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경(诗经)

诗经(시경) : 蝃蝀(체동) 表题(표제)는国风(국풍)이고 副题(부제)는 鄘风(용풍 : 周朝(주나라 시대)河南省 淇县 东北(하남성 기현 동북)에 위치했던 卫国(위나라)에서 내려온 风诗(풍시 : 바람에 전해지는 민가 노래 시) : 무지개

728x90
반응형

蝃 蝀(체동) :

지개

 

주(周)나라 무왕(武王) 은(殷)나라를

멸(灭)한 뒤 그 땅을 패(邶), 용(鄘), 위(衛)로 

가르고 다스리다가 자손대(子孙代)에 이르러

위(衛)로 통합하여 불렀다.

 

무지개는 여자가 구혼(求婚)을 거절하는 노래로

또한, 무지개는 수절(守节)하는 과부의 비유로서

아무리 예뻐도 건드리지 않는다는 뜻이기도 하다.

 

蝃 (䗖) 题 (題) 国 (國) 风 (風) 题 (題)
무지개 체 무지개 동 겉 표 제목 제 나라 국 바람 풍 버금 부 제목 제
风 (風)  
나라이름 용 바람 풍 두루 주 아침 조 물 하 남녘 남 살필 성  
县 (縣) 东 (東) 卫 (衞) 国 (國) 风 (風) 诗 (詩)
물이름 기 고을 현 동녘 동 북녘 북 지킬 위 나라 국 바람 풍 시 시
灭 (滅) 孙 (孫)
굳셀 무 임금 왕 은나라 은 멸할 멸 나라이름 용 아들 자 손자 손 대신할 대
节 (節)        
구할 구 혼인할 혼 지킬 수 마디 절        

 

蝃 蝀 在 东 (체동재동) :

동편 무지개 찬란해도

 

莫 之 敢 指 (막지감지) :

손가락질 감히 안하는 법.

 

女 子 有 行 (여자유행) :

여자란 시집을 가고

 

远 父 母 兄 弟 (원부모형제) :

부모 형제 떠나는 것.

 

朝 隮 于 西 (조제우서) :

아침에 서쪽 무지개 서면

 

崇 朝 其 雨 (숭조기우) :

아침 내내 비가 오는 법.

 

女 子 有 行 (여자유행) :

여자란 시집을 가고

 

远 兄 弟 父 母 (원형제부모) :

형제 부모 떠나는 것.

 

乃 如 之 人 也 (내여지인야) :

이런 사람은 맘 속으로

 

怀 昏 姻 也 (회혼인야) :

혼인 생각 하지만

 

大 无 信 也 (대무신야) :

너무 믿음이 없으니

 

不 知 命 也 (부지명야) :

도리를 모르는 걸까.

 

蝃 (䗖) 东 (東)  
무지개 체 무지개 동 있을 재 동녘 동 없을 막 갈 지 감히 감 손가락 지  
远 (遠)
여자 녀 아들 자 있을 유 다닐 행 멀 원 아비 부 어미 모 맏 형 아우 제
西  
아침 조 오를 제 어조사 우 서녘 서 높을 숭 아침 조 그 기 비 우  
远 (遠)
여자 녀 아들 자 있을 유 다닐 행 멀 원 맏 형 아우 제 아비 부 어미 모
怀 (懷)
이에 내 같을 여 갈 지 사람 인 어조사 야 품을 회 어두울 혼 혼인 인 어조사 야
无 (無)  
큰 대 없을 무 믿을 신 어조사 야 아닐 부 알 지 목숨 명 어조사 야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