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普天乐 (보천락) :
가을강을 보며 이별의 추억을 기억하다.
中 | 国 (國) | 元 | 朝 | 时 (時) | 代 | 文 |
가운데 중 | 나라 국 | 으뜸 원 | 아침 조 | 때 시 | 대신할 대 | 글월 문 |
人 | 赵 (趙) | 善 | 庆 (慶) | 普 | 天 | 乐 (樂) |
사람 인 | 나라 이름 조 | 착할 선 | 경사 경 | 넓을 보 | 하늘 천 | 즐길 락 |
해 질 녘의 가을 하늘의 산 중턱에는 해가 지니
날아가는 기러기의 외로운 그림자는 지는 해에
반사되고 서풍에 눈물이 흘러 옷이 젖었던 기억과
가을 강가를 거닐며 옛 이별을 생각하며 쓴 작품이다.
晩 天 长 (만천장) :
저녁 하늘은 길고
秋 水 苍 (추수창) :
가을의 강물은 푸르기만 하네.
山 腰 落 日 (산요락일) :
해는 산기슭에 지고
雁 背 斜 阳 (안배사양) :
기러기 뒤로는 저문해가 기우네.
璧 月 词 (벽월사) :
달빛에서 주옥같은 이야기와
朱 唇 唱 (주순창) :
붉은 입술이 향기롭게 노래하네.
犹 记 当 年 兰 舟 上 (유기당년난주상) :
더욱이 조각배를 탔을 때 지난 일의
생생한 기억에는
洒 西 风 泪 湿 罗 裳 (쇄서풍루습나상) :
서풍에 눈물을 흘려 비단 치마가 젖었었지.
釵 分 凤 凰 (채분봉황) :
비녀는 봉황으로 나뉘고
杯 斟 鹦 鹉 (배짐앵무) :
앵무새 모양의 술잔에 술을 채웠지만
人 拆 鸳 鸯 (인탁원앙) :
그러나 우리는 다정한 한 쌍의
원앙에서 둘로 나뉘었지.
晩 | 天 | 长 (長) | 秋 | 水 | 苍 (蒼) | ||
저물 만 | 하늘 천 | 길 장 | 가을 추 | 물 수 | 푸를 창 | ||
山 | 腰 | 落 | 日 | 雁 | 背 | 斜 | 阳 (陽) |
메 산 | 허리 요 | 떨어질 락 | 날 일 | 기러기 안 | 등 배 | 바낄 사 | 볕 양 |
璧 | 月 | 词 (詞) | 朱 | 唇 | 唱 | ||
구슬 벽 | 달 월 | 말씀 사 | 붉을 주 | 입술 순 | 노래할 창 | ||
犹 (猶) | 记 (記) | 当 (當) | 年 | 兰 (蘭) | 舟 | 上 | |
오히려 유 | 기록할 기 | 마땅할 당 | 해 년 | 난초 란 | 배 주 | 윗 상 | |
洒 | 西 | 风 (風) | 泪 (淚) | 湿 (濕) | 罗 (羅) | 裳 | |
뿌릴 쇄 | 서녘 서 | 바람 풍 | 눈물 루 | 젖을 습 | 그물 라 | 치마 상 | |
钗 (釵) | 分 | 凤 (鳳) | 凰 | 杯 (盃) | 斟 | 鹦 (鸚) | 鹉 (鵡) |
비녀 채 | 나눌 분 | 봉새 봉 | 봉황 황 | 잔 배 | 짐작할 짐 | 앵무새 앵 | 앵무새 무 |
人 | 拆 | 鸳 (鴛) | 鸯 (鴦) | ||||
사람 인 | 터질 탁 | 원앙 원 | 원앙 앙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