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关 雎 ( 관저 ) :
물수리 우네.
아리따운 처녀를 연모하는 젊은이의 노래로
강가에서 노니는 새들의 울음소리가 봄철의
나른한 적막을 흔들고 노랑어린 연꽃을 헤쳐
이리 저리 찾아 다니며 자나 깨나 생각하는
처녀에 대한 연모의 정만 절절하며 그 처녀를
얻어 즐겁게 지내는 상상을 하지만 결국
그리움만으로 남는다.
关 (關) | 雎 | 表 | 题 (題) | 国 (國) | 风 (風) | 周 | 南 |
관계할 관 | 물수리 저 | 겉 표 | 제목 제 | 나라 국 | 바람풍 | 두루 주 | 남녘 남 |
地 | 域 | 民 | 间 (間) | 歌 | 谣 (謠) | 风 (風) | 诗 (詩) |
땅 지 | 지경 역 | 백성 민 | 사이 간 | 노래 가 | 노래 요 | 바람 풍 | 시 시 |
关 关 雎 鸠 (관관저구) :
운다 운다 물수리
在 河 之 洲 (재하지주) :
섬가에서 물수리
窈 窕 淑 女 (요조숙녀) :
아리따운 아가씨
君 子 好 逑 (군자호구) :
사나이의 좋은 짝
参 差 荇 菜 (참치행채) :
올망졸망 조아기풀
左 右 流 之 (좌우유지) :
이리저리 헤치며
窈 窕 淑 女 (요조숙녀) :
아리따운 아가씨
寤 寐 求 之 (오매구지) :
자나 깨나 그리네.
求 之 不 得 (구지부득) :
그리워도 못 이룰
寤 寐 思 服 (오매사복) :
자나 깨나 그 생각
悠 哉 悠 哉 (유재유재) :
가이없는 그리움에
辗 转 反 测 (전전반측) :
잠 못 들어 뒤척이네.
参 差 荇 菜 (참치행채) :
올망졸망 조아기풀
左 右 采 之 (좌우채지) :
이리저리 뜯으며
窈 窕 淑 女 (요조숙녀) :
아리따운 아가씨
琴 瑟 友 之 (금슬우지) :
금슬 좋게 사귀고파
参 差 荇 菜 (참치행채) :
올망졸망 마름풀
左 右 芼 之 (좌우모지) :
이리저리 고르고
窈 窕 淑 女 (요조숙녀) :
아리따운 아가씨
钟 鼓 乐 之 (종고낙지) :
북을 치며 즐기리.
关 (關) | 关 (關) | 雎 | 鸠 (鳩) | 在 | 河 | 之 | 洲 |
관계할 관 | 관계할 관 | 물수리 저 | 비둘기 구 | 있을 재 | 물 하 | 갈 지 | 섬 주 |
窈 | 窕 | 淑 | 女 | 君 | 子 | 好 | 逑 |
고요할 요 | 으늑할 조 | 맑을 숙 | 여자 녀 | 임금 군 | 아들 자 | 좋을 호 | 짝 구 |
参 (參) | 差 | 荇 | 菜 | 左 | 右 | 流 | 之 |
참여할 참 | 매길 치 | 마름 행 | 나물 채 | 왼 좌 | 오른쪽 우 | 흐를 류 | 갈 지 |
窈 | 窕 | 淑 | 女 | 寤 | 寐 | 求 | 之 |
고요할 요 | 으늑할 조 | 맑을 숙 | 여자 녀 | 잠 깰 오 | 잠 잘 매 | 구할 구 | 갈 지 |
求 | 之 | 不 | 得 | 寐 | 寐 | 思 | 服 |
구할 구 | 갈 지 | 아닐 부 | 얻을 득 | 잠 깰 오 | 잠 잘 매 | 생각할 사 | 옷 복 |
悠 | 哉 | 悠 | 哉 | 辗 (輾) | 转 (轉) | 反 | 侧 (側) |
멀 유 | 어조사 재 | 멀 유 | 어조사 재 | 돌아누울 전 | 구를 전 | 되돌릴 반 | 곁 측 |
参 (參) | 差 | 荇 | 菜 | 左 | 右 | 采 | 之 |
참여할 참 | 매길 치 | 마름 행 | 나물 채 | 왼 좌 | 오른쪽 우 | 캘 채 | 갈 지 |
窈 | 窕 | 淑 | 女 | 琴 | 瑟 | 友 | 之 |
고요할 요 | 으늑할 조 | 맑을 숙 | 여자 녀 | 거문고 금 | 거문고 슬 | 벗 우 | 갈 지 |
参 (參) | 差 | 荇 | 菜 | 左 | 右 | 芼 | 之 |
참여할 참 | 매길 치 | 마름 행 | 나물 채 | 왼 좌 | 오른쪽 우 | 우거질 모 | 갈 지 |
窈 | 窕 | 淑 | 女 | 钟 (鐘) | 鼓 | 乐 (樂) | 之 |
고요할 요 | 으늑할 조 | 맑을 숙 | 여자 녀 | 쇠 북 종 | 북 고 | 노래 악 | 갈 지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