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德 经 五 章(도덕경 5장) :
【 노자의 도와 덕에 대한 가르침을 담은 경전 】
노자의 도와 덕에 대한 가르침을 담은 경전으로
오장은 도(道)의 근본적인 속성과 인간 사회의
이상적인 통치자의 모습을 이야기하다.
천지의 자연스런 운행 방식을 통해 이상적인 다스림의
원리를 제시하며 천지가 만물을 특정한 애착 없이
자연의 법칙에 따라 내버려 두듯이 성인 역시 백성을
인위적으로 통제하거나 억압하기 보다는 스스로의 본성에
따라 살아가도록 이끌어야 한다는 뜻이다. 마치 비어 있는
풀무가 끊임없이 바람을 일으키듯 진정한 힘은 억지로
채우는 것이 아니라 비움으로써 발휘되며 불필요한 말이나
행동을 줄이고 자연의 이치에 순응하는 중용의 태도를
지니는 것이 현명하다는 가르침을 담고 있다.
天 地 不 仁 ( 천지불인 ) :
하늘과 땅은 어질지 않아
以 万 物 为 刍 狗 ( 이만물위추구 ) :
만물을 풀로 만든 개처럼 여기고
圣 人 不 仁 ( 성인불인 ) :
성인 또한 어질지 않아
以 百 姓 为 刍 狗 ( 이백성위추구 ) :
풀로 만든 개처럼 여긴다.
天 地 不 仁 ( 천지불인 )
以 万 物 为 刍 狗 ( 이만물위추구 )
圣 人 不 仁 ( 성인불인 ) :
以 百 姓 为 刍 狗 ( 이백성위추구 )
하늘과 땅은 특정한 대상을 편애하거나 차별하지 않고
만물을 동등하게 대한다는 의미로 성인 역시 사사로운
감정에 얽매이지 않고 백성을 평등하게 대하여야 하며
추구(芻狗)는 제사 지낼 때 쓰이는 풀로 만든 강아지로
쓸 때는 귀하게 여기지만 제사가 끝나면 버려지는 것처럼
자연의 이치를 따르는 무위자연(無爲自然)의 사상을 말한다.
天 地 之 间 ( 천지지간 ) :
하늘과 땅 사이는
其 犹 橐 籥 乎 ? ( 기유탁약호 ? ) :
마치 풀무와 같아서
虛 而 不 屈 ( 허이불굴 ) :
비어 있지만 마르지 않고
动 而 愈 出 ( 동이유출 ) :
움직일수록 더욱 많은 바람이 나온다.
天 地 之 间 ( 천지지간 )
其 犹 橐 籥 乎 ? ( 기유탁약호 ? )
虛 而 不 屈 ( 허이불굴 )
动 而 愈 出 ( 동이유출 )
하늘과 땅 사이의 공간은 마치 풀무와 같다는 뜻으로
풀무는 비어있지만 바람을 일으키는 힘이 끊임없이 나오고
움직일수록 더 많은 바람이 나온다. 이는 무(無)의 무한한
가능성과 역동성을 의미한다.
多 言 数 穷 ( 다언삭궁 ) :
말이 많으면 자주 궁핍해지니
不 如 守 中 ( 불여수중 ) :
가운데 지키는 것만 못하다.
多 言 数 穷 ( 다언삭궁 )
不 如 守 中 ( 불여수중 )
말이 많으면 자주 곤란에 처하게 되니 함부로 말하기
보다는 중도를 지키고 본질을 꿰뚫는 지혜를 의미한다.
天 | 地 | 不 | 仁 | 以 | 万 ( 萬 ) | 物 | 为 ( 爲 ) | 刍 ( 芻 ) | 狗 |
하늘 천 | 땅 지 | 아닐 불 | 어질 인 | 써 이 | 일만 만 | 물건 물 | 할 위 | 꼴 추 | 개 구 |
圣 ( 聖 ) | 人 | 不 | 仁 | 以 | 百 | 姓 | 为 ( 爲 ) | 刍 ( 芻 ) | 狗 |
성인 성 | 사람 인 | 아닐 불 | 어질 인 | 써 이 | 일백 백 | 성씨 성 | 할 위 | 꼴 추 | 개 구 |
天 | 地 | 之 | 间 ( 間 ) | 其 | 犹 ( 猶 ) | 橐 | 籥 | 乎 | |
하늘 천 | 땅 지 | 갈 지 | 사이 간 | 그 기 | 오히려 유 | 전대 탁 | 피리 약 | 어조사 호 | |
虛 | 而 | 不 | 屈 | 动 ( 動 ) | 而 | 愈 | 出 | ||
빌 허 | 말이을 이 | 아닐 불 | 굽을 굴 | 움직일 동 | 말이을 이 | 나을 유 | 날 출 | ||
多 | 言 | 数 ( 數 ) | 穷 ( 窮 ) | 不 | 如 | 守 | 中 | ||
많을 다 | 말씀 언 | 자주 삭 | 다할 궁 | 아닐 불 | 같을 여 | 지킬 수 | 가운데 중 | ||
추구(芻狗) | 고대 제사 때 쓰이던 짚으로 만든 강아지 인형 | 탁약(橐籥) | 풀무, 즉 바람을 일으키는 도구 |

'노자의 도덕경(老子的 道德经)' 카테고리의 다른 글
老子的 道德经 七章(노자의 도덕경 7장) : 무위자연(無爲自然)의 도(道)를 따르는 삶의 지혜를 하늘과 땅에 대해 이야기하다. (7) | 2025.05.04 |
---|---|
老子的 道德经 六章(노자의 도덕경 6장) : 도(道)는 영원불멸(永遠不滅)하며 만물의 생성하는 근원적인 힘을 이야기하다. (3) | 2025.05.02 |
老子的 道德经 四章(노자의 도덕경 4장) : 도(道)의 형이상학적을 특징을 이야기하다. (6) | 2025.04.29 |
老子的 道德经 三章(노자의 도덕경 3장) : 백성들을 다스리는 이상적인 방법을 이야기하다. (3) | 2025.04.28 |
老子的 道德经 二章(노자의 도덕경 2장) : 상대적 가치와 무위를 이야기하다. (17) | 2025.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