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어(论语)

论语 : 子曰 何以報德고 以直報怨이요 以德報德이니라(논어 : 자왈 하이보덕고 이직보원이요 이덕보덕이니라) : 무엇으로 은덕을 갚겠는가. 정직으로 원한을 갚고 은덕은 덕으로 갚는 것이다.

by 무지개색 빨주노초파남보 2025. 3. 31.

 

子 曰 (자왈) :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何 以 報 德 고 (하이보덕)고

무엇으로 은덕을 갚겠는가.

 

以 直 報 怨이요 ( 이직보원)이요

정직으로 원한을 갚고

 

以 德 報 德 이니라(이덕보덕)이니라 :

은덕은 덕으로 갚는 것이다.

 

论 ( 論 ) 语 ( 語 ) 報 ( 报 )
논할 론 말씀 어 아들 자 가로 왈 어찌 하 써 이 갚을 보 클 덕
報 ( 报 ) 報 ( 报 )
써 이 곧을 직 갚을 보 원망할 원 써 이 클 덕 갚을 보 클 덕
하이(何以) 무엇으로 이직(以直) 바름으로 이덕(以德) 덕으로    
보덕(報德) 덕을 갚는가 보원(報怨) 원한을 갚고 보덕(報德) 덕으로 갚는다.  

 

 

덕에는 무엇으로 갚겠는가.

곧은 정직함으로써 원한을 갚고

덕으로써 덕을 갚는 것이다.

 

어떤 사람이 " 원한에는 덕으로 갚으라고

말하고 있지만 어떻습니까? " 하고 잘문한데

대한 공자의 답변이다.

노자는 " 보원이덕(報怨以德 : 원한을 덕으로 갚는다) "

이라는 유명한 말을 했지만 공자의 " 이직보원(以直報怨) "

이란 말이 한 수 위라고 볼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