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道 德 经 八 章 (도덕경 8장)
【 노자의 도와 덕에 대한 가르침을 담은 경전 】
물의 속성을 통해 이상적인 삶의 태도와
사회적 덕목을 이야기하다.
형이상학적(形而上學的) : 존재의 실체와 궁극적인 원리를 감각이
아닌 순수한 사고를 통해 알고자 하는 학문.
우주의 본질은 무엇인가?
신은 존재하는가?
참으로 존재하는 것은 무엇인가? 등의 물음을 통해 우리 천체를
하나의 통일된 체제로 파악하려 하며 사물의 배후에 있는 구조와
본질을 밝히고자 함이다.
가장 훌륭한 선(善)은 물과 같다.
물은 만물을 이롭게 하지만 다투지 않고 모든 사람이
싫어하는 낮은 곳에 머문다. 그러므로 도(道)에 가깝다.
훌륭한 사람은 땅처럼 겸손하게 머물고 마음은 깊은
연못처럼 잔잔하며 오직 다투지 않으므로 허물이 없다.
또한 좋은 환경을 선택하고 깊고 차분한 마음을 유지하며
인의(仁義)을 바탕으로 사람들과 교류하고 신뢰 있는
언어를 사용하며 바르게 다스리고 능숙하게 일을 처리하며
때를 맞춰 행동하는 것을 말한다.
上 善 若 水 ( 상선약수 ) :
최고의 선은 물과 같다
水 善 利 万 物 而 不 争 ( 수선이만물이불쟁 ) :
물은 만물을 이롭게 하면도 다투지 않고
处 丛 人 之 所 恶 ( 처총인지소악 ) :
뭇사람들이 싫어하는 곳에 머무르니
故 几 于 道 ( 고기우도) :
그러므로 도에 가깝다.
居 善 地 ( 거선지 ) :
머무름에는 땅을 잘 가리고
心 善 渊 ( 심선연 ) :
마음은 연못처럼 깊게 하며
与 善 仁 ( 여선인 ) :
함께함에는 어질게 하며
言 善 信 ( 언선신 ) :
말에는 믿음이 있게 하며
正 善 治 ( 정선치 ) :
다스림에는 바르게 하며
事 善 能 ( 사선능 ) :
일에는 능숙하게 하며
劫 善 时 ( 겁선시 ) :
움직임에는 때맞게 한다.
夫 唯 不 争 ( 부유불쟁 ) :
무릇 오직 타투지 않으므로
故 无 尤 ( 고무우 ) :
허물이 없다.
上 | 善 | 若 | 水 | |||||
윗 상 | 착할 선 | 같을 약 | 물 수 | |||||
水 | 善 | 利 | 万 ( 萬 ) | 物 | 而 | 不 | 争 ( 爭 ) | |
물 수 | 착할 선 | 날카로울 리 | 일만 만 | 물건 물 | 말이을 이 | 아닐 불 | 다툴 쟁 | |
处 ( 處 ) | 众 ( 衆 ) | 人 | 之 | 所 | 恶 ( 惡 ) | |||
곳 처 | 무리 중 | 사람 인 | 갈 지 | 바 소 | 악할 악 | |||
故 | 几 ( 幾 ) | 于 | 道 | 居 | 善 | 地 | ||
연고 고 | 조짐 기 | 어조사 우 | 길 도 | 살 거 | 착할 선 | 땅 지 | ||
心 | 善 | 渊 ( 淵 ) | 与 ( 與 ) | 善 | 仁 | 言 | 善 | 信 |
마음 심 | 착할 선 | 못 연 | 더불 여 | 착할 선 | 어질 인 | 말씀 언 | 착할 선 | 믿을 신 |
正 | 善 | 治 | 事 | 善 | 能 | 劫 | 善 | 时 ( 時 ) |
바를 정 | 착할 선 | 다스릴 치 | 일 사 | 착할 선 | 능할 능 | 위협할 겁 | 착할 선 | 때 시 |
夫 | 唯 | 不 | 争 ( 爭 ) | 故 | 无 ( 無 ) | 尤 | ||
지아비 부 | 오직 유 | 아닐 불 | 다툴 쟁 | 연고 고 | 없을 무 | 더욱 우 |
반응형
'노자의 도덕경(老子的 道德经)' 카테고리의 다른 글
老子的 道德经 十章(노자의 도덕경 10장) : 무위(無爲)의 덕과 자연의 순리에 따르는 삶의 지혜를 이야기하다. (13) | 2025.05.14 |
---|---|
老子的 道德经 九章(노자의 도덕경 9장) : 가득 채우기 하기보다는 비워두는 것으로 지나침은 오히려 부족함만 못하다는 지혜를 이야기하다. (0) | 2025.05.10 |
老子的 道德经 七章(노자의 도덕경 7장) : 무위자연(無爲自然)의 도(道)를 따르는 삶의 지혜를 하늘과 땅에 대해 이야기하다. (7) | 2025.05.04 |
老子的 道德经 六章(노자의 도덕경 6장) : 도(道)는 영원불멸(永遠不滅)하며 만물의 생성하는 근원적인 힘을 이야기하다. (3) | 2025.05.02 |
老子的 道德经 五章(노자의 도덕경 5장) : 자연의 법칙과 성인의 다스림을 이야기하다. (13) | 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