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어(论语)58

论语 : 孔子曰 事君하며 敬其事하고 而後其食이니라(논어 : 공자왈 사군하며 경기사하고 이후기식이니라) : 군주을 섬김에 있어 그 일을 공경하는 마음으로 하고 녹봉은 후에 받는 것이다. 孔子曰 (공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事君하며(사군)하며 :군주를 섬기되  敬其事하고(경기사)하고 :그 일을 공경하는 마음으로 하고 而後其食이니라(이후기식)이니라 : 녹봉은 후에 받는 것이다. 論 ( 论 )語 ( 语 )孔子曰事君논할 론말씀 어구멍 공아들 자가로 왈일 사임금 군敬其事而後 ( 后 )其食 ( 饣 )공경 경그 기릴 사말이을 이뒤 후 밥 식滅 ( 灭 )私奉公멸사봉공(滅私奉公)다할 멸사사 사받들 봉공평할 공사욕을 버리고 공익을 위하여 힘씀.  임금을 섬김에 있어 그 직무를 정성껏수행한 다음 봉록을 뒤로 돌려야 한다. 일이 중요한 것이지 대우는 문제 삼을 것이못된다고 생각하는 자는 거의 없을 것이다.소위 멸사봉공(滅私奉公)형의 사고방식을젊은이에게 요구하는 것은 무리이며대우를 도외시하고 사람을 채용한.. 2025. 3. 13.
论语 : 子曰 有敎無類니라(논어 : 자왈 유교무류니라) : 가르침은 있으나 차별은 두지 않는다. 子 曰 (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有 敎 無 類 니라(유교무류)니라 :가르침은 있으나 차별은 두지 않는다. 论 (論 )语 ( 語 )子曰有敎無 ( 无 )類 ( 类 )논할 론말씀 어아들 자가로 왈있을 유가르칠 교없을 무무리 류  공자가 말하길 가르침에 있어서는차별하지 않는다. 위 글 만으로는 선문답 같아서 이해하기가 어렵다.그래서 한자를 주로 사요하는 동양 3국(중국, 한국, 일본)에서도 여러 가지로 해석하고 있다. 몇 가지 예를 들어 본다.첫째 : 교육에 의한 차별은 있지만 종류에 의한차별은 없다. 누구든 교육에 의하여 성장한다. 둘째 : 교육만이 중요한 것이며 그 사람이 속하는지위, 신분, 환경 등은 상관없다. 셋째 : 빈천, 노약, 지위를 불문하고 모두 교육의선악에 의해 지배된다. 즉그런즉,人 性 .. 2025. 3. 12.
论语 : 子曰 当仁하여는 不让於师라(논어 : 자왈 당인하여는 불양어사라) : 공자가 말하길 인을 지킴에는 스승에게도 양보하지 않아야 한다. 子曰(자왈) :공자가 말하길 当 仁 하여는 (인당)하여는인을 지킴에는 不 让 於 师 라 (불양어사)라 :스승에게도 양보하지 않아야 한다.  论 ( 論 )语 ( 語 )子曰当 ( 當 )仁不让 ( 讓 )於师 ( 師 )논할 론말씀 어아들 자가로 왈마땅 당어질 인아닐 불사양할 양어조사 어스승 사  공자께서 말씀하셨다.인(仁)을 행할 때는 스승에게도 양보하지 않는다. 《스승의 그림자는 밟지 않는다》고 옛날부터말하지만 유교에서는 스승에게 양보하는미덕을 가장 존중하고 있다.그 스승에 대해서는 조금도 양보하지 않아야한다고 말할 정도로 공자가 인과 도의 실행을얼마나 중요시하고 있었는가 하는 예를 알 수 있는 대목이다.공자는 인덕을 지키는 일은 간단한 것 같지만매우 어려우므로 스승에게도 지지 않을정도로 주력하라고 제자들을 .. 2025. 3. 11.
论语 : 孔子曰 君子는贞而不谅이니라(논어 : 공자왈 군자는 정이불량이니라) : 공자가 말하길 군자는 곧고 바르나 소신을 고집하지 않는다. 孔 子 曰 (공자왈) :공자가 말씀하시길 君 子는 (군자)는 :군자는 贞 而 不 谅 이니라 (정이불량)이니라 :곧고 바르나 소신을 고집하지 않는다.  论 ( 論 )语 ( 語 )孔子曰君논할 논말씀 어구멍 공아들 자가로 왈임금 군子贞 ( 貞 )而不谅 ( 諒 ) 아들 자곧을 정말이을 이아닐 불살필 량   군자는 옳바르고 곧으나 무턱대고신의(信義)만 고집하지 않는다.  《매생(尾生)의 고집》이라는 속담이 있다.미생이라는 남자가 다리 밑에서 만나기로 약속한 애인을 기다리고 있었는데 애인이 끝내 나타나지 않아 결국 홍수에 떠내려가서 죽고 말았다는 고사가 있다. 군자의 지조는 이것과는 다르다는 뜻이다. 2025. 3. 11.
论语 : 孔子曰 君子不可小知가 而可大受也요(논어 : 공자왈 군자불가소지가 이가대수야요) : 군자는 작은 일로는 그 재능을 알 수 없으나 큰 일은 맡길 수을 있다. 孔子曰 (공자왈 )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君子不可小知가( 군자불가소지)가 :군자는 작은 일로는 그 재능을 알 수 없으나 而可大受也요(이가대수야)요 : 큰 일은 맡길 수을 있다.  论 ( 論 )语 ( 語 )孔子曰君子不논할 론말씀 어구멍 공아들 자가로 왈임금 군아들 자아닐 불可小知而可大受也옳을 가작을 소알 지말이을 이옳을 가클 대받을 수어조사 야  군자란 작은 일은 알지 못해도 큰 일을 맡을 수 있고 소인이란 큰 일을 맡을 수 없어도 작은 일을 알 수는 있다.즉, 군자는 작은 일을 알지 못해도 큰 일을 맡길 수 있다. 군자는 작은 일로 알려져서는 안 되고소인은 그 반대로 큰 일은 맡을 수가 없으나사소한 일은 알아서 할 것이라고공자는 가르치고 있다. 군자라고 해서 사소한 것까지 알고 있는것은 아니며 작은 일을.. 2025. 3. 8.
论语 : 孔子曰 民之於仁也에 甚於水火이니라(논어 : 공자왈 민지어인야에 심어수화이니라) : 인은 사람에 있어서 물과 불보다 더 중요한 것이다. 孔子曰(공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民 之 於 仁 也 에 ( 민지어인야)에 :인은 백성들에게 있어서 甚 於 水 火 이니라(심어수화)이니라 :물과 불보다 더 중요한 것이다. 论 ( 論 )语 ( 語 )孔子曰民之논할 론말씀 어구멍 공아들 자가로 왈백성 민갈 지於仁也甚於水火어조사 어어질 인어조사 야심할 심어조사 어물 수불 화  인은 사람에 있어서 물과 불보다더 중요한 것이다. "나는 물이나 불을 밟고 죽는 자는 보았지만아직 인을 밝고 죽는 자는 본 적이 없다."라고 설명을 하고 있다.물이나 불에 뛰어들어 죽은 사람은 본 적은 있으나인이나 덕에 뛰어들어 죽은 사람은 아직 본 적이없다고 비유한 말이다.인간은 인덕과 끊을래야 끊을 수 없는삶의 기본임을 말하고 있다. 2025. 3.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