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孔 子 曰 駟 不 及 舌(공자왈 사불급설) :
네 필의 말이 끄는 수레도 혀를 따라 잡을 수 없다.
즉, 말을 삼가하라는 뜻이다.
论 ( 論 ) | 语 ( 語 ) | 子 | 貢 | 曰 | 駟 ( 驷 ) | 不 | 及 | 舌 |
논의할 론 | 말씀 어 | 아들 자 | 받칠 공 | 가로 왈 | 사마 사 | 아닐 불 | 미칠 급 | 혀 설 |
자공(子貢) | 자공께서 말씀하시길 | 사(駟)네 필이라도 | 불급설(不及舌) | 혀를 따라갈 수 없다. |
네 마리 말이 끄는 빠른 수레도 사람의 혀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말로 소문은 빨리 퍼지니
말을 삼가하라는 뜻이다.
한 번 입에서 나온 말은 취소할 수가 없다고
경고한 말이다.
위나라 대부 극자성과 공자의 제자 자공(子貢)이
군자에 대하여 토론하고 있을 때 극자성이
《 君子質而已矣 何以文爲 : 군자질이이의 하이문위 》:
군자는 본바탕이 중요한 것이다. 겉치레는 무엇하리오.
라고 말한데 대해서 자공이 이를 비판한 대답이다.
자공은 "유감스럽게도 당신은 말을 실수했다.
실언은 네 필이 끄는 수레로 쫒아가도 따라 잡을
수 없다"고 반박했다. 즉 한번 입에서 발설한 말은
취소할 수가 없다는 뜻이다.
자공은 이어서 본질과 형식은 표리일체(表裏一體)라고
말했다. 비유하면 호랑이나 표범의 가죽도 털을 뽑으면
개나 양가죽과 구별하기 어렵게 되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덧 붙였다.
이와 비슷한 말로는
언비천리(言飛千里) : 발 없는 말이 천리간다.
악사천리(惡事千里) : 나쁜 소문은 세상에 빨리 퍼진다.
복수난수(覆水難水) : 엎질러진 물은 다시 담을 수 없다.
삼함(三緘) : 입을 세 번 꿰매라. 즉 말을 삼가라는 뜻이다.
君 | 子 | 質 (质 ) | 而 | 已 | 矣 | 何 | 以 | 文 | 爲 (为 ) |
임금 군 | 아들 자 | 바탕 질 | 말이을 이 | 이미 이 | 어조사 의 | 어찌 하 | 써 이 | 글월 문 | 할 위 |
表 | 裏 (里) | 一 | 體 (体 ) | 言 | 飛 ( 飞 ) | 千 | 里 | ||
겉 표 | 속 리 | 한 일 | 몸 체 | 말씀 언 | 날 비 | 일천 천 | 마을 리 | ||
惡 ( 恶 ) | 事 | 千 | 里 | 覆 | 水 | 難 ( 难 ) | 水 | 三 | 緘 ( 缄 ) |
악할 악 | 일 사 | 일천 천 | 마을 리 | 다시 복 | 물 수 | 어려울 난 | 물 수 | 석 삼 | 봉할 함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