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鞦 千 词(추천사) :
춘향이가 그네 타며 부르는 노래.
日 | 帝 | 强 | 占 | 末 | 期 | 诗 ( 詩 ) | 人 | 兼 | 敎 |
날 일 | 임금 제 | 강할 강 | 점령할 점 | 끝 말 | 기약할 기 | 시 시 | 사람 인 | 겸할 겸 | 가르칠 교 |
育 | 者 | 徐 | 廷 | 柱 | 的 | 鞦 | 千 ( 韆 ) | 词 ( 詞 ) | |
기를 육 | 놈 자 | 천천히 할 서 | 조정 정 | 기둥 주 | 과녁 적 | 밀치끈 추 | 그네 천 | 말씀 사 |
5월 단옷날 춘향이가 푸른 나무 사이로
그네 뛰던 모습을 처음 본 이 도령이 사랑을
느끼던 그 장면을 모티브(motive)한 것으로
춘향전의 춘향이가 그네를 타고 하늘을 향해
날아오르듯 춘향과 이 도령의 한국의 고전
이야기를 다룬 사랑을 표현한 시(诗)이다.
香 丹 啊 ( 향단아 ) :
향단(香丹)아,
推 一 下 那 秋 千 的 绳 索
( 추일하나추천적승삭 ) :
그넷줄을 밀어라.
就 像 把 船 推 向 遥 远 的 大 海 一 样
(취상파선추향요원적대해일양 ) :
머언 바다로 배를 내어 밀 듯이
香 丹 啊 ( 향단아 ) :
향단아.
从 这 轻 柔 揺 曳 的 垂 柳
( 종저경유요예적수류 ) :
이 다수굿이(다소곳이) 흔들리는 수양버들나무와
从 枕 边 沾 染 花 色 的 野 花 丛
( 종침변첨염화색적야화총 ) :
벼갯모에 뇌이듯한 풀꽃뎀이(풀꽃더미)로부터
从 那 细 小 的 蝴 蝶 幼 崽
( 종나세소적호접유재 ) :
자잘한 나비새끼
黃 莺 儿 们 ( 황앵아문 ) :
꾀꼬리들로부터
用 力 地 推 开 我 吧 ( 용력지추개아파 ) :
아조 (아주) 내어 밀 듯이,
香 丹 啊 ( 향단아 ) :
향단아.
向 那 没 有 珊 瑚 也 没 有 岛 屿 的 天 空
( 향나몰유산호야몰유도서적천공 ) :
산호(珊瑚)도 섬도 없는 저 하눌(하늘)로
把 我 推 上 去 吧 ( 파아추상거파 ) :
나를 밀려 올려 다오.
像 彩 色 的 云 彩 一 样 把 我 上 去 吧
( 상채색적운채일양파아상거파 ) :
채색(彩色)한 구름같이 나를 밀어 올려 다오.
把 我 这 激 动 的 心 推上 去 吧 !
( 파아저격동적심추상거파 ) :
이 울렁이는 가슴을 밀어 올려 다오 !
像 那 西 去 的 月 亮 一 般
( 상나서거적월량일반 ) :
서(西)으로 가는 달 같이는
我 无 论 如 何 也 无 法 前 往
( 아무론여하야무법전왕 ) :
나는 아무래도 갈 수가 없다.
像 风 推 动 海 浪 一 般
( 상풍추동해랑일반 ) :
바람이 파도(波濤)를 밀어 올리듯이
那 样 地 把 我 推 上 去 吧
( 나양지파아추상거파 ) :
그렇게 나를 밀어 올려다오.
香 丹 啊 ( 향단아 ) :
향단아.
香 | 丹 | 啊 | 推 | 一 | 下 | 那 | 秋 | 千 | 的 |
향기 향 | 붉을 단 | 어조사 아 | 밀 추 | 한 일 | 아래 하 | 어찌 나 | 가을 추 | 일천 천 | 과녁 적 |
绳 ( 繩 ) | 索 | ◈ | 就 | 像 | 把 | 船 | 推 | 向 | 遥 (遙 ) |
노끈 승 | 노 삭 | 낭아갈 취 | 모양 상 | 잡을 파 | 배 선 | 밀 추 | 향할 향 | 멀 요 | |
远 ( 遠 ) | 的 | 大 | 海 | 一 | 样 ( 樣 ) | ◈ | 香 | 丹 | 啊 |
멀 원 | 과녁 적 | 클 대 | 바다 해 | 한 일 | 모양 양 | 향기 향 | 붉을 단 | 어조사 아 | |
从 ( 從 ) | 这 | 轻 ( 輕 ) | 柔 | 揺 ( 搖 ) | 曳 | 的 | 垂 | 柳 | |
좇을 종 | 이 저 | 가벼울 경 | 부드러울 유 | 흔들 요 | 끌 예 | 과녁 적 | 드리울 수 | 버들 류 | |
从 ( 從 ) | 枕 | 边 ( 邊 ) | 沾 | 染 | 花 | 色 | 的 | 野 | 花 |
좇을 종 | 베개 침 | 가 변 | 더할 첨 | 물들 염 | 꽃 화 | 빛 색 | 과녁 적 | 들 야 | 꽃 화 |
丛 ( 叢 ) | ◈ | 从 ( 從 ) | 那 | 细 ( 細 ) | 小 | 的 | 蝴 | 蝶 | 幼 |
모일 총 | 좇을 종 | 어찌 나 | 가늘 세 | 작을 소 | 과녁 적 | 나비 호 | 나비 접 | 어릴 유 | |
崽 | ◈ | 黃 | 莺 (鶯 ) | 儿 ( 兒 ) | 们 ( 們 ) | ||||
자식 재 | 누를 황 | 꾀꼬리 앵 | 아이 아 | 들 문 | 香 | 丹 | 啊 | ||
用 | 力 | 地 | 推 | 开 ( 開 ) | 我 | 吧 | 향기 향 | 붉을 단 | 어조사 아 |
쓸 용 | 힘 력 | 땅 지 | 밀 추 | 열 개 | 나 아 | 아이 다툴 파 | |||
向 | 那 | 没 | 有 | 珊 | 瑚 | 也 | 没 | 有 | 岛 ( 島 ) |
향할 향 | 어찌 나 | 빠질 몰 | 있을 유 | 산호 산 | 산호 호 | 어조사 야 | 빠질 몰 | 있을 유 | 섬 도 |
屿 ( 嶼 ) | 的 | 天 | 空 | ◈ | 把 | 我 | 推 | 上 | 去 |
섬 서 | 과녁 적 | 하늘 천 | 빌 공 | 잡을 파 | 나 아 | 밀 추 | 윗 상 | 갈 거 | |
吧 | ◈ | 像 | 彩 | 色 | 的 | 云 ( 雲 ) | 彩 | 一 | |
아이 다툴 파 | 모양 상 | 채색 채 | 빛 색 | 과녁 적 | 구름 운 | 채색 채 | 한 일 | ||
样 ( 樣 ) | 把 | 我 | 上 | 去 | 吧 | ◈ | 把 | 我 | |
모양 양 | 잡을 파 | 나 아 | 윗 상 | 갈 거 | 아이 다툴 파 | 잡을 파 | 나 아 | ||
这 | 激 | 动 ( 動 ) | 的 | 心 | 推 | 上 | 去 | 吧 | |
이 저 | 격할 격 | 움직일 동 | 과녁 적 | 마음 심 | 밀 추 | 윗 상 | 갈 거 | 아이 다툴 파 | |
像 | 那 | 西 | 去 | 的 | 月 | 亮 | 一 | 般 | |
모양 상 | 어찌 나 | 서녘 서 | 갈 거 | 과녁 적 | 달 월 | 밝을 량 | 한 일 | 일반 반 | |
我 | 无 ( 無 ) | 论 ( 論 ) | 如 | 何 | 也 | 无 ( 無 ) | 法 | 前 | 往 |
나 아 | 없을 무 | 논할 론 | 같을 여 | 어찌 하 | 어조사 야 | 없을 무 | 법 법 | 앞 전 | 갈 왕 |
像 | 风 ( 風 ) | 推 | 动 ( 動 ) | 海 | 浪 | 一 | 般 | ||
모양 상 | 바람 풍 | 밀 추 | 움직일 동 | 바다 해 | 물결 랑 | 한 일 | 일반 반 | ||
那 | 样 ( 樣 ) | 地 | 把 | 我 | 推 | 上 | 去 | 吧 | |
어찌 나 | 모양 양 | 땅 지 | 잡을 파 | 나 아 | 밀 추 | 윗 상 | 갈 거 | 아이 다툴 파 | |
香 | 丹 | 啊 | |||||||
향기 향 | 붉을 단 | 어조사 아 |
반응형
'한국의 명시(韩国的 名诗)'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韩民国 政治人 兼 诗人 都锺焕的 红梅花(대한민국 정치인 겸 시인 도종환의 홍매화) : 붉은 빛깔의 매화. (7) | 2025.04.19 |
---|---|
日帝强占期 诗人 郑汉模的 在暴风雪中(일제강점기 시인 정한모의 재폭풍설중) : 눈보라 속에서. (0) | 2025.04.05 |
日帝强占末期 诗人 赵炳华的 泉边(일제강점기 시인 조병화의 천변) : 샘터. (5) | 2025.04.04 |
日帝强占期时代 诗人 兼 敎育者 朴木月《本名 : 朴泳锺》的 山桃花(일제강점기시대 시인 겸 교육자 박목월《본명 : 박영종》의 산도화) : 산에 피는 복숭아꽃. (1) | 2025.03.20 |
日帝强占末期 时代 诗人 李汉稷的 东方的山(일제강점기말기 시대 시인 이한직의 동방적 산) : 동양의 산 (3)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