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道 德 经 一 章 (도덕경 1장) :
【 노자의 도와 덕에 대한 가르침을 담은 경전 】
우주의 근본 원리와 그것이 인간에게
드러나는 덕성을 이야기하다.
이 구절은 도(道)라는 것이
이름을 붙일 수 있는 것과
이름을 붙일 수 없는
두 가지 측면을 가지고 있으며 이 두 측면이
우주의 근원임을 이야기하는 것이며 도의
근원적인 불가사의(不可思議)함과 만물의 생성
원리를 설명하며 욕심 없는 마음으로 세상을
관찰할 때 더 깊은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道 可 道 非 常 道 ( 도가도비상도 ) :
말로 표현할 수 있는 도는 항상 변하는 도이며
名 可 名 非 常 名 ( 명가명비상명 ) :
이름 붙일 수 있는 이름은 항상 변하는 이름이다.
无 名 天 地 之 始 ( 무명천지지시 ) :
이름이 없는 것은 천지(天地)의 시작이며
有 名 万 物 之 母 ( 유명만물지모 ) :
이름이 있는 것은 만물(萬物)의 어머니이다.
故 常 无 欲 以 观 其 妙 ( 고상무욕이관기묘 ) :
그러므로 항상 욕심이 없으면 그 오묘함을 볼 수 있고
常 有 欲 以 观 其 徼 ( 상유욕이관기요 ) :
항상 욕심이 있으면 그 드러난 모습을 볼 수 있다.
此 两 者 同 出 而 异 名 ( 차량자동출이이명 ) :
이 둘은 같은 근원에서 나왔으나 이름이 다르니
同 谓 之 玄 ( 동위지현 ) :
함께 현묘(玄妙)하다고 일컫는다.
玄 之 又 玄 ( 현지우현 ) :
(현묘하고 또 현묘하니) 깊고 또 깊으니
众 妙 之 门 ( 중묘지문 ) :
모든 오묘함의 문이다.
道 | 可 | 道 | 非 | 常 | 道 | ◈ | 名 | 可 | 名 |
길 도 | 옳을 가 | 길 도 | 아닐 비 | 항상 상 | 길 도 | 이름 명 | 옳을 가 | 이름 명 | |
非 | 常 | 名 | ◈ | 无 ( 無 ) | 名 | 天 | 地 | 之 | 始 |
아닐 비 | 항상 상 | 이름 명 | 없을 무 | 이름 명 | 하늘 천 | 땅 지 | 갈 지 | 비로소 시 | |
有 | 名 | 万 ( 萬 ) | 物 | 之 | 母 | ||||
있을 유 | 이름 명 | 일만 만 | 물건 물 | 갈 지 | 어머니 모 | ||||
故 | 常 | 无 ( 無 ) | 欲 | 以 | 观 ( 觀 ) | 其 | 妙 | ||
연고 고 | 항상 상 | 없을 무 | 하고자 할 욕 | 써 이 | 볼 관 | 그 기 | 묘할 묘 | ||
常 | 有 | 欲 | 以 | 观 ( 觀 ) | 其 | 徼 | |||
항상 상 | 있을 유 | 하고자 할 욕 | 써 이 | 볼 관 | 그 기 | 돌 요 | |||
此 | 两 ( 兩 ) | 者 | 同 | 出 | 而 | 异 ( 異 ) | 名 | ||
이 차 | 둘 량 | 놈 자 | 한가지 동 | 날 출 | 말이을 이 | 다를 이 | 이름 명 | ||
同 | 谓 ( 謂 ) | 之 | 玄 | 玄 | 之 | 又 | 玄 | ||
한가지 동 | 이를 위 | 갈 지 | 검을 현 | 검을 현 | 갈 지 | 또 우 | 검을 현 | ||
众 ( 衆 ) | 妙 | 之 | 门 ( 門 ) | ||||||
무리 중 | 묘할 묘 | 갈 지 | 문 문 |
반응형
'노자의 도덕경(老子的 道德经)' 카테고리의 다른 글
老子的 道德经 六章(노자의 도덕경 6장) : 도(道)는 영원불멸(永遠不滅)하며 만물의 생성하는 근원적인 힘을 이야기하다. (3) | 2025.05.02 |
---|---|
老子的 道德经 五章(노자의 도덕경 5장) : 자연의 법칙과 성인의 다스림을 이야기하다. (13) | 2025.05.01 |
老子的 道德经 四章(노자의 도덕경 4장) : 도(道)의 형이상학적을 특징을 이야기하다. (6) | 2025.04.29 |
老子的 道德经 三章(노자의 도덕경 3장) : 백성들을 다스리는 이상적인 방법을 이야기하다. (3) | 2025.04.28 |
老子的 道德经 二章(노자의 도덕경 2장) : 상대적 가치와 무위를 이야기하다. (17) | 2025.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