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德 经 六 章 (도덕경 6장)
【 노자의 도와 덕에 대한 가르침을 담은 경전 】
도(道)는 영원불멸(永遠不滅)하며 만물의
생성하는 근원적인 힘을 이야기하다.
형이상학적(形而上學的) : 존재의 실체와 궁극적인 원리를 감각이
아닌 순수한 사고를 통해 알고자 하는 학문.
우주의 본질은 무엇인가?
신은 존재하는가?
참으로 존재하는 것은 무엇인가? 등의 물음을 통해 우리 천체를
하나의 통일된 체제로 파악하려 하며 사물의 배후에 있는 구조와
본질을 밝히고자 함이다.
만물의 근원인 도(道)는 형체가 없고 깊고 그윽한 것이며
도는 끊임없이 적용하며 만물을 생성하고 도의 작용은
자연스럽고 억지로 하려 들지 않는다는 뜻이다.
즉 마치 땅속 깊은 곳에 있는 샘물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끊임없이 물을 솟아나게 하여 모든 생명을 기르는 근원과
같으며 겉으로는 들어나지 않지만 우주 만물을 낳고
기르면서도 스스로는 드러내지 않는 겸허한 존재로 묘사된다.
谷 神 不 死 ( 곡신불사 ) :
골짜기의 신은 죽지 않으니
골짜기의 신은 텅 비어 있지만 모든 것을 담을 수 있는
골짜기의 속성을 비유하며 이는 도가 형체가 없고 비어
있지만 만물을 생성하고 포용하는 근원적인 힘과 죽지
않는다는 것은 도의 영원하고 불멸하는 속성을 의미한다.
是 谓 玄 牝 ( 시위현빈 ) :
이를 현모한 암컷이라 이른다.
현묘한 암컷은 만물을 낳는 근원, 즉 생명의 근원을
말하며 도는 마치 모든 것을 잉태하는 어머니와 같이
만물의 근원이라는 의미이다. 현(玄)은 심오하고
어려운 것을 말하며 빈(牝)은 암컷을 의미한다.
玄 牝 之 门 ( 현빈지문 ) :
현모한 암컷의 문은
만물의 생성이되어 나오는 통로를 비유하며 이는
도가 만물이 비롯되어 근원적인 통로임을 나타낸다.
是 谓 天 地 根 ( 시위천지근 ) :
이를 천지의 뿌리라 이른다.
도가 우주 만물의 근본적인 바탕임을 의미한다.
绵 绵 若 存 ( 면면약존 ) :
끊임없이 이어져 존재하는 듯하니
도가 눈에 보이지 않지만 끊임없이 작용하며 존재함을
나타내며 마치 가늘고 긴 실처럼 끊임없이 이어지는 도의
속성을 나타낸 것이다.
用 之 不 勤 ( 용지불근 ) :
쓰되 수고롭지 않다.
도의 무궁무진한 능력과 작용을 의마하며 도는 아무리
사용해도 고갈되지 않는 영원한 에너지와 같다는 뜻이다.
谷 | 神 | 不 | 死 | 是 | 谓 ( 謂 ) | 玄 | 牝 | |
골 곡 | 귀신 신 | 아닐 불 | 죽을 사 | 이 시 | 이를 위 | 검을 현 | 암컷 빈 | |
玄 | 牝 | 之 | 门 ( 門 ) | 是 | 谓 ( 謂 ) | 天 | 地 | 根 |
검을 현 | 암컷 빈 | 갈 지 | 문 문 | 이 시 | 이를 위 | 하늘 천 | 땅 지 | 뿌리 근 |
绵 ( 綿 ) | 绵 ( 綿 ) | 若 | 存 | 用 | 之 | 不 | 勤 | |
솜 면 | 솜 면 | 같을 약 | 있을 존 | 쓸 용 | 갈 지 | 아닐 불 | 부지런할 근 |
'노자의 도덕경(老子的 道德经)' 카테고리의 다른 글
老子的 道德经 八章(노자의 도덕경 8장) : 물의 속성을 통해 이상적인 삶의 태도와 사회적 덕목을 이야기하다. (16) | 2025.05.07 |
---|---|
老子的 道德经 七章(노자의 도덕경 7장) : 무위자연(無爲自然)의 도(道)를 따르는 삶의 지혜를 하늘과 땅에 대해 이야기하다. (7) | 2025.05.04 |
老子的 道德经 五章(노자의 도덕경 5장) : 자연의 법칙과 성인의 다스림을 이야기하다. (13) | 2025.05.01 |
老子的 道德经 四章(노자의 도덕경 4장) : 도(道)의 형이상학적을 특징을 이야기하다. (6) | 2025.04.29 |
老子的 道德经 三章(노자의 도덕경 3장) : 백성들을 다스리는 이상적인 방법을 이야기하다. (3) | 2025.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