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赠 别(증별) : 헤어질 즈음에
一 首 次( 일 수차 : 첫 번째 )
양주(揚州)에서 수도인 장안(長安)으로
돌아갈 때 알고 지내던 기생에게 건네준 것으로
그녀의 나이가 어리고 용모가 아름다움을
꽃봉오리를 머금고 아직 피지 않은
두구화(豆䓻花)에 비유하며 찬미하였다.
이월초(二月初)는 두구(豆䓻)가 꽃봉오리인
상태로 아직 꽃을 피우기 전인데 옛날에는
이것으로 성년이 못 된 여자아이를 비유하여
열서너 살의 여자를 두구년화(豆䓻年華)라고 불렀다.
唐 | 代 | 末 | 期 | 文 | 章 | 家 | 兼 | 诗 ( 詩 ) | 人 |
당나라 당 | 대신할 대 | 끝 말 | 기약할 기 | 글월 문 | 글 장 | 집 가 | 겸할 겸 | 시 시 | 사람 인 |
杜 | 牧 | 的 | 赠 ( 贈 ) | 别 | 揚 | 州 | 豆 | 䓻 | 花 |
막을 두 | 칠 목 | 과녁 적 | 더할 증 | 나눌 별 | 날릴 양 | 고을 주 | 콩 두 | 육두구 구 | 꽃 화 |
娉 娉 嫋 嫋 十 三 余 ( 빙빙뇨뇨십삼여 ) :
예쁘고 가녀린 열 서 너 살 그대
豆 䓻 梢 头 二 月 初 ( 두구초두이월초 ) :
이 월 초 가지 끝의 두구화(豆䓻花) 같구나.
春 风 十 里 扬 州 路 ( 춘풍십리양주로 ) :
봄바람 불어 오는 양주(揚州)의 십릿길에
卷 上 珠 帘 总 不 如 ( 권상주렴총부여 ) :
주렴 걷고 보아도 모두 너만 못하구나.
娉 | 娉 | 嫋 | 嫋 | 十 | 三 | 余 ( 餘 ) |
장가들 빙 | 장가들 빙 | 예쁠 뇨 | 예쁠 뇨 | 열 십 | 석 삼 | 남을 여 |
豆 | 䓻 | 梢 | 头 ( 頭 ) | 二 | 月 | 初 |
콩 두 | 육두구 구 | 나무끝 초 | 머리 두 | 두 이 | 달 월 | 처음 초 |
春 | 风 ( 風 ) | 十 | 里 | 扬 ( 揚 ) | 州 | 路 |
봄 춘 | 바람 풍 | 열 십 | 마을 리 | 날릴 양 | 고을 주 | 길 로 |
卷 | 上 | 珠 | 帘 ( 簾 ) | 总 ( 總 ) | 不 | 如 |
문서 권 | 윗 상 | 구슬 주 | 발 렴 | 합할 총 | 아닐 부 | 같을 여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