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 썸네일형 리스트형 中国 元朝时代 元曲 / 落梅风(중국 원나라 시대 원곡 / 낙매풍) : 매화꽃이 떨어지는 봄의 끝자락. 落梅风 (낙매풍) :매화꽃이 떨어지는 봄의 끝자락. 원곡(元曲) : 중국 원나라 시대의 대중적인(유행한) 가사를 지칭한다. 中国 (國)元朝时 (時)代가운데 중나라 국 으뜸 원아침 조때 시대신할 대元曲落梅风 (風) 으뜸 원굽을 곡떨어질 락매화 매바람 풍 중국 고전 희곡이나 소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문장으로 중국 전통 혼례 문화로 배우자와의만남을 상징하며 남녀 간의 사랑과 헌신을 묘사했다. 또한, 이상적인 혼인을 이루게 된 남성이 자신의 기쁨과 겸손함을 표현하고 그는 재색을 겸비한 여인의 승낙에 감격하며 비록 물질적으로는 풍족하지 않지만 진실한 마음으로 그녀를 사랑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鸾 凤 配 (난봉배) :봉황과 난새의 짝되고 莺 燕 约 (앵연약) :꾀꼬리와 제비의 약속을 맺으니 感 萧 娘 肯 .. 더보기 中国 元朝时代 散曲 / 寨儿令(중국 원나라 시대 산곡 / 채아령) : 마을 아이의 노래. 寨儿令 (채아령) :마을 아이의 노래. 산곡(散曲) : 중국 원나라 때 유행한 일종의 가사 문학 형식.中 国 (國)元朝时 (時)代가운데 중나라 국으뜸 원아침 조때 시대신할 대散曲寨儿 (兒)令 흩을 산굽을 곡목책 채아이 아하여금 령 채아령(寨儿令)은 중국 원나라 시대에 유명했던 산곡(散曲)의 곡패(曲牌) 중 하나로산곡(散曲)이란 대중적인 가사의 형식이며쌍조(双调)은 중국 전통 음악의 곡조 유형 중 하나곡패(曲牌)는 일종의 노래 제목이자 형식을 말하며 중국의 옛 가곡의 제목이기도 하다. 마을 축제에서 젊은 남녀가 함께 부르던사랑 노래로 특정 지역의 독특한 풍습이나설화를 담아낸 민요였으며 옛날 사람들이힘든 시대를 살아가면서 함께 불렀던 노래로젊은이들의 삶과 감정을 담은 노래이기도 하다. 清景幽 (청경유) :.. 더보기 日帝强占期时代 敎育者 兼 《诗人 朴木月》 「本名 : 朴泳锺」 山桃花(일제강점기시대 교육자 겸 《시인 박목월》 「본명 : 박영종」 산도화) : 산에 피는 복숭아꽃. 山桃花 (산도화) :산에 피는 복숭아꽃. 복숭아꽃 꽃말 : 번영, 풍요, 행복, 사랑의 노예, 천하무적日帝强占期时 (時)代诗 (詩)人날 일임금 제강할 강점령할 점기약할 기때 시대신할 대시 시사람 인兼敎育者朴木月本名겸할 겸가르칠 교기를 육놈 자나무껍질박나무 목달 월근본 본이름 명朴泳锺 (鍾)的山桃花 나무껍질박헤엄칠 영쇠북 종과녁 적메 산복숭아 도꽃 화 구강산을 배경으로 신비로운 분위기 속에서피어난 산도화와 그곳에서 발을 씻는 암사슴의모습을 통해 순수하고 평화로운 세계를 그린것으로 자연의 아름다움과 생명력을 표현했다.봄에 피어나는 산도화는 새로운 시작과 생명력을나타낸 것으로 아름다운 자연과 순수한 생명력을상징하며 평화롭고 이상적인 세계를 보여준다. 산도화 / 박목월(Ⅰ)산은구강산(九江山)보라빛 석산.. 더보기 日帝强占末期 时代 《诗人 李汉稷》 东方的山(일제강점기말기 시대 《시인 이한직》 동방적산) : 동양의 산 东方的山 (동방적산) :동양의 산 日帝强占末期时 (時)代诗 (詩)날 일임금 제강할 강점령할 점끝 말기약할 기때 시대신할 대시 시人李汉 (漢)稷的东 (東)方的山사람 인오얏 리한수 한피 직과녁 적동녘 동모 방과녁 적메 산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등 격변의 시대에시대적 고통과 민족의 아픔을 상징적으로표현했으며 아름다운 자연을 노래한 것이아니라 역사의 아픔을 극복하고 새로운희망을 찾아가야 하는 자연의 섭리와 역사의순환 그리고 전쟁을 통한 허탈감과 생애의 집념등을 나타내고 있다. 동양의 산 / 이한직비쩍 마른 어깨가항의하는 양 날카로운 것은고발 않고는 못 참는애달픈 천품을 타고난 까닭일게다.격한 분화의 기억을 지녔다.그 때는 어린 대로 심히 노해 볼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식물들은 해마다 헛되이 뿌리를 박았으나끝.. 더보기 中国 唐朝末期时代 《诗人 崔道融》溪居即事(중국 당나라 말기 시대 《시인 최도융》 계거즉사) : 개울가에 살면서 그때그때 떠오르는 생각들 「계촌의 일상」 溪居即事 (계거즉사) :개울가에 살면서 그때그때 떠오르는 생각들.《계촌의 일상》 中国 (國)唐朝末期时 (時)代诗 (詩)가운데 중나라 국당나라 당아침 조끝 말기약할 기때 시대신할 대시 시人崔道融的溪居即事사람 인높을 최길 도화할 융과녁 적시내 계살 거곧 즉일 사 시골 마을의 평화로운 풍경을 묘사한 것으로봄바람이 불어오는 따뜻한 날씨에 낚시터에는배들이 한가롭게 떠 있고 아이는 혹시 손님이올까 봐 서둘러 문을 잠그는 모습에서 시골 마을의 한적하고 평화로운 분위기와 시골 개울가에서 벌어지는 소박한 일상을 표현한 것이다. 篱 外 谁 家 不 系 船 (이외수가불계선) :울타리 밖 어느 집 배도 매어놓지 않았는데 春 风 吹 入 钓 鱼 湾 (춘풍취입조어만) :봄바람이 불어와낚시터로 들어오네. 小 童 疑 是 有 村 客 (.. 더보기 中国 唐朝末期时代 《诗人 崔道融》 鸡(중국 당나라 말기 시대 《시인 최도융》 계) : 닭. 鸡 (계) : 닭 中国 (國)唐朝末期时 (時)代가운데 중나라 국당나라 당아침 조끝 말기약할 기때 시대신할 대诗 (詩)人崔道融的鸡 (鷄) 시 시사람 인높을 최길 도화할 융과녁 적닭 계 닭은 평소에는 함부로 울지 않지만 어둡고 힘든 상황 속에서 새벽이 다가오자 희망을 알리는 울음을 터뜨립니다. 어려운 현실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꿋꿋하게 살아가는 모습을 닭에 빗대어표현한 것으로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추구하며 은둔 생활속에서도 희망과 삶의 의미를 표현하고 있다. 买 得 晨 鸡 共 鸡 语 (매둑신계공계어) :수닭 한 마리 사서 닭들과 함께 지내니 常 时 不 用 等 闲 鸣 (상시불용등한명) :평소에는 함부로 울 필요가 없네. 深 山 月 黑 风 雨 夜 (심산월흑풍우야) :깊은 산속 달도 없고 바람 불고 비 .. 더보기 中国 唐朝末期 大齐 初代 《皇帝 黃巢》 题菊花(중국 당나라 말기 대제 초대 《황제 황소》 제국화) : 국화에 대해 글을 쓰다. 题菊花 (제국화) :국화에 대해 글을 쓰다. 中国 (國)唐朝末期大齐 (齊)初가운데 중나라 국당나라 당아침 조끝 말기약할 기큰 대가지런할 제처음 초代皇帝黃巢的题 (題)菊花대신할 대임금 왕임금 제누를 황새집 소과녁 적제목 제국화 국꽃 화 과거 시험에 낙방후 사회의 불만에 국화를 보고 느낀 감정을 표현한 시로 가을 바람에 피어난 국화의 아름다움을 가을바람이 불어오는 뜰에 핀 국화는 차가운 날씨 때문에 벌과 나비조차 찾아오지 않는 쓸쓸함을 안타까워하며 미래에 봄의 신이 되어 국화가 따뜻한 봄에 복사꽃과 함께 화려하게 피어나도록 하고 싶은 소망을 표현하고 있다. 飒 飒 西 风 满 院 栽 (삽삽서풍만원재) :쏴아 쏴아 찬바람 부는 가을 국화는 뜰에 가득 피었네. 蕊 寒 香 冷 蝶 难 来 (예한향냉접난래) :꽃술은.. 더보기 中国 唐朝 《诗人 刘驾》 牧童(중국 당나라 《시인 유가》 목동) : 양치기 소년. 牧 童 (목동) :양치기 소년. 中国 (國)唐朝诗 (詩)人가운데 중나라 국당나라 당아침 조시 시사람 인刘 (劉)驾 (駕)的牧童 죽일 류멍에 가과녁 적칠 목아이 동 시골 목동의 순박하고 천진난만한 모습을그린 작품으로 손님을 보면 공손히 절을 하고산에서 딴 과일을 손님에게 건네려다 품속에떨어뜨리는 모습에서 목동의 순수한 마음을엿볼 수있으며 또한 낮에는 소를 몰고 집으로돌아가는 평화로운 일상과 갑작스러운 비바람을통해 시골의 변화무쌍한 자연 풍경을 느낄 수있다. 牧 童 见 客 拜 (목동견객배) :목동이 손님 보고 절을 하니 山 果 怀 中 落 (산과회중락) :산 과일들이 품속에 떨어지네. 昼 日 驱 牛 归 (주일구우귀) :한낮에는 소를 몰고 집으로 돌아가는데 前 溪 风 雨 恶 (전계풍우악) :앞 시내에는 비바..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