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시(汉诗)

中国 南北朝时代 阵朝 《皇帝 陈叔宝》 玉树后庭花(중국 남북조시대 진나라 《황제 진숙보》 옥수후정화) : 뒷뜰에 활짝 핀 옥빛 꽃나무

728x90
반응형

玉树后庭花 (옥수후정화) :

뒷뜰에 활짝 핀 옥빛 꽃나무

 

国 (國) 时 (時) 陈 (陳)
가운데 중 나라 국 남녘 남 북녘 북 아침 조 때 시 대신할 대 베풀 진 아침 조 임금 황
陈 (陳) 宝 (寶) 树 (樹) 后 (後)
임금 제 베풀 진 아저씨 숙 보배 보 과녁 적 구슬 옥 나무 수 뒤 후 뜰 정 꽃 화

 

 

진(阵)나라의 마지막 황제 진숙보(阵叔宝)

나이가 어리지만 사치하고 시 짓기를 좋아해 

정사는 돌보지 않고 총애하는 장귀비(张貴妃)

뒤뜰에서 연회를 열어 가무(歌舞)를 즐기며 

주색(酒色)에 심취해 있을  때 지은시인데

결국은 수(隨)나라에 의해 멸망하게 된다. 

 

丽 宇 芳 林 对 高 阁 (여우방림대고각) :

꽃 숲에 묻힌 장귀비의 전각이 

임춘 고각과 마주 보이는데

 

新 妆 豔 质 本 倾 城 (신장염질본경성) :

새로 단장한 고운 자태의 미인은

원래부터 경국지색이라

 

映 户 凝 娇 乍 不 进 (영호응교사부진) :

창가에 어린 요염한 자태로 잠시

나타나지 않음은

 

出 帷 含 态 笑 相 迎 (출유함태소상영) :

휘장 걷고 나와 교태스런 몸짓으로

웃으며 맞으려 함이라.

 

妖 姬 脸 似 花 含 露 (요희검사화함로) :

아름다운 여인의 두 볼은 꽃 이

이슬 머금은 듯하고

 

玉 树 流 光 照 后 庭 (옥수류광조후정) :

옥같이 만발한 꽃에 흐르는 빛이

뒤뜰을 비추는 구나.

 

花 开 花 落 不 长 久 (화개화락불장구) :

피고 지는 꽃잎이야 오래 가지 못하리니

 

落 红 满 地 归 寂 中 (낙홍만지귀적중) :

뜨락에 가득 떨어진 꽃잎은 

적멸(寂滅) 속으로 돌아가리라.

 

丽 (麗) 对 (對) 阁 (閣)
고울 려 집 우 꽃다울 방 수풀 림 대할 대 높을 고 누각 각
妆 (妝) 质 (質) 倾 (傾)
새 신 꾸밀 장 고울 염 바탕 질 근본 본 기울 경 재 성
户 (戶) 娇 (嬌) 进 (進)
비칠 영 집 호 엉길 응 아리따울 교 잠깐 사 아닐 부 나아갈 진
态 (態)
날 출 휘장 유 머금을 함 모습 태 웃을 소 서로 상 맞을 영
脸 (臉)
요사할 요 여자 희 뺨 검 같을 사 꽃 화 머금을 함 이슬 로
树 (樹) 后 (後)
구슬 옥 나무 수 흐를 류 빛 광 비출 조 뒤 후 뜰 정
开 (開) 长 (長)
꽃 화 열 개 꽃 화 떨어질 락 아닐 불 길 장 오랠 구
红 (紅) 满 (滿) 归 (歸)
떨어질 락 붉을 홍 찰 만 땅 지 돌아갈 귀 고요할 적 가운데 중
진숙보(陈叔宝) 진(阵)나라의 마지막 황제 진후주(陈后主)의 이름  
장귀비(张貴妃) 요염한 모습에 아름다운 여인으로 이름이 장려화(张丽华)이다.  
   
노래 가 춤출 무 술 주 빛 색 따를 수    
요희(妖姬) 진숙보가 총애하는 장귀비(张貴妃)를 가르킨다. 적멸(寂滅) 자연(自然)히 없어져 버림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