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菊 花 (국화) :
국화
장안에 있을 때 울타리를 돌아보니 국화를 좋아하는
도연명(陶渊明)의 집 같은 느낌이 들어 국화 구경을
하느라 하루를 보내지만 국화가 지고 나면 꽃구경을
하기 힘들다는 생각과 벼슬 내던지고 시름을 잊으며
살고 싶은 마음을 표현한 시이다.
中 | 国 (國) | 诗 (詩) | 人 | 文 | 学 (學) | 家 | 兼 | 代 |
가운데 중 | 나라 국 | 시 시 | 사람 인 | 글월 문 | 배울 학 | 집 가 | 겸할 겸 | 대신할 대 |
臣 | 元 | 稹 | 的 | 菊 | 花 | 陶 | 渊 (淵) | 明 |
신하 신 | 으뜸 원 | 빽빽할 진 | 과녁 적 | 국화 국 | 꽃 화舍 | 질그릇 도 | 못 연 | 밝을 명 |
秋 丛 绕 舍 似 陶 家 (추총요사사도가) :
무성한 국화가 집을 둘러싸니
도연명의 집 같아
遍 绕 篱 边 日 渐 斜 (편요리변일점사) :
둘러 쌓인 울타리 따라 둘러보니
해가 차츰 기우는데
不 是 花 中 偏 爱 菊 (불시화중편애국) :
꽃 중에서 국화 하나만을 특별히
좋아 하는게 아니라
此 花 开 尽 更 无 花 (차화개진갱무화) :
이 꽃이 다 피고 나면 다시 필 꽃이
없기 때문이라네.
秋 | 丛 | 绕 (繞) | 舍 | 似 | 陶 | 家 |
가을 추 | 떨기 총 | 두를 요 | 집 사 | 같을 사 | 질그릇 도 | 집 가 |
遍 | 绕 (繞) | 篱 (籬) | 边 (邊) | 日 | 渐 (漸) | 斜 |
두루 편 | 두를 요 | 울타리 리 | 가 변 | 날 일 | 점질할 점 | 비낄 사 |
不 | 是 | 花 | 中 | 偏 | 爱 (愛) | 菊 |
아닐 불 | 바를 시 | 꽃 화 | 가운데 중 | 치우칠 편 | 사랑 애 | 국화 국 |
此 | 花 | 开 (開) | 尽 (盡) | 更 | 无 (無) | 花 |
이를 차 | 꽃 화 | 열 개 | 다할 진 | 다시 갱 | 없을 무 | 꽃 화 |
도국(陶家) | 도연명의 집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