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曰 君子는
( 자왈 군자 )는 :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군자는
和而不同하고
( 화이부동 )하고 :
조화롭게 어울리지만 아부하지 않고
小人同而不和니라
( 소인동이불화 )니라 :
소인은 아부하지만 어울리지 못한다.
论 ( 論 ) | 语 ( 語 ) | 子 | 曰 | 君 | 子 | 和 | 而 |
논의할 론 | 말씀 어 | 아들 자 | 가로 왈 | 임금 군 | 아들 자 | 화할 화 | 말이을 이 |
不 | 同 | 小 | 人 | 同 | 而 | 不 | 和 |
아닐 부 | 한가지 동 | 작을 소 | 사람 인 | 한가지 동 | 말이을 이 | 아닐 불 | 화할 화 |
군자는 사람들과 화합하지만 뇌동(雷同)하지는 않는다.
소인은 뇌동하지만 화합하지는 않는다.
이해 관계에 연연하지 않는 것이 화이부동(和而不同)이고
실리(實利)에 연연하는 것이 동이불화(同而不和)이다.
화(和)란 서로 화합해서 사이가 좋아지는 것.
그러나 동(同)과 틀리다.
우뢰소리가 나면 만물이 동시에 여기에 응하는
현상을 뇌동(雷同)이라고 하지만 생각하지도 않고
덮어 놓고 타인에 동조하는 태도를 비유한다.
따라서 "화"에는 주체성이 있지만
"동"에는 주체성이 전혀 없다.
즉, 화(和)는 다른 사람과 마음과 뜻이 잘
통하여 어울리는 것이며
동(同)은 이익이나 목적을 위해 남과 행동을
같이 하는 것을 말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