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大 德 歌 之 秋 (대덕가지추) :
대덕송의 가을
中 | 国 ( 國 ) | 元 | 代 | 初 | 期 | 戏 ( 戲 ) | 剧 | 作 | 家 |
가운데 중 | 나라 국 | 으뜸 원 | 대신할 대 | 처음 초 | 기약할 기 | 놀 희 | 심할 극 | 지을작 | 집 가 |
关 ( 關 ) | 汉 ( 漢 ) | 卿 | 的 | 大 | 德 | 歌 | 之 | 秋 | |
관계할 관 | 한수 한 | 벼슬 경 | 과녁 적 | 큰 대 | 큰 덕 | 노래 가 | 갈 지 | 가을 추 | |
대덕가(大德歌) | 대덕가는 사패(词牌)로 대덕송의 가을을 뜻하며 대덕(大德)은 성종(成宗)의 두 번째 연호(年号)이다. |
바람과 비로 인하여 잠들지 못하는 밤
여인은 《그 사람은 돌아오지 않는다》라는
끝없는 고민과 슬픔이 여인의 마음을
아프게하고 슬픈 눈물이 깨진 진주처럼
흘러내리는 한 여인의 원한과 슬픔을
가을을 통하여 전하길 바라며 노래했다.
风 飘 飘 ( 풍표표 ) :
바람 산들 산들 불고
雨 潇 潇 ( 우소소 ) :
비는 부슬 부슬 내려
便 做 陈 抟 睡 不 着 ( 편주진단수불착 ) :
진단(陈抟) 조차 잠을 이루지 못하고
懊 恼 伤 怀 抱 ( 오뇌상회포 ) :
번민으로 인한 아픔 가슴에 가득하여
扑 簌 簌 泪 点 抛 ( 복속속누점포 ) :
주루룩 눈물 방울 떨어진다.
秋 蝉 儿 噪 罢 寒 蛩 儿 叫 ( 추선아조파한공아규) :
시끄러운 가을 매미 조용해지니
귀뚜라미 울어대고
淅 零 零 细 雨 打 芭 蕉 ( 석령령세우타파초 ) :
흩뿌리는 이슬비 파초(芭蕉)를 때리는구나.
风 ( 風 ) | 飘 ( 飄 ) | 飘 ( 飄 ) | 雨 | 潇 ( 瀟 ) | 潇 ( 瀟 ) | |||
바람 풍 | 회오리바람표 | 회오리바람표 | 비 우 | 맑고깊을 소 | 맑고깊을 소 | |||
偏 | 做 | 陈 ( 陳 ) | 抟 ( 摶 ) | 睡 | 不 | 着 | ||
치우칠 편 | 지을 주 | 베풀 진 | 뭉칠 단 | 잘 수 | 아닐 불 | 붙을 착 | ||
懊 | 恼 ( 惱 ) | 伤 ( 傷 ) | 怀 ( 懷 ) | 抱 | ||||
한할 오 | 번뇌할 뇌 | 상처 상 | 품을 회 | 안을 포 | ||||
扑 ( 撲 ) | 簌 | 簌 | 泪 ( 淚 ) | 点 | 抛 | |||
칠 박 | 체 속 | 체 속 | 눈물 루 | 점 점 | 던질 포 | |||
秋 | 蝉 ( 蟬 ) | 儿 | 噪 | 罷 ( 罢 ) | 寒 | 蛩 | 儿 | 叫 |
가을 추 | 매미 선 | 아이 아 | 떠들썩할 조 | 마칠 파 | 찰 한 | 메뚜기 공 | 아이 아 | 부르짖을규 |
淅 | 零 | 零 | 细 ( 細 ) | 雨 | 打 | 芭 | 蕉 | |
일 석 | 떨어질 령 | 떨어질 령 | 가늘 세 | 비 우 | 칠 타 | 파초 파 | 파초 초 | |
진단(陈抟) | 송나라초(宋初)의 도사로 화산(华山)에서 도를 닦으며 한번 자면 백 일간 깨지 않았다고 한다. | |||||||
파초 (芭蕉) | 파초과(芭蕉科)의 여러살이 풀 |
반응형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国 元代初期 戏剧作家 关汉卿的 大德歌之夏(중국 원대초기 희극작가 관한경의 대덕가지하) : 대덕송의 여름 (0) | 2025.01.07 |
---|---|
中国 元代初期 戏剧作家 关汉卿的 大德歌之冬(중국 원대초기 희극작가 관한경의 대덕가지동) : 대덕송의 겨울 (1) | 2025.01.06 |
中国淸朝初 是官理 诗人 兼 学者 纳兰性德的 菩萨蛮(중국청조초 관리이자 시인 겸 학자 납란성덕의 보살만) : 보살인 (0) | 2025.01.05 |
中国 唐初时代 诗人 骆宾王的 咏鹅(중국 당나라 초 시대 시인 낙빈왕의 영아) : 거위를 노래하다. (2) | 2025.01.02 |
中国北宋 文人 秦观的 減字木兰花(중국북송 문인 진관의 감자목란화) : 축소된 단어 목련(뮬란 : 세상 끝의 후회) (2) | 2024.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