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雙 梅 花 (쌍매화) :
두 그루 매화나무 (쌍으로 핀 매화꽃)
화분에 담긴 두 그루의 매화에서 시작하여
봄의 풍경 속에 그 아름다움의 여정을 표현한
것으로 화분 속의 향기는 은은하게 퍼지고 따뜻한
햇살과 부드러운 바람은 봄의 평화를 가져오 듯
넓고 아득한 자연 속에 숨겨진 봄의 참모습을 찾기
위해 여기저기를 찾아다니는 모습을 표현했다.
高 | 麗 | 末 | 期 | 至 | 朝 | 鮮 | 初 | 期 | 時 |
높을 고 | 고울 려 | 끝 말 | 기약할 기 | 이를 지 | 아침 조 | 고울 선 | 처음 초 | 기약할 기 | 때 시 |
代 | 文 | 章 | 家 | 李 | 詹 | 的 | 雙 | 梅 | 花 |
대신할 대 | 글월 문 | 글 장 | 집 가 | 오얏 리 | 이를 첨 | 과녁 적 | 두 상 | 매화 매 | 꽃 화 |
雙 梅 香 約 一 盆 栽 (쌍매향약일분재) :
겹매화의 향기 그윽한 화분 하나 놓여 있고
梅花暖日柳輕風(매화난일유경풍) :
매화는 따뜻한 햇살 아래 매화는 피어나고
버들가지는 가벼운 바람에 흔들리네.
春意潛藏浩蕩中(춘의잠장호탕중) :
봄의 기운은 넓고 넓은 기운 속에
은밀히 숨어들어
欲識東君眞面目(욕식동군진면목) :
봄의 신(東君)의 참모습 알고자 한다면
遍尋山北又溪東 (편심산북우계동) :
산의 북쪽과 시냇물의 동쪽을 두루 찾아보게.
雙 (双) | 梅 | 香 | 約(约) | 一 | 盆 | 栽 |
둘 쌍 | 매화나무 매 | 향기 향 | 맺을 약 | 한 일 | 동이 분 | 심을 재 |
梅 | 花 | 暖 | 日 | 柳 | 輕 (轻) | 風 (风) |
매화나무 매 | 꽃 화 | 따뜻할 난 | 날 일 | 버들 유 | 가벼울 경 | 바람 풍 |
春 | 意 | 潛 (潜) | 藏 | 浩 | 蕩 (荡) | 中 |
봄 춘 | 뜻 의 | 감출 장 | 클 호 | 방탕할 탕 | 가운데 중 | |
欲 | 識 | 東 | 君 | 眞 (真) | 面 | 目 |
바랄 욕 | 알 식 | 동녘 동 | 임금 군 | 참 진 | 낯 면 | 눈 목 |
遍 | 尋 (寻) | 山 | 北 | 又 | 溪 | 東 |
두루 편 | 찾을 심 | 메 산 | 북녘 북 | 또 우 | 시내 게 | 동녘 동 |
728x90
반응형
'한시(汉诗)'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画堂春(화당춘)그림 같은 아름다운 집에 봄은 왔건만 (1) | 2024.09.14 |
---|---|
中國 唐朝時代 詩人 李商隱的 嫦娥(중국 당나라 시대 시인 이상은의 항아) : 달에 산다는 여신. (0) | 2024.09.09 |
中國 宋朝時代 詩人 歐陽脩的 木兰花令(중국 송나라 시대 시인 구양수의 목란화령) : 이별의 시를 친구에게 편지를 보내는 글. (1) | 2024.09.08 |
中國 宋朝時代 詩人 寇準的 相思曲(중국 송나라 시대 시인 구준의 상사곡) : 생이별한 남녀의 애절한 마음을 전하는 편지 글. (1) | 2024.09.07 |
中國 淸朝時代 詩人 納蘭性德的 蝶戀花(중국 청나라 시대 시인 납란성덕의 접연화) 나비는 꽃을 그리워하고. (3) | 2024.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