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木 瓜 (목과) : 모과
주(周)나라 무왕(武王)은 은(殷)나라를
멸(灭)한 뒤 그 땅을 패(邶), 용(鄘), 위(衛)로
가르고 다스리다가 자손대(子孙代)에 이르러
위(卫)로 통합하여 불렀다.
木 | 瓜 | 表 | 题 ( 題 ) | 国 ( 國 ) | 风 ( 風 ) | 副 | 题 ( 題 ) | 卫 ( 衛 ) | 风 ( 風 ) |
나무 목 | 오이 과 | 겉 표 | 제목 제 | 나라 국 | 바람 풍 | 버금 부 | 제목 제 | 지킬 위 | 바람 풍 |
诗 ( 詩 ) | 经 ( 經 ) | 武 | 王 | 殷 | 灭 ( 滅 ) | 鄘 | 子 | 孙 ( 孫 ) | 代 |
시 시 | 지날 경 | 호반 무 | 임금 왕 | 성할 은 | 다할 멸 | 나라이름용 | 아들 자 | 손자 손 | 대신할 대 |
남녀가 어울려 과일과 구슬을 서로 던지고
받으며 부르던 노래로 여자가 먼저 남자에게
과일을 던지면 과일은 애정의 표시로서 여자가
평소 마음에 둔 남자에게 던지는 것이다.
과일을 받은 남자도 상대가 싫지 않으면 그에게
예쁜 구슬을 주어 사랑을 맹세한다.
投 我 以 木 瓜 ( 투아이목과 ) :
나에게 모과를 던져 주시니
报 之 以 琼 琚 ( 보지이경거 ) :
나는 아름다운 패옥으로 보답했네.
匪 报 也 ( 비보야 ) :
보답하려는 것이 아니라
永 以 为 好 也 ( 영이위호야 ):
영원히 좋은 짝이 되려는 것이라네.
投 我 以 木 桃 ( 투아이목도 ) :
나에게 모복숭아를 던져 주시니
报 之 以 琼 瑶 ( 보지이경요 ) :
나는 아름다운 옥으로 보답했네.
匪 报 也 ( 비보야 ) :
보답하려는 것이 아니라
永 以 为 好 也 ( 영이위호야 ):
영원히 좋은 짝이 되려는 것이라네.
投 我 以 木 李 ( 투아이목이 ) :
나에게 오얏을 던져 주시니
报 之 以 琼 玖 ( 보지이경구 ) :
나는 아름다운 옥돌로 보답했네.
匪 报 也 ( 비보야 ) :
보답하려는 것이 아니라
永 以 为 好 也 ( 영이위호야 ):
영원히 좋은 짝이 되려는 것이라네.
投 | 我 | 以 | 木 | 瓜 | 报 ( 報 ) | 之 | 以 | 琼 | 琚 |
던질 투 | 나 아 | 써 이 | 나무 목 | 오이 과 | 갚을 보 | 갈 지 | 써 이 | 아름다운옥경 | 패옥 거 |
匪 | 报 ( 報 ) | 也 | 永 | 以 | 为 ( 爲 ) | 好 | 也 | ||
비적 비 | 갚을 보 | 어조사 야 | 길 영 | 써 이 | 할 위 | 좋을 호 | 어조사 야 | ||
投 | 我 | 以 | 木 | 桃 | 报 ( 報 ) | 之 | 以 | 琼 | 瑶 ( 瑤 ) |
던질 투 | 나 아 | 써 이 | 나무 목 | 복숭아 도 | 갚을 보 | 갈 지 | 써 이 | 아름다운옥경 | 옥 요 |
匪 | 报 ( 報 ) | 也 | 永 | 以 | 为 ( 爲 ) | 好 | 也 | ||
비적 비 | 갚을 보 | 어조사 야 | 길 영 | 써 이 | 할 위 | 좋을 호 | 어조사 야 | ||
投 | 我 | 以 | 木 | 李 | 报 ( 報 ) | 之 | 以 | 琼 | 玖 |
던질 투 | 나 아 | 써 이 | 나무 목 | 오얏 리 | 갚을 보 | 갈 지 | 써 이 | 아름다운옥경 | 옥돌 구 |
匪 | 报 ( 報 ) | 也 | 永 | 以 | 为 ( 爲 ) | 好 | 也 | ||
비적 비 | 갚을 보 | 어조사 야 | 길 영 | 써 이 | 할 위 | 좋을 호 | 어조사 야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