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3 썸네일형 리스트형 朝鲜前期 学者 兼 《文臣 退溪 李滉》 陶山月夜咏梅(조선전기 학자 겸 《문신 퇴계 이황》 도산월야영매) : 달밤에 도산에서 매화를 노래하다. 陶山月夜咏梅 (도산월야영매) :달밤에 도산에서 매화를 노래하다. 朝鲜 (鮮)前期文臣兼学 (學)者退아침 조고을 선앞 전기약할 기글월 문신하 신겸할 겸배울 학놈 자물러날 퇴溪李滉的陶山月夜咏 (詠)梅시내 계오얏 리깊을 황과녁 적질그릇 도梢메 산달 월밤 야읊을 영매화 매 홀로 산속 창가에 기대어 매화가 만개한 달밤의 아름다운 풍경과 고요하고 차가운 밤 달빛 아래 핀 매화의 맑고 은은한 향기를 통해 자연의 신비로움과 운치를 표현하고 있다. 独 倚 山 窗 夜 色 寒 (독의산창야색한) :홀로 산속 창에 기대니 밤의 풍경 차갑고 梅 梢 月 上 正 团 团 (매초월상정단단) :매화 가지 끝에 둥근 달이 떠오르네. 不 须 更 唤 微 风 至 (불수갱환미풍지) :굳이 미풍을 불러올 필요 없으니 自 有 淸 香 满 院 间 (자유.. 더보기 朝鲜时代 汉诗 作家 不详的 闻莺(조선시대 한시 작가 불상인 문앵) : 꾀꼬리 소리를 듣다. 闻 莺 (문앵) : 꾀꼬리 소리를 듣다. 朝鲜 (鮮)时 (時)代汉 (漢)诗 (詩)作아침 조고울 선때 시대신할 대한나라 한시 시지을 작家不详 (詳)的闻 (聞)莺 (鶯) 집 가아닐 불자세할 상과녁 적들을 문꾀꼬리 앵 꾀꼬리 소리를 듣고 자연의 아름다움과여유를 느낀 순간을 노래하며 바쁜 세상속에서 잠시나마 휴식을 취하는 소중함을느끼고 꾀꼬리의 아름다운 울음소리와생기 넘치는 봄의 풍경을 전하며 꾀꼬리가날아간 후의 아쉬움과 세상의 바쁜 현실에대한 탄식을 표현했다. 一 声 闻 后 願 频 频 (일성문후원빈빈) :꾀꼬리 소리 한 번 들은 후 간절한 소망이 자꾸 떠오르고 日 暎 金 衣 嫩 叶 新 (일영금의눈엽신) :해살은 금빛 옷에 비치고잎사귀는 갓 돋아나 싱그럽네. 飞 去 不 知 缘 底 事 (비거부지연저사)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