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覌永乐公主入蕃 (관영락공주입번) :
영락공주가 오랑캐 땅에 들어가는 것을 보며.
中 | 国 (國) | 唐 | 朝 | 时 (時) | 代 | 诗 (詩) | 人 | 孙 (孫) | 逖 |
가운데 중 | 나라 국 | 당나라 당 | 아침 조 | 때 시 | 대신할 대 | 시 시 | 사람 인 | 손자 손 | 멀 적 |
的 | 覌 (觀) | 永 | 乐 (樂) | 公 | 主 | 入 | 蕃 | ||
과녁 적 | 볼 관 | 길 영 | 즐길 락 | 공평할 공 | 주인 주 | 들 입 | 우거질 번 |
영락공주가 오랑캐 땅(이민족 지역)으로
시집가는 것을 보며 중앙의 화려함과는 대비
되는 변방의 쓸쓸함과 공주의 희생적인 출가로
인해 척박했던 변방지역에 비로소 평화와 새로운
기운이 깃들게 될 것이라는 기대와 희망을 담고
있으며 공주가 그곳에 당도함으로써 비로서
그곳에도 봄과 같은 생기가 돌게 되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边 地 莺 花 少 (변지앵화소) :
변방 땅에는 꾀꼬리와 꽃이 적고
年 来 未 覚 新 (년래미각신) :
한 해가 지나도 새로워지는
것을 느끼지 못하네.
美 人 天 上 落 (미인천상락) :
미인(영락공주)이 하늘에서 내려온 듯
龙 塞 始 应 春 (용새시응춘) :
용새(오랑캐 땅)에 비로서 봄이
오는 듯하구나.
边 (邊) | 地 | 莺 (鶯) | 花 | 少 | 年 | 来 (來) | 未 | 觉 (覺) | 新 |
가 변 | 땅 지 | 꾀꼬리 앵 | 꽃 화 | 적을 소 | 해 년 | 올 래 | 아닐 미 | 깨달을 각 | 새 신 |
美 | 人 | 天 | 上 | 落 | 龙 (龍) | 塞 | 始 | 应 (應) | 春 |
아름다울미 | 사람 인 | 하늘 천 | 윗 상 | 떨어질 락 | 용 룡 | 변방 새 | 비로소 시 | 응할 응 | 봄 춘 |

728x90
반응형
'한시(汉诗)'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国 唐朝时代 《诗人 丘为》 左掖梨花(중국 당나라 《시인 구위》 좌액이화) : 왼쪽에 드리워진 배꽃 (15) | 2025.06.17 |
---|---|
中国 唐朝时代 《诗人 王之涣》 登鹳雀楼(중국 당나라 시대 《시인 왕지환》 등관작루) : 황새 누각에 오르다《관작루에 오르다》 (3) | 2025.06.16 |
中国 唐朝时代 《诗人 李白》 淸平调词(중국 당나라 시대 《시인 이백》 청평조사) : 양귀비(杨贵妃)의 아름다움을 찬양하다. (20) | 2025.06.14 |
中国 唐朝时代 《诗人 太上隐者》 答人(중국 당나라 《시인 태상은자》 답인) : 사람에게 답하다. (11) | 2025.06.12 |
中国 元朝时代 《文人 马致远》 天浄沙 - 秋思(중국 원나라 시대 《문인 마치원》 천정사 - 추사) : 가을의 쓸쓸함을 노래하다. (2) | 2025.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