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어(论语)

论语 : 子曰 歲寒然後에 知松栢之後彫也니라(자왈 세한연후에 지송백지후조야니라) : 날이 추운 뒤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뒤늦게 시듬을 알 수 있다.

by 무지개색 빨주노초파남보 2024. 11. 13.
반응형

 

歲寒然後에(세한연후)에

知松栢之後彫也니라

(지송백지후조야니라) :

 

날이 추운 뒤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시들지 않음을 안다.

 

안중근 의사(安重根 義士)가

옥중(旅順監獄 : 여순감옥)에서 휘호한

歲寒然後知松栢之不彫(세한연후지송배지불연)

날이 추운 뒤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시들지

않음을 안다.

 

공자가 말씀하시길 한 해가 저물어 추워진 후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뒤늦게 시드는 것을 알 수 있느리라.

 

날씨가 추워진 뒤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다른 나무들보다 더디 시들게 됨을 알게 되는

것처럼 어려움을 만났을 때 비로소 그 진가를

발휘하게 된다는 뜻이다.

어떤 계기로 인해 평소 닦고 쌓아온 수행의

본뜻을 발휘할 수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论 (論 ) 语 ( 語 ) 歲 (岁 ) 後 ( 后 )
논할 론 말씀 어 아들 자 가로 왈 해 세 찰 한 그럴 연 뒤 후
後 ( 后 )  
알 지 소나무 송 측백 백 갈 지 뒤 후 새길 조 어조사 야  
자왈(子曰)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지송(知松) 소나무와    
세한(歲寒) 한해가 저물어 추워지면 백지(柏之) 잣나무의    
연후(然後) 그러고 난 뒤에야 후조야(後彫也) 뒤늦게 시듬을 알 수 있다    

 

 

반응형

'논어(论语)' 카테고리의 다른 글

论语 : 君者는 泰而不骄하고 小人은 骄而不泰니라(논어 : 군자는 태이불교하고 소인은 교이불태니라) : 군자는 섬기기는 쉬워도 기쁘게 하기는 어렵고, 그 사람에게 일을 시킬 때는 그릇에 맞게 시켜라.  (0) 2024.11.27
论语 : 不患無位요 患所以立하며 不患莫己知요 求爲可知也니라( 불환무위요 환소이립하며 불환막기지요 구위가지야니라) : 남들이 자기를 알아주지 않는 것을 근심하지 말고 다른 사람들이 알아줄 수 있도록 노력하라.  (0) 2024.11.21
论语 : 子曰 愛之, 能勿勞乎아? 忠焉, 能勿誨乎아?(논어 : 자왈 애지, 능물로호아? 충언 능물회호아?) : 그를 사랑한다고 해서 수고롭히지 않을 수 있겠는가? 충성을 다 한다고 해서 깨우쳐 주지 않을 수 있겠는가?  (0) 2024.11.07
论语 : 子曰 君子는 和而不同하고 小人은 同而不和니라(논어 : 자왈 군자는 화이부동하고 소인은 동이불화니라) : 군자는 서로 어울리되 패거리를 짓지 않고 소인은 패거리를 짓되 서로 화합하지 않는다.  (1) 2024.11.04
论语 : 子曰見利思義하고 見危授命하며 久要에 不望平生之言이면 亦可以爲成人矣니라(논어 : 자왈 견리사의하고 견위수명하며 구요에 불망평생지언이면 역가이위성인위니라.)이로운 것을 보면 의를 생각하고 위태로운 것을 보면 목숨을 바칠것을 생각하며, 오래된 약속이라도 평소에 한 그말들을 잊지 않는다면 또한 성인이다.  (2) 2024.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