凌霄花 (능소화) :
능소화
凌 | 霄 | 花 | 自 | 作 | 诗 (詩) | 星 | 花 |
얼음 릉 | 하늘 소 | 꽃 화 | 스슬로 자 | 지을 작 | 시 시 | 별 성 | 꽃화 |
능소화는 여름에 피는 아름다운 꽃으로
담장을 타고 높이 뻗어 올라가는 모습이
아름다운 꽃입니다.
능소화는 과거시험에 장원급제한 사람에게
임금이 내리던 '어사화'로 쓰이기도 해서
'양반꽃'이라곧 불렸으며 이 때문에
'명예' 와 '영광'이라는 꽃말일 생겨났다고 합니다.
또한 궁녀 '소화'가 임금의 사랑을 기다리다가
죽은 후 그 무덤가에 피었다는 슬픈 전설 때문에
'그리움' 과 '기다림'이라는 꽃말도 가지고 있습니다.
- 능소화 꽃말
명예
영광
그리움
기다림
- 능소화의 전설
옛날 중국에 '능소'라는 어여쁜 궁녀가 살고 있었습니다.
그녀는 황제의 총애를 받아 한동안 행복한 시간을 보냈지만
이내 다른 후궁들에게 밀려나고 황제에게 잊히게 됩니다.
황제의 사랑을 다시 얻고자 능소는 매일같이 황제가 자신을
찾아와 주기를 기다리며 담장 밖을 하염없이 바라보았다고 합니다.
그러나 황제는 끝내 능소를 찾지 않았고 능소는 기다림 속에서
쓸쓸히 죽음을 맞이합니다. 그녀가 죽은 후 능소가 살던 처소
담벼락에는 아름다운 주황색 꽃이 피어났습니다. 사람들은
이 꽃이 마치 능소가 담장 너머 황제를 기다리듯 하늘을 향해
피어나는 모습이라 하여 능소의 이름을 따 능소화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처럼 능소화는 단순한 꽃이 아니라
이루지 못한 사랑과 간절한 기다림의 상징이기도 합니다.
과거 소중한 인연에 대한 깊은 그리움과 애틋함
그리고 그 인연이 다시 돌아올 수 없다는 비극적인
현실을 받아들이면서도 놓지 못하는 마음
즉, 깊은 그리움과 기다림 그리고 돌아오지
못할 것에 대한 체념으로 과거의 어떤 순간이나
대상을 잊지 못하고 끊임없이 기다리지만 동시에
그것이 다시 돌아올 수 없음을 인지하며
고통스러운 마음을 표현하고 있다.
【별화님의 자작시를 담아 온 글입니다.
아래 링크를 마우스 우측 클릭 새창 열기로
열어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까마득한 날, 줄지어 둥글어져
알 수 없는 형상으로 윤기 나던 고리 안에
갇혀 있던 기다림
솔바람 소리 내며 '내간채'로 흐느끼네
어둠이 보름날 지상으로 내려
놀빛으로 피고 졌다
임의 손길, 잊지 않으며 오시길 기다리네.
밤새 외눈 깜빡일 때마다 나의 몸은
핑그르르 돌아 야위어만 간다
새벽의 태를 열어 너울지는 삶의 무늬
내 안에 오직 단 한 사람
다시 돌아오지 못할 것을 나는 알고 있네
베적삼 앞자락 맺히고 얽히는 그리움.
'내간채 다른 표현 :
1) 노을처럼 아름답게 피어났다가 노을처럼 사라졌네.
2) 노을빛 고운 꿈이 하늘에 피더니 덧없이 스러져 흔적도 없구나.
아름다운 기억만이 맘속에 남았네.
3) 님 모르게 속으로 깊이 간직한 뜻을 어찌 그리 모르고 한숨만 쉬시나요.'
능소화 자작詩(시) / 별화
까마득한 날, 줄지어 둥글어져알 수 없는 형상으로 윤기 나던 고리안에갇혀 있던 기다림솔바람 소리내며 내간채로 흐느끼네어둠이 보름날 지상으로 내려놀빛으로 피고 졌다임의 손길, 잊지않
qufekfma0111.tistory.com
中国语 Version remake
(중국어 버전 리메이크) :
茫 茫 岁 月 (망망세월) :
까마득한 날
日 复 一 日 地 消 逝
(일복일일지소서) :
줄지어 둥글어져
在 闪 耀 着 光 泽 (재섬요착광택) :
알 수 없는 형상으로
却 又 无 法 辨 认 的 环 內
(각우무법변인적환내) :
윤기 나던 고리 안에
被 囚 禁 的 等 待 (피수금적등대) :
갇혀 있던 기다림
松 风 鸣 咽 (송풍명인) :
솔바람 소리내어
悄 悄 地 无 声 地 抽 泣 着
(초초지무성지추읍착) :
남몰래 소리 없이 흐느껴우네
黑 暗 在 月 圆 之 夜 降 临 大 地
(흑암재월원지야강임대지) :
어둠이 보름날 지상으로 내려
随 着 晩 霞 盛 开 和 凋 谢
(수저만하성개화조사) :
놀빛으로 피고 졌다
不 曾 忘 记 您 的 手
(불증망기니적수) :
님의 손길 잊지 않으며
等 待 着 您 的 到 來
(등시착니적도래) :
오시길 기다리네.
每 当 夜 里 独 眼 眨 动
(매당야리독안잡동) :
밤새 외눈 깜박일 때마다
我 的 身 体 (아적신체) :
나의 몸은
不 停 地 旋 转 (불정지선전) :
핑그르르 돌아
变 得 越 来 越 瘦 (변득월래월수) :
야위어만 간다
开启 黎 明 之 胎 (개계려명지태) :
새벽의 태를 열어
生 命 的 纹 路 随 之 荡 漾
(인생적문로수지탕양) :
너울지는 삶의 무늬
我 心 中 唯 有 那 一 人
(아심중유유나일인) :
내 안에 오직 단 한 사람
您 不 会 再 回 来 (니불회재회래) :
다시 돌아오지 못할 것을
我 知 道 (아지도) :
나는 알고 있네.
衣 襟 前 摆 系 (의금전파계) :
베적삼 앞자락 맺히고
缠 锦 的 思 念 (전금적사념) :
얽히는 그리움
'별화님의 자작시 (중국어 Vers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蜀葵 自作诗 / 星花(촉규 자작시 / 별화) : 접시꽃 (6) | 2025.07.03 |
---|---|
梅雨 自作诗 / 星花(매우 자작시 / 별화) : 장마 (29) | 2025.06.23 |
柿花回忆 自作诗 / 星花(시화회억 자작시 / 별화) : 감꽃 추억 (7) | 2025.06.17 |
藤本月季 自作诗 / 星花(등본월계 자작시 / 별화) : 넝쿨장미 (2) | 2025.06.13 |
波斯菊花路 自作诗 / 星花(파사국화로 자작시 / 별화) : 코스모스 꽃길 (14) | 2025.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