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어(论语)

论语 : 子曰 君子는 和而不同하고 小人은 同而不和니라(논어 : 자왈 군자는 화이부동하고 소인은 동이불화니라) : 군자는 서로 어울리되 패거리를 짓지 않고 소인은 패거리를 짓되 서로 화합하지 않는다.

by 무지개색 빨주노초파남보 2024. 11. 4.
반응형

 

子曰 君子는 和而不同하고

(자왈 군자는 화이부동)하고

군자는 서로 어울리되 패거리를 짓지 않고

 

小人은 同而不和니라

(소인은 동이불화)니라 :

소인은 패거리를 짓되 서로 화합하지 않는다.

 

군자는 사람들과 화합하지만,

뇌동(雷同 : 줏대없이 남의 의견에 따라 움직임)

하지 않는다. 소인은 뇌동하지만 화합하지 않는다.

 

이해관계에 연연하지 않는 것이 화이부동이고

실리에 연연하는 것이 동이불화이다.동

 

화(和)란 서로 화합해서 사이가 좋아지는 것.

그러나 동(同)과는 틀리다. 우뢰소리가 나면

만물이 동시에 여기에 응하는 현상을 뇌동(雷同)

이라도 하지만, 생각하지도 않고 덮어놓고 타인에

동조하는 태도를 비유한다. 따라서 화(和)에는

주체성이 있지만 동(同)에는 주체성이 전혀 없다.

 

화(和)는 다른 사람과 마음과 뜻이 잘 통하고

어울리는 것이며 동(同)이란 이익이나 목적을

위해 남과 행동을 같이 하는 것을 말한다.

 

论 (論 ) 语 ( 語 )    
의혼할 론 말씀 어 아들 자 가로 왈    
임금 군 아들 자 화할 화 말이을 이 아닐 부 한가지 동
작을 소 사람 인 한가지 동 말이을 이 아닐 불 화할 화
자왈(子曰)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부동(不同) 아부하지 않고 불화(不和) 어울리지 못한다
군자(君子) 군자는 소인(小人) 소인은    
화이(和而) 조화롭게 어울리지만 동이(同而) 아부하지만    

 

반응형

'논어(论语)' 카테고리의 다른 글

论语 : 子曰 歲寒然後에 知松栢之後彫也니라(자왈 세한연후에 지송백지후조야니라) : 날이 추운 뒤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뒤늦게 시듬을 알 수 있다.  (1) 2024.11.13
论语 : 子曰 愛之, 能勿勞乎아? 忠焉, 能勿誨乎아?(논어 : 자왈 애지, 능물로호아? 충언 능물회호아?) : 그를 사랑한다고 해서 수고롭히지 않을 수 있겠는가? 충성을 다 한다고 해서 깨우쳐 주지 않을 수 있겠는가?  (0) 2024.11.07
论语 : 子曰見利思義하고 見危授命하며 久要에 不望平生之言이면 亦可以爲成人矣니라(논어 : 자왈 견리사의하고 견위수명하며 구요에 불망평생지언이면 역가이위성인위니라.)이로운 것을 보면 의를 생각하고 위태로운 것을 보면 목숨을 바칠것을 생각하며, 오래된 약속이라도 평소에 한 그말들을 잊지 않는다면 또한 성인이다.  (2) 2024.11.04
论语 : 子曰 貧而無怨은 難하고 富而無驕는 易니라(논어 : 자왈 빈이무원은 난하고 부이무교는 이니라) : 가난하면서도 원망하지 않기는 어렵지만, 부유하면서 교만하지 않기는 쉽다.  (0) 2024.11.02
论语 : 孔子曰 君子之德風지요 小人之德草라 草上之風必偃여라(논어 : 공자왈 군자지덕풍지요 소인지덕초라 추상지풍필언여라) : 군자의 덕은 바람과 같고 소인이 덕은 풀과 같다.  (1) 2024.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