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浪 淘 沙 (낭도사) :
낭도사는 악부의 곡사이름이며 물결에 씻겨지는 모래
中 | 国 ( 國 ) | 淸 | 初 | 时 ( 時 ) | 代 | 词 ( 詞 ) | 作 | 家 |
가운데 중 | 나라 국 | 맑을 청 | 처음 초 | 때 시 | 대신할 대 | 말씀 사 | 지을 작 | 집 가 |
纳 ( 納 ) | 兰 ( 蘭 ) | 性 | 德 | 的 | 浪 | 淘 | 沙 | |
들일 납 | 난초 란 | 성품 성 | 큰 덕 | 과녁 적 | 물결 랑 | 쌀 일 도 | 모래 사 | |
악부(乐府) | 인정(人情) 풍속(风俗)을 내용(內容)으로 읊은 한시(汉诗)의 한 체 | |||||||
곡사(曲词) | 곡(曲)을 의미하며 사(词)는 음악과 분리된 뒤에 노래 가사로 생겨난 한문문체이다. |
결혼한 지 3년 만에 그의 아내가 출산 중 사망했다.
애정이 깊었던 만큼 사랑하는 아내의 죽음은
정신적 고통과 죽음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했고
슬픔과 절망에 시름하던 중 사랑했던 동안만큼을
그의 아내를 기념하기 위하여 애도시(哀悼诗)로 쓴 작품이다.
眉 谱 待 全 刪 ( 미보대전산 ) :
눈썹을 새로 그리기 위해 전부 지워내고
别 画 秋 山 ( 별화추산 ) :
가을산 화폭처럼 나뉘어 그려보네.
朝 云 渐 人 有 无 间 ( 조운점인유무간 ) :
아침 구름처럼 마치 거기에 있는 것 같기도 하고
없는 것 같기도 하네.
莫 笑 生 涯 浑 似 梦 ( 막소생애흔사몽 ) :
꿈과 같았던 삶은 웃음과 슬픔으로 흩어지고
好 梦 原 难 ( 호몽원난 ) :
원하는 좋은 꿈을 꾸기는 어렵네.
红 味 啄 花 残 ( 홍미탁화잔 ) :
붉은 꽃을 쪼아 먹는 새의 모습을 지켜보며
独 自 凭 阑 ( 독자빙란 ) :
홀로이 난간에 기대어 바라보니
月 斜 风 起 袷 衣 单 ( 월사풍기겁의단 ) :
달이 기울어지고 바람은 몸에 걸친 얇은
겉 옷을 흩날려버리네.
消 受 春 风 都 一 例 ( 소수춘풍도일례 ) :
봄바람은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부는데
若 个 偏 寒 ( 약개편한 ) :
어찌 나만 찬 봄바람을 견디기 힘들까?
眉 | 谱 ( 譜 ) | 待 | 全 | 刪 | 别 | 画 ( 畵 ) | 秋 | 山 |
눈썹 미 | 족보 보 | 기다릴 대 | 온전할 전 | 깎을 산 | 나눌 별 | 그림 화 | 가을 추 | 메 산 |
朝 | 云 ( 雲 ) | 渐 ( 漸 ) | 人 | 有 | 无 ( 無 ) | 间 ( 間 ) | ||
아침 조 | 구름 운 | 점진할 점 | 사람 인 | 있을 유 | 없을 무 | 사이 간 | ||
莫 | 笑 | 生 | 涯 | 浑 ( 渾 ) | 似 | 梦 ( 夢 ) | ||
없을 막 | 웃을 소 | 날 생 | 물가 애 | 흐릴 혼 | 같을 사 | 꿈 몽 | ||
好 | 梦 ( 夢 ) | 原 | 难 ( 難 ) | 红 ( 紅 ) | 味 | 啄 | 花 | 残 ( 殘 ) |
좋을 호 | 꿈 몽 | 근원 원 | 어려울 난 | 붉을 홍 | 맛 미 | 쫄 탁 | 꽃 화 | 잔인할 잔 |
独 ( 獨 ) | 自 | 凭 ( 빙 | 阑 ( 闌 ) | |||||
홀로 독 | 스스로 자 | 기댈 빙 | 가로막을란 | |||||
月 | 斜 | 风 ( 風 ) | 起 | 袷 | 衣 | 単 ( 單 ) | ||
달 월 | 비낄 사 | 바람 풍 | 일어날 기 | 옷깃 겁 | 옷 의 | 홑 단 | ||
消 | 受 | 春 | 风 ( 風 ) | 都 | 一 | 例 | ||
꺼질 소 | 받을 수 | 봄 춘 | 바람 풍 | 도읍 도 | 한 일 | 법식 례 | ||
若 | 个 ( 個 ) | 偏 | 寒 | |||||
같을 약 | 낱 개 | 치우칠 편 | 찰 한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