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 썸네일형 리스트형 中国 宋朝末期时代 《诗人 张炎》 淸平乐(중국 송나라 말기시대 《시인 장염》 청평락) : 맑고 평화로운 즐거움. 淸平乐 (청평락) :맑고 평화로운 즐거움. 中国 (國)宋朝末期时 (時)代가운데 중나라 국송나라 송아침 조끝 말기약할 기때 시대신할 대诗 (詩)人张 (張)炎的淸平乐 (樂)시 시사람 인베풀 장불꽃 염과녁 적맑을 청평평할 평즐길 락 객지에서 봄을 맞이하며 느끼는 외로움과그리움을 표현 했으며 봄은 만물이 소행하는활기찬 계절이지만 고향을 떠나 홀로 객지에서봄을 맞이하며 지난날의 즐거웠던 추억을 떠올리며 현재의 쓸쓸함을 나타낸 것이다. 采 芳 人 杳 (채방인묘) :꽃을 따는 사람은 흔적도 없고 顿 赏 游 情 少 (돈상유정소) :나그네 마음은 쓸쓸해지네. 客 里 看 春 多 草 草 (객리간춘초초) :객지에서 봄을 맞이하니 더욱 쓸쓸하고 总 被 诗 愁 分 了 (총피시수분료) :시름에 잠겨 봄을 제대로 즐길 수 없네... 더보기 论语 : 孔子曰 事君하며 敬其事하고 而後其食이니라(논어 : 공자왈 사군하며 경기사하고 이후기식이니라) : 군주을 섬김에 있어 그 일을 공경하는 마음으로 하고 녹봉은 후에 받는 것이다. 孔 子 曰 (공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事 君 하며 (사군)하며 :군주를 섬기되 敬 其 事 하고 (경기사)하고 :그 일을 공경하는 마음으로 하고 而 後 其 食 이니라 (이후기식)이니라 : 녹봉은 후에 받는 것이다. 임금을 섬김에 있어 그 직무를 정성껏수행한 다음 봉록을 뒤로 돌려야 한다. 論 (论)語 (语)孔子曰事君논할 론말씀 어구멍 공아들 자가로 왈일 사임금 군敬其事而後 (后)其食 (饣)공경 경그 기릴 사말이을 이뒤 후 밥 식滅 (灭)私奉公멸사봉공(滅私奉公)다할 멸사사 사받들 봉공평할 공사욕을 버리고 공익을 위하여 힘씀. 일이 중요한 것이지 대우는 문제 삼을 것이못된다고 생각하는 자는 거의 없을 것이다.소위 멸사봉공(滅私奉公)형의 사고방식을젊은이에게 요구하는 것은 무리이며대우를 도외시하고 사람을.. 더보기 中国 南宋朝时代 《诗人 杨万里》 好事近(중국 남송시대 《시인 양만리》 호사근) : 좋은 일이 다가오고 있네. 好事近 (호사근) :좋은 일이 다가오고 있네. 中国 (國)南宋朝时 (時)代诗 (詩)가운데 중나라 국남녘 남송나라 송아침 조때 시대신할 대시 시人杨 (楊)万 (萬)里的好事近사람 인버들 양일만 만마을 리과녁 적좋을 호일 사가까울 근 달이 아직 서재에 이르지 않았는데 벌써 만 가지 꽃이 피어있는 골짜기에 먼저 와 있네. 나의 서재에 달이 없는 것이 아니라 한 숲의 아름다운 대나무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 것이지 이제야 음력 13일 밤인데 달빛은 이미 옥처럼 밝고 아름답네. 아직 가을 풍경이 최고라고 할 수 없으니 음력 15일, 16일의 가장 밝은 달을 봐야지 이 시는 음력 7월 12알 밤 만화곡에 올라달을 바라보며 쓴 시로 달이 아직 완전히 떠오르지 않았지만 이미 아름다운 달빛을 감상하며 앞으로 다가올 보름달.. 더보기 论语 : 子曰 有敎無類니라(논어 : 자왈 유교무류니라) : 가르침은 있으나 차별은 두지 않는다. 子 曰 (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有 敎 無 類 니라(유교무류)니라 :가르침은 있으나 차별은 두지 않는다. 공자가 말하길 가르침에 있어서는차별하지 않는다. 论 (論)语 (語)子曰有敎無 (无)類 (类)논할 론말씀 어아들 자가로 왈있을 유가르칠 교없을 무무리 류 위 글 만으로는 선문답 같아서 이해하기가 어렵다.그래서 한자를 주로 사요하는 동양 3국(중국, 한국, 일본)에서도 여러 가지로 해석하고 있다. 몇 가지 예를 들어 본다.첫째 : 교육에 의한 차별은 있지만 종류에 의한차별은 없다. 누구든 교육에 의하여 성장한다. 둘째 : 교육만이 중요한 것이며 그 사람이 속하는지위, 신분, 환경 등은 상관없다. 셋째 : 빈천, 노약, 지위를 불문하고 모두 교육의선악에 의해 지배된다. 즉그런즉,人 性 皆 善 (인.. 더보기 中国 宋朝时代 《诗人 赵长卿》 探春令(중국 송나라시대 《시인 조장경》 탐춘령) : 음악과 노래가 있는 웅장한 연회《봄을 찾는 노래》 探春令 (탐춘령) :음악과 노래가 있는 웅장한 연회《봄을 찾는 노래》 中国 (國)宋朝时 (時)代诗 (詩)人가운데 중나라 국송나라 송아침 조때 시대신할 대시 시사람 인赵 (趙)长 (長)卿的探春令 나라 이름 조길 장벼슬 경과녁 적찾을 탐봄 춘하여금 령 봄을 맞이하는 기쁨과 새해의 행운을 기원하며잔치가 열리고 아름다운 음악과 노래가 울려퍼지는 가운데 사람들은 봄을 맞이하며 즐거워하고 섬세한 손으로 음식을 나르고 푸른실로 곱게 장식하며 바람에 깃발과 장식들이 나부끼는 모습이 새해가 밝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이루어지기를 기원하며 새해의 시작을 알리는 내용을 담고 있다. 笙 歌 间 错 华 筳 启 (생가간착화정계) :풍악 소리 울려 퍼지는 가운데 화려한 잔치가 열리니 喜 新 春 新 岁 (희신춘신세) :기쁜 새봄.. 더보기 论语 : 子曰 當仁하여는 不讓於師라(논어 : 자왈 당인하여는 불양어사라) : 공자가 말하길 인을 지킴에는 스승에게도 양보하지 않아야 한다. 子 曰 (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當 仁 하여는 (인당)하여는인을 지킴에는 不 讓 於 師 라 (불양어사)라 :스승에게도 양보하지 않아야 한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인(仁)을 행할 때는 스승에게도 양보하지 않는다. 论 (論)语 (語)子曰當 (当)仁不讓 (让) 於師 (师)논할 론말씀 어아들 자가로 왈마땅 당어질 인아닐 불사양할 양어조사 어스승 사 《스승의 그림자는 밟지 않는다》고 옛날부터말하지만 유교에서는 스승에게 양보하는미덕을 가장 존중하고 있다.그 스승에 대해서는 조금도 양보하지 않아야한다고 말할 정도로 공자가 인과 도의 실행을얼마나 중요시하고 있었는가 하는 예를 알 수 있는 대목이다.공자는 인덕을 지키는 일은 간단한 것 같지만매우 어려우므로 스승에게도 지지 않을정도로 주력하라고 제자들을 격려한 .. 더보기 论语 : 孔子曰 君子는貞而不諒이니라(논어 : 공자왈 군자는 정이불량이니라) : 공자가 말하길 군자는 곧고 바르나 소신을 고집하지 않는다. 孔 子 曰 (공자왈) :공자가 말씀하시길 君 子는 (군자)는 :군자는 貞 而 不 諒 이니라 (정이불량)이니라 :곧고 바르나 소신을 고집하지 않는다. 군자는 옳바르고 곧으나 무턱대고신의(信義)만 고집하지 않는다. 论 (論)语 (語)孔子曰君논할 논말씀 어구멍 공아들 자가로 왈임금 군子貞 (贞)而不諒 (谅) 아들 자곧을 정말이을 이아닐 불살필 량 《매생(尾生)의 고집》이라는 속담이 있다.미생이라는 남자가 다리 밑에서 만나기로 약속한 애인을 기다리고 있었는데 애인이 끝내 나타나지 않아 결국 홍수에 떠내려가서 죽고 말았다는 고사가 있다. 군자의 지조는 이것과는 다르다는 뜻이다. 더보기 中国 南宋朝时代 《诗人 杨万里》 昭君怨 - 赋松上鸥(중국 남송시대 《시인 양만리》 소군원 - 부송상구) : 소군의 슬픔《소나무 위 갈매기를 노래하다》 昭君怨 (소군원) :赋 松 上 鸥 (부송상구) :부제목 : 소군의 슬픔제목 : 소나무 위 갈매기를 노래하다 中国 (國)南宋朝时 (時)代诗 (詩)人杨 (楊)가운데 중나라 국남녘 남송나라 송아침 조때 시대신할 대시 시사람 인버들 양万 (萬)里的昭君怨赋 (賦)松上鸥 (鷗)일만 만마을 리과녁 적밝을 소임금 군원망할 원부세 부소나무 송윗 상갈매기 구소군(昭君)중국 한나라 시대의 미인으로 흉노족(匈奴族)과의 화친(和亲)을 위해 흉노족에게 시집을 갔으나그녀의 불행한 삶은 마음을 아프게 했다. 벼슬에서 물러나 고향으로 돌아가자연 속에서 살고 싶어 하는 마음을갈매기에 빗대어 표현한 것으로소나무 가지에 앉아 잠든 갈매기떼를보고 마치 자신의 모습과 같다고 느끼며시끄러운 세상에서 벗어나 평화롭게 살고 싶어 하는 마음을 담은..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