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除 夜 作( 제야작) :
섣달 그믐밤에 짓다.
盛 | 唐 | 时 ( 時 ) | 代 | 诗 ( 詩 ) | 人 |
성할 성 | 당나라 당 | 때 시 | 대신할 대 | 시 시 | 사람 인 |
高 | 适 ( 適 ) | 的 | 除 | 夜 | 作 |
높을 고 | 맞을 적 | 과녁 적 | 덜 제 | 밤 야 | 지을 작 |
섣달 그믐날 밤 타향에서 등불 아래 홀로
앉아 있노라니 나그네 심정이 이토록
처량할까? 천 리 고향 밖 친지들은 어떻게
지내고 있을까? 내일 아침이면 새해인데
나이 한 살 더 먹으며 백발로 변해가는
자신을 바라보며 여관에서 새해을 맞는
허전함과 애달픈 심정을 표현했다.
旅 馆 寒 灯 独 不 眠 ( 여관한등독불면 ) :
여관에서 차갑게 느껴지는 등불 밑에
홀로 앉아 있노라니
客 心 何 事 转 凄 然 ? ( 객심하사전처연 ? ) :
나그네 심정 어이해 이토록 처량해 지는가?
故 乡 今 夜 思 千 里 ( 고향금야사천리 ) :
고향은 오늘밤 따라 천 리 밖으로 멀기만 하고
霜 鬓 明 朝 又 一 年 ( 상빈명조우일년 ) :
서리 내린 이 밤 지나면 내일은 새해인데
나이 한 살 더 먹고는 흰 머리카락도 점점
늘어가겠지.
旅 | 馆 ( 館 ) | 寒 | 灯 ( 燈 ) | 独 ( 獨 ) | 不 | 眠 |
나그네 려 | 집 관 | 찰 한 | 등잔 등 | 홀로 독 | 아닐 불 | 잘 면 |
客 | 心 | 何 | 事 | 转 ( 轉 ) | 凄 | 然 |
손 객 | 마음 심 | 어찌 하 | 일 사 | 구를 전 | 차가울 처 | 그러할 연 |
故 | 乡 ( 鄕 ) | 今 | 夜 | 思 | 千 | 里 |
연고 고 | 시골 향 | 이제 금 | 밤 야 | 생각할 사 | 일천 천 | 마을 리 |
霜 | 鬓 | 明 | 朝 | 又 | 一 | 年 |
서리 상 | 살쩍 빈 | 밝을 명 | 아침 조 | 또 우 | 한 일 | 해 년 |
반응형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唐代诗人 缪氏子的 赋新月(당대시인 무씨자의 부신월) : 초승달의 꿈을 노래하다. (0) | 2024.12.04 |
---|---|
唐代诗人 杜甫的 赠花卿(당대시인 두보의 증화경) : 화경(花卿)에게 보내다. (0) | 2024.12.03 |
唐代诗人 杜甫的 江南逢李龟年(당대시인 두보의 강남봉이구년) : 강남에서 이구년(李龟年)을 만나다. (1) | 2024.12.02 |
唐代诗人 兼 文学家 李白(李太白)的 淸平调(당대시인 겸 문학가 이백(이태백)의 청평조) : 양귀비의 아름다움을 칭송하는 즉석 세 번째 시 (1) | 2024.11.30 |
元代现代作家 无名氏的 词牌 梧叶儿 · 曲调名 嘲谎人(원대시대 현대작가 무명씨의 사패 오엽아 · 곡조명 : 조황인 ) : 거짓말 쟁이를 조롱합니다. (2) | 2024.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