000000 } .comment-form .submit button:hover, .comment-form .submit button:focus { background-color: #000000 }
본문 바로가기
  • Knock247127 은설(銀雪)
728x90
반응형

전체 글517

시조(時調) : 조선 중기의 시조 작가 이항복 《文臣 李恒福》 철령(鐵嶺) 높은 봉(峯)을 철령(鐵嶺) 높은 봉(峯)을 철령(鐵嶺) 높은 봉을 쉬어 넘는 저 구름아고신원루(孤臣寃淚)를 비 사마 띄어다가님 계신 구중심처(九重深處)에 뿌려 본들 어떠리. 철령의 높은 봉우리를 단숨에 넘지 못하고 쉬었다가 넘는 저 구름아!임금의 총애를 잃고 유배지로 가는 외로운신하의 원통한 눈물을 비 대신 띄워 가지고 가서임금이 계신 깊은 대궐 안에 뿌리는 것이 어떠하겠는가? 《작품의 배경》광해군(光海君) : 조선 최초로 후궁 태생의 서지로서 황세자에 책봉된 인물로 조선의 제15대 국왕. 선조의 계비(繼妃 : 임금 후취인의 비)였던 인목대비는 영창대군을 낳았고 이는 광해군의 왕위 계승에 위협이되자 광해군은 왕위에 오른후 인목대비의 아버지 김제남을 역모로 몰아 죽이고 영창대군마저 강화도로 유배를 보내 죽였다, 그.. 2025. 7. 8.
시조(時調) : 조선의 제17대 왕 효종《봉림대군》 靑石嶺(청석령) 지나거냐 靑石嶺 (청석령) 지나거냐 《병자호란(丙子胡亂)의 패전으로 소현세자와 함께 불모가 되어청나라 심양으로 끌려갈 때 청석령을 지나면서 부른 노래이다》 청석령(靑石嶺)지나거냐 초하구(草河溝) 어듸메오호풍(胡風)도 참도 찰샤 구즌 비는 무스 일고뉘랴 내 행색(行色) 그려 내어 님 계신 듸 드릴고 청석령을 지나 이제 초하구에 다다랐는가?오랑캐 땅의 바람은 참으로 차갑기도 하구나누가 내 초라한 행색을 그려내어 임금(인조)계신 곳에 전해줄까?- - - - - - - - -청석령(靑石嶺)지나거냐 초하구(草河溝) 어디메오호풍(胡風)도 차도 찰샤 궂은비는 무슨 일고아무나 내 행색(行色) 그려 내어 님 계신 데 드릴고 청석령을 지났는냐, 초하구는 또 어디쯤인가?호풍(북쪽 오랑캐 땅에서 몰아치는 바람)은 차갑고 찬데(이 겨울.. 2025. 7. 7.
大韩民国 《女流诗人 金南祚》 纸鹤(대한민국 《여류시인 김남조》 지학) : 종이 학 纸 鹤 (지학) :종이 학 大韩 (韓)民国 (國)女流诗 (詩)클 대나라 한백성 민나라 국여자 녀흐를 류시 시人金南祚纸 (紙)鹤 (鶴)繡 (繍)사람 인성씨 김남녘 남복 조종이 지학 학수놓을 수 삶의 현실적인 고통과 상처 속에서 순수함과 희망 그리고 세상의 부조히함과 개인적인 고뇌 앞에서 침묵하기도 하지만 결국은 백지처럼 비어있는 마음과 희망을 상징하는 종이학으로 만들어내며 삶의 의미를 슬픔과 고통속에서도 아름다움과 진실을 찾고자 하는 마음을 표현했다 종이학 / 김남조 생활이며 詩며 도무지 사치한 상처라 이를 밖에 가슴이 비어 아무 말도 적지 못한 원고지로하얀 종이 鶴을 접는다 은바늘 눌러 꽃은 나비 보다는 보기에도 죄가 적고검은 繡실에 꿰어 맴을 돌리니 한줌 바람이 가늘가늘 밀리네요 어린 것이 자라서 오.. 2025. 7. 6.
中国 唐朝时代 《诗人 贾岛》 寻隐者不遇(중국 당나라 시대 《시인 가도》심은자불우) : 은자를 찾아갔으나 만나지 못하다 寻隐者不遇 (심은자불우) :은자를 찾아갔으나 만나지 못하다 中国 (國)唐朝时 (時)代诗 (詩)人가운데 중나라 국당나라 당아침 조때 시대신할 대시 시사람 인贾 (賈)岛 (島)的寻 (尋)隐 (隱)者不遇값 가섬 도과녁 적찾을 심숨을 은놈 자아닐 불만날 우 소나무 아래에서 동자에게 은자 스승이 어디계신지 묻자 동자는 스승이 분명히 이 산 안에계시지만 구름이 너무 깊이 드리워져 있어서정확히 어디에 계신지 자신도 알 수 없다고 하니은자를 찾으러 간 간절한 마음과 은둔자의 신비로움그리고 자연의 깊고 오묘함을 표현하고 있다. 松 下 问 童 子 (송하문동자) :소나무 아래에서 동자에게 물으니 言 师 采 药 去 (언사채약거) :스승님은 약 캐러 가셨다네. 只 在 此 山 中 (지재차산중) :다만 이 산중에 계시는데 云 .. 2025. 7. 5.
中国 北宋时代 《词作家 晏几道》 长相思(중국 북송시대 《사작가 안기도》 장상사) : 긴 시간 동안 그리워하다 长 相 思 (장상사) :긴 시간 동안 그리워한다《서로를 그리워함》 中国 (國)北宋时 (時)代词 (詞)作가운데 중나라 국북녘 북송나라 송때 시대신할 대말 사지을 작家晏几 (幾)道的长 (長)相思집 가늦을 안조짐 기길 도과녁 적길 장서로 상생각 사 그리움은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야만 끝날 수 있으며 그 그리움의 깊이는 마음이 깊지 않는 사람은 이해하기 어렵다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이처럼 절절한 그리움을 누구에게도 온전히 털어놓을 수 없으며 마음이 얕은 사람들은 이 깊은 감정을 결코 이해하지 못할 것이라는외롭고도 깊은 사랑의 고통을 표현하고 있다. 长相思 (장상사) : 그리워 长相思 (장상사) :그리워 若 问 相 思 甚 了 期 (약문상사심료기) :만약에 그리움이 언제 끝나는지 묻는다면 除 非 相 见 时 (제비상.. 2025. 7. 5.
中国 唐朝时代 第十四代 《皇帝 李昂》 宫中题(중국 당나라 시대 제14대 《황제 이앙》 궁중제) : 궁주에서 짓다 《황실에서 시를 짓다》 宫中题 (궁중제) :궁주에서 짓다《황실에서 시를 짓다》 中囯 (國)唐朝时 (時)代第十四가운데 중나라 국당나라 당아침 조때 시대신할 대차례 제열 십넉 사代皇帝李昂 (昻)的宫 (宮)中题 (題)대신할 대임금 황임금 제오얏 리밝을 앙과녁 적집 궁가운데 중제목 제 궁궐의 가을 풍경을 배경으로 지어진 시로 제왕의 고독과 번뇌를 쓸쓸한 풍경과 화려하지만 무상한 궁궐의 모습 속에서 황제는 높은 자리에 앉아 헤아릴 수 없는 많은 생각에 잠겨 있는 모습에 그를 모시는 신하들조차 그 깊은 마음을 알아주고 헤아려 줄 만한 신하나 벗이 더 이상 없고 화려함 뒤에 숨겨진 고독감과 쓸쓸함을 표현하고 있다. 辇 路 生 秋 草 (연로생추초) :황제가 타는 수레 길에 가을 풀이 자라고 上 林 花 满 枝 (상림화만지) :상림원에는 .. 2025. 7. 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