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淸平乐 (청평락) :
맑고 평화로운날 강가에 서서.
中 | 国 (國) | 宋 | 朝 | 末 | 期 | 时 (時) | 代 |
가운데 중 | 나라 국 | 송나라 송 | 아침 조 | 끝 말 | 기약할 기 | 때 시 | 대신할 대 |
诗 (詩) | 人 | 张 (張) | 炎 | 的 | 淸 | 平 | 乐 (樂) |
시 시 | 사람 인 | 베풀 장 | 불꽃 염 | 과녁 적 | 맑을 청 | 평평할 평 | 즐길 락 |
가을의 적막한 정경과 임을 향한 애상적인
심정을 표현했으며 귀뚜라미 소리가 끊기고
서풍이 불어오는 강가에서 달은 지고
갈대밭에는 기러기 한 마리 보이지 않고
홀로 깊은 수심에 잠기며 임을 그리워하는
가을밤의 쓸쓸함과 그리움을 노래한 시이다.
候 蛩 凄 断 (후공처단) :
귀뚜라미 울음소리 처량하게 끊기고
人 语 西 风 岸 (인어서풍안) :
사람들의 말소리는 서풍 부는
언덕에 들리네.
月 落 沙 平 江 似 练 (월락사평강사련) :
달은 지고 모래톱은 평평하고
강물은 비단 처럼 펼쳐져
望 尽 芦 花 无 雁 (망진노화무안) :
갈대꽃만 가득하고 기러기는 보이지 않네.
暗 敎 愁 损 兰 成 (암교수손난성) :
몰래 시름에 잠겨 난성(兰成)은 수척해지니
可 怜 夜 夜 关 情 (가령야야관정) :
밤마다 애끓는 마음 가눌 길
없으니 가련하구나.
只 有 一 枝 梧 叶 (지유일지오엽) :
오직 한 가지 오동잎만이 남아
不 知 多 少 秋 声 (부지다소추성) :
얼마나 많은 가을 소리를 내는지 알 수 없네.
候 | 蛩 | 凄 | 断 (斷) | 人 | 语 (語) | 西 | 风 (風) | 岸 |
기후 후 | 메뚜기 공 | 차가울 처 | 끊을 단 | 사람 인 | 말씀 어 | 서녘 서 | 바람 풍 | 언덕 안 |
月 | 落 | 沙 | 平 | 江 | 似 | 练 (練) | ||
달 월 | 떨어질 락 | 모래 사 | 평평할 평 | 강 강 | 같을 사 | 누일 련 | ||
望 | 尽 (盡) | 芦 (蘆) | 花 | 无 (無) | 雁 | |||
바랄 망 | 다할 진 | 갈대 로 | 꽃 화 | 없을 무 | 기러기 안 | |||
暗 | 敎 | 愁 | 损 (損) | 兰 (蘭) | 成 | |||
어두울 암 | 가르칠 교 | 근심 수 | 덜 손 | 난초 란 | 이룰 성 | |||
可 | 怜 (㦭) | 夜 | 夜 | 关 (關) | 情 | |||
옳을 가 | 영리할 영 | 밤 야 | 밤 야 | 관계할 관 | 뜻 정 | |||
只 | 有 | 一 | 枝 | 梧 | 叶 (葉) | |||
다만 지 | 있을 유 | 한 일 | 가지 지 | 오동나무오 | 잎 엽 | |||
不 | 知 | 多 | 少 | 秋 | 声 (聲) | |||
아닐 부 | 알 지 | 많을 다 | 적을 소 | 가을 추 | 소리 성 | |||
난성(兰成) | 시인의 친구 또는 연인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