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天浄沙 - 秋思 (천정사 - 추사) :
가을의 쓸쓸함을 노래하다.
천정사(天浄沙)는 곡패(曲牌)는 곡.
곡패란
곡(曲) : 원나라 때 크게 발전한 시가 형식으로
희곡의 노래 부분을 지칭하며 우리가 흔히아는
원곡(元曲)이 여기에 해당된다.
패(牌) : 명패(名牌)의 패로 이름이나 명칭을 뜻한다.
따라서 곡패(曲牌)는 '곡;이라는 문학 형식을
부를 때 따르는 특정한 멜로디나 악곡의 이름이다.
즉, 천정사(天浄沙)는 곡패의 이름이고
추사(秋思)는 내용상의 제목이다.
中 | 国 (國) | 元 | 朝 | 时 (時) | 代 | 文 | 人 | |
가운데 중 | 나라 국 | 으뜸 원 | 아침 조 | 때 시 | 대신할 대 | 글월 문 | 사람 인 | |
马 (馬) | 致 | 远 (遠) | 的 | 天 | 浄 (淨) | 沙 | 秋 | 思 |
말 마 | 이를 치 | 멀 원 | 과녁 적 | 하늘 천 | 깨끗할 정 | 모래 사 | 가울 추 | 생각 사 |
마치원이 원나라(몽골족)의 지배를 받던
한족인이 느꼈던 좌절감과 시대적 비애,
가을의 황량한 풍경, 그 속에서 살아가는
유랑하는 나그네의 고독, 상실감 그리고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했다.
枯 藤 老 树 昏 鸦 (고등노수혼아) :
마른 덩쿨, 늙은 나무, 해 질 녘 까마귀
小 桥 流 水 人 家 (소교유수인가) :
작은 다리, 흐르는 물, 사람 사는 집
古 道 西 风 瘦 马 (고도서풍수마) :
옛길, 서풍, 야윈 말
夕 阳 西 下 (석양서하) :
석양이 서쪽으로 지고
断 肠 人 在 天 涯 (단장인재천애) :
애가 끊어지는 나그네는 하늘 끝에 있네.
枯 | 藤 | 老 | 树 (樹) | 昏 | 鸦 (鴉) |
마를 고 | 등나무 등 | 늙을 로 | 나무 수 | 어두울 혼 | 갈까마귀 아 |
小 | 桥 (橋) | 流 | 水 | 人 | 家 |
작을 소 | 다리 교 | 흐를 류 | 물 수 | 사람 인 | 집 가 |
古 | 道 | 西 | 风 (風) | 瘦 | 马 (馬) |
옛 고 | 길 도 | 서녘 서 | 바람 풍 | 여윌 수 | 말 마 |
夕 | 阳 (陽) | 西 | 下 | ||
저녁 석 | 볕 양 | 서녘 서 | 아래 하 | ||
断 (斷) | 肠 (腸) | 人 | 在 | 天 | 涯 |
끊을 단 | 창자 장 | 사람 인 | 있을 재 | 하늘 천 | 물가 애 |
728x90
반응형
'한시(汉诗)'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国 唐朝时代 《诗人 李白》 淸平调词(중국 당나라 시대 《시인 이백》 청평조사) : 양귀비(杨贵妃)의 아름다움을 찬양하다. (20) | 2025.06.14 |
---|---|
中国 唐朝时代 《诗人 太上隐者》 答人(중국 당나라 《시인 태상은자》 답인) : 사람에게 답하다. (11) | 2025.06.12 |
中国 唐朝 《诗人 戴叔伦》 三闾庙(중국 당나라 《시인 대숙륜》 삼려묘) : 마을 어귀에 모신 사당《향촌의 사당》 (0) | 2025.06.09 |
中国 北宋时代 《诗人 陈抟》 归隐(중국 북송시대 《시인 진단》 귀은) : 돌아와 은거함. (20) | 2025.06.07 |
中国 唐朝时代 《诗人 岑参》 寂中行(중국 당나라 시대 《시인 잠첨》 적중행) : 고요함 속을 걷다. (21) | 2025.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