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道 德 经 三 章 (도덕경 3장)
【 노자의 도와 덕에 대한 가르침을 담은 경전 】
백성들을 다스리는 이상적인 방법을 이야기하다.
높은 지혜나 능력을 숭상하지 않으면 백성들은 다투지 않게 된다.
얻기 어려운 재물을 귀하게여기지 않으면 백성들은 도둑질을 하지 않게 된다.
탐스러운 것을 드러내지 않으면 백성들의 마음은혼란스러워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백성을 다스림에는 그들의 마음을 비우고 배을 채우며 그들의 의지를
약하게 하고 뼈를 튼튼하게 한다. 항상 백성들이지식과 욕망에 얽매이지
않도록 하며 지혜롭다는 자들조차 함부로 행동하지 못하게 한다.
무위(無爲)로써 다스리면 다스려지지 않는 것이 없다.
핵심은 인위적인 가치나 욕망을 조장하지 않고 백성 본연의 순수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끄는 것으로 사회적인 다툼이나 혼란을 줄이고 자연스러운
조화와 안정을 이룰 수 있도록 강조한 것이며 무위(無爲)의 다스림은 억지를
통제하거나 간섭하기 보다는 자연의 흐름에 맡기는 방식으로 모든 것이
자연스럽게 다스려지도록 한다는 의미를 이야기하고 있다.
不 尚 贤 ( 불상현 ) :
어진 이르 숭상하지 않으면
使 民 不 争 ( 사민부쟁 ) :
백성들이 다투지 않는다.
不 贵 难 得 之 货 ( 불귀난득지화 ) :
얻기 어려운 재물을 귀하게 여기지 않으면
使 民 不 为 盜( 사민부위도 ) :
백성들이 도둑질하지 않는다.
不 见 可 欲 ( 불견가욕 ) :
욕심낼 만한 것을 보이지 않으면
使 民 心 不 乱 ( 사민심불란 ) :
백성들의 마음이 어지럽지 않게 된다.
是 以 圣 人 之 治 ( 시이성인지치 ) :
이 때문에 성인의 다스림은
虛 其 心 ( 허기심 ) :
그 마음을 비우고
实 其 腹 ( 실기복 ) :
그 배를 채우며
弱 其 志 ( 약기지 ) :
그 뜻을 약하게 하고
强 其 骨 ( 강기골 ) :
그 뼈를 강하게 한다.
常 使 民 无 知 无 欲 ( 상사민무지무욕 ) :
항상 백성들로 하여금 알지도
못하게 하고 욕심도 없게 하며
使 夫 智 者 不 敢 为 也 ( 사부지자불감위야 ) :
지혜있는 자로 하여금 감히(함부로)
행동을 하지 못하게 한다.
为 无 为 ( 위무위 ) :
무위(無爲)로써 다스리면
则 无 不 治 ( 즉무불치 ) :
다스려지지 않음이 없을 것이다.
不 | 尚 ( 尙 ) | 贤 ( 賢 ) | 使 | 民 | 不 | 争 ( 爭 ) | ||
아닐 불 | 오히려 상 | 어질 현 | 부릴 사 | 백성 민 | 아닐 부 | 다툴 쟁 | ||
不 | 贵 ( 貴 ) | 难 ( 難 ) | 得 | 之 | 货 ( 貨 ) | |||
아닐 불 | 귀할 귀 | 어려울 난 | 얻을득 | 갈 지 | 재물 화 | |||
使 | 民 | 不 | 为 ( 爲 ) | 盜 | 不 | 见 ( 見 ) | 可 | 欲 |
부릴 사 | 백성 민 | 아닐 부 | 할 위 | 도둑 도 | 아닐 불 | 볼 견 | 옳을 가 | 하고자할욕 |
使 | 民 | 心 | 不 | 乱 ( 亂 ) | ||||
부릴 사 | 백성 민 | 마음 심 | 아닐 불 | 어지러울란 | ||||
是 | 以 | 圣 ( 聖 ) | 人 | 之 | 治 | 虛 | 其 | 心 |
이 시 | 써 이 | 성인 성 | 사람 인 | 갈 지 | 다스릴 치 | 빌 허 | 그 기 | 마음 심 |
实 ( 實 ) | 其 | 腹 | 弱 | 其 | 志 | 强 | 其 | 骨 |
열매 실 | 그 기 | 배 복 | 약할 약 | 그 기 | 뜻 지 | 강할 강 | 그 기 | 뼈 골 |
常 | 使 | 民 | 无 ( 無 ) | 知 | 无 ( 無 ) | 欲 | ||
항상 상 | 부릴 사 | 백성 민 | 없을 무 | 알 지 | 없을 무 | 하고자할욕 | ||
使 | 夫 | 智 | 者 | 不 | 敢 | 为 ( 爲 ) | 也 | |
부릴 사 | 지아비 부 | 슬기 지 | 놈 자 | 아닐 불 | 감히 감 | 할 위 | 어조사 야 | |
为 ( 爲 ) | 无 ( 無 ) | 为 ( 爲 ) | 则 ( 則 ) | 无 ( 無 ) | 不 | 治 | ||
할 위 | 없을 무 | 할 위 | 곧 즉 | 없을 무 | 아닐 불 | 다스릴 치 |
《 그림에 새겨진 구절 》
上 達 无 为 而 无 以 为( 상달무위이무이위) :
위로는 함이 없으므로 함이 없고
下 達 无 为 而 有 以 为 ( 하달무위이유이위) :
아래로는 함이 있으나 함이 없다.
상위 계층, 통치자는 무위(無爲) 즉 인위적인 작위나 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자연의 흐름에 순응하고 백성 스스로가
발전하도록 이끌어야 하며 하위 계층 역시 이러한 무위의
통치를 따르되 각지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반응형
'노자의 도덕경(老子的 道德经)' 카테고리의 다른 글
老子的 道德经 六章(노자의 도덕경 6장) : 도(道)는 영원불멸(永遠不滅)하며 만물의 생성하는 근원적인 힘을 이야기하다. (3) | 2025.05.02 |
---|---|
老子的 道德经 五章(노자의 도덕경 5장) : 자연의 법칙과 성인의 다스림을 이야기하다. (13) | 2025.05.01 |
老子的 道德经 四章(노자의 도덕경 4장) : 도(道)의 형이상학적을 특징을 이야기하다. (6) | 2025.04.29 |
老子的 道德经 二章(노자의 도덕경 2장) : 상대적 가치와 무위를 이야기하다. (17) | 2025.04.27 |
老子的 道德经 一章(노자의 도덕경 1장) : 우주의 근본 원리와 그것이 인간에게 드러나는 덕성을 이야기하다. (12) | 2025.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