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try-content a, .post-header h1 em, .comments h2 .count { color: #000000 } .comment-form .submit button:hover, .comment-form .submit button:focus { background-color: #000000 }
본문 바로가기
  • Knock247127 은설(銀雪)
한시(汉诗)

高麗末期至朝鮮初期 時代 文章家 李詹的 雙梅花(고려말기에서 조선초기 시대 문장가 이첨의 쌍매화) : 하나의 화분에 두 개의 매화향이 있다.

by 銀雪(은설) 2024. 9. 9.
728x90
반응형

雙 梅 花  (쌍매화)  :

두 그루 매화나무 (쌍으로 핀 매화꽃)

 

화분에 담긴 두 그루의 매화에서 시작하여

봄의 풍경 속에 그 아름다움의 여정을 표현한

것으로 화분 속의 향기는 은은하게 퍼지고 따뜻한

햇살과 부드러운 바람은 봄의 평화를 가져오 듯

넓고 아득한 자연 속에 숨겨진 봄의 참모습을 찾기

위해 여기저기를 찾아다니는 모습을 표현했다.

 

높을 고 고울 려 끝 말 기약할 기 이를 지 아침 조 고울 선 처음 초 기약할 기 때 시
대신할 대 글월 문 글 장 집 가 오얏 리 이를 첨 과녁 적 두 상 매화 매 꽃 화

 

雙 梅 香 約 一 盆 栽 (쌍매향약일분재) :

겹매화의 향기 그윽한 화분 하나 놓여 있고

 

梅花暖日柳輕風(매화난일유경풍) :

매화는 따뜻한 햇살 아래 매화는 피어나고

버들가지는 가벼운 바람에 흔들리네.

 

春意潛藏浩蕩中(춘의잠장호탕중) :

봄의 기운은 넓고 넓은 기운 속에

은밀히 숨어들어

 

欲識東君眞面目(욕식동군진면목) :

봄의 신(東君)의 참모습 알고자 한다면

 

遍尋山北又溪東 (편심산북우계동) :

산의 북쪽과 시냇물의 동쪽을 두루 찾아보게.

 

雙 (双) 約(约)
둘 쌍 매화나무 매 향기 향 맺을 약 한 일 동이 분 심을 재
輕 (轻) 風 (风)
매화나무 매 꽃 화 따뜻할 난 날 일 버들 유 가벼울 경 바람 풍
潛 (潜) 蕩 (荡)
봄 춘 뜻 의   감출 장 클 호 방탕할 탕 가운데 중
眞 (真)
바랄 욕 알 식 동녘  동 임금 군 참 진 낯 면 눈 목
尋 (寻)
두루 편 찾을 심 메 산 북녘 북 또 우 시내 게 동녘 동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