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答人(답인) :
사람에게 답하다.
中 | 国 (國) | 唐 | 朝 | 时 (時) | 代 | 诗 (詩) | 人 |
가운데 중 | 나라 국 | 당나라 당 | 아침 조 | 때 시 | 대신할 대 | 시 시 | 사람 인 |
太 | 上 | 隐 (隱) | 者 | 的 | 答 | 人 | |
클 태 | 윗 상 | 숨을 은 | 놈 자 | 과녁 적 | 대답 답 | 사람 인 |
우연히 소나무 아래에 와서 돌을 베개 삼아 깊은
잠을 자면서 속세의 번잡함에서 벗어나 자연과
하나 되어 시간의 흐름에 무관심하고 편안하게
자유로운 삶을 추구하며 태상은자라는 이름
자체가 '가장 뛰어난 은둔자' 의미를 담고 있듯
그의 삶이 속세를 떠나 은둔하며
살아가고 있음을 표현했다.
偶 来 松 树 下 (우래송수하) :
우연히 소나무 아래로 와서
高 枕 石 头 眠 (고침석두면) :
돌베개 높이 베고 잠들었네.
山 中 无 历 日 (산중무력일) :
산속에는 달력이 없어
寒 尽 不 知 年 (한진부지년) :
추위 다해도 해가 바뀌는 줄을 모르네.
偶 | 来 (來) | 松 | 树 (樹) | 下 | 高 | 枕 | 石 | 头 (頭) | 眠 |
짝 우 | 올 래 | 소나무 송 | 나무 수 | 아래 하 | 높을 고 | 베개 침 | 돌 석 | 머리 두 | 잘 면 |
山 | 中 | 无 (無) | 历 (曆) | 日 | 寒 | 尽 (盡) | 不 | 知 | 年 |
메 산 | 가운데 중 | 없을 무 | 책력 력 | 날 일 | 찰 한 | 다할 진 | 아닐 불 | 알 지 | 해 년 |
728x90
반응형
'한시(汉诗)'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国 唐朝时代 《诗人 孙逖》 覌永乐公主入蕃(중국 당나라 시대 《시인 손적》 관영락공주입번) : 영락공주가 오랑캐 땅에 들어가는 것을 보며. (22) | 2025.06.15 |
---|---|
中国 唐朝时代 《诗人 李白》 淸平调词(중국 당나라 시대 《시인 이백》 청평조사) : 양귀비(杨贵妃)의 아름다움을 찬양하다. (20) | 2025.06.14 |
中国 元朝时代 《文人 马致远》 天浄沙 - 秋思(중국 원나라 시대 《문인 마치원》 천정사 - 추사) : 가을의 쓸쓸함을 노래하다. (2) | 2025.06.11 |
中国 唐朝 《诗人 戴叔伦》 三闾庙(중국 당나라 《시인 대숙륜》 삼려묘) : 마을 어귀에 모신 사당《향촌의 사당》 (0) | 2025.06.09 |
中国 北宋时代 《诗人 陈抟》 归隐(중국 북송시대 《시인 진단》 귀은) : 돌아와 은거함. (20) | 2025.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