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공자의 논어(孔子的 论语)

论语 : 孔子曰 有三畏하니 畏天命하고 畏大人하며 畏聖人之言이니라(논어 : 공자왈 유삼외하니 외천명하고 외대인하며 외성인지언이니라) : 군자에게는 세가지 두려움이 있다. 孔 子 曰 (공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有 三 畏 하니 (유삼외)하니 :세가지 두려움이 있다. 畏 天 命 하고 (외천명)하고 :천명을 두려워하고 畏 大 人 하며 (외대인)하며대인을 두려워하고 畏 聖 人 之 言 이니라(외성인지언)이니라 :성인의 말씀을 두려워한다. 군자에게는 세가지 두려움이 있다.천명을 두려워하고 훌륭한 사람을 두려워하고성인의 말씀을 두려워한다. 子曰君子有天命 아들자가로 왈임금 군아들 자있을 유하늘 천목숨 명 畏大人畏聖人之言두려워할 외큰 대사람 인두려워할 외성인 성사람 인갈 지말씀 언공자왈(孔子曰)공자께서 말씀하시길유삼외(有三畏)세가지 두려움이 있다.외천명(畏天命)천명을 두려워하고 외대인(畏大人) 대인을 두려워하고외성인지언(畏聖人之言)성인의 말씀을 두려워한다. 공자는 이렇게 .. 더보기
论语 : 子曰 人而無信이면 不知其可也라(논어 : 자왈 인이무신이면 부지기가야라) : 사람으로서 신의가 없다면 무엇에 쓸 것인가. 子 曰 (자왈)공자께서 말씀하시길 人 而 無 信 이면 (인이무신)이면사람으로서 신의가 없다면 不 知 其 可 也 라 (부지기가야)라 :무엇에 쓸 것인가. 论 (論)语 (語)子曰人而無 (无)논의할 론말씀 어아들 자가로 왈사람 인말이을 이없을 무信不知其可也 믿을 신아닐 부알 지그 기옳을 가어조사 야 사람이 믿음을 주지 못하면 그것이 옳은지알지 못한다. 사람의 말에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믿음이 없으면 인간관계도 사회도 구성될 수 없다.그러므로 믿음이 없는 인간은 아무 데도 쓸모가없으며 평가할 가치조차 없다는 말이다. 大 車 無 輗하고 小 車 無 軏이면 其 何 以 行 之 哉리오(대차무채하고 소차무채이면 기하이행지재)리오 大 車 無 輗 하고 (대차무채)하고큰 수레에 끌채가 없고 小 車 無 軏 이면 (소차무채.. 더보기
论语 : 子曰 攻其惡하고 無攻人之惡이면 非修慝與니라(논어 : 자왈 공기악하고 무공인지악이면 비수특여니라) : 다른 사람의 나쁜 점을 공격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나쁜 점을 공격하는 것이 사특함을 바로잡는 일이 아니겠느냐? 子 曰 ( 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攻 其 惡 (공기악)하고 :다른 사람의 악함을 공격하는 것이 아니라 無 攻 人 之 惡 (무공인지악)이면 :자신의 악함을 공격하는 것이 非 修 慝 與(비수특여) 니라 : 악을 바로잡는 일이 아니겠느냐? 자신의 나쁜 점을 다스리고 남의 나쁜 점을 책망하지 않는다면 이것이 사악을 다스리는일이 아니겠는가. 论 ( 論 )语 ( 語 )子曰攻其惡 ( 恶 )無 ( 无 )논의할 론말씀 어아들 자가로 왈칠 공그 기악할 악없을 무攻人之惡 ( 恶 )非修慝與 ( 与 )칠 공사람 인갈 지 악할 악아닐 비닦을 수사특할 특더불 여자왈(子曰)공자께서 말씀하시길공기악(攻其惡)자기 악(나쁜 점)을 공격하고무공인지악(無攻人之惡)남을 악(나쁜 점)을 공격하는 일이 없는 것이 樊遲 ( 迟 )비수특여(非.. 더보기
论语 : 百姓이 足이면 君孰與不足이며 百姓이 不足이면 君孰與足이니라(논어 : 백성이 족이면 군숙여부족이며 백성이 부족이면 군숙여족아니라) : 백성이 풍족하면 어느 임금이 부족하겠으며 백성이 부족하면 어느 임금이 풍족하겠는가. 百 姓 足 이면 (백성족)이면 :백성이 풍족하면 君 孰 與 不 足 이며 (군숙여부족)이며 어느 임금이 부족하겠으며 百 姓 不 足 이면 (백성부족)이면 :백성이 부족하면 君 孰 與 足 이니라 (군숙여족)이니라 :어느 임금이 풍족하겠는가. 백성이 풍족하면 어는 임금이 풍족하지 아니하겠는가. 백성이 풍족하지 못하면어느 임금이 풍족하겠는가. 论 (論)语 (語)百姓足君孰與 (与)不논의할 론말씀 어일백 백성씨 성발 족임금 군누구 숙더불 여아닐 부足百姓不足君孰與 (与)足발 족일백 백성씨 성아닐 부발 족임금 군누구 수더불 여발 족백성족(百姓足)백성이 풍족하면군숙여(君孰與)임금이 누구와 더불어 부족(不足)풍족하지 아니하며백성부족(百姓不足)백성이 부족하지 아니하면 군숙여족(君孰與足)임금이 누구와 더불어 풍족하겠는가.. 더보기
论语 : 憲이 問恥한대 子曰 邦有道에 穀하며 邦無道에 穀이 恥也니라(논어 : 헌이 문치한대 자왈 방유도에 곡하며 방무도에 곡이 치야니라) : 헌이 부끄러움에 대해 묻자 공자가 말했다. 憲 이 (헌)이 :헌이 問 恥 한대 (문치)한대 :부끄러움에 대해 묻자 子 曰 (자왈) :공자가 말했다. 邦 有 道 에 (방유도)에 :나라에 도가 행해지고 있을 때는 穀 하며 (곡)하며 : 녹봉만 받고 邦 無 道 에 (방무도)에 ;나라에 도가 없을 때는 떠나지 못하고 穀 이 (곡)이 :녹봉을 받는 것은 恥 也 니라 (치야)니라 :부끄러운 것이다. 제자인 헌(憲)이 부끄러움에 대하여 물었다.공자는 나라에 도가 행해지고 있다면녹을 받아도 좋지만 도가 행해지지 않는 나라에서녹을 받음은 부끄러운 일이다. 즉, 나라에 도가 있을 때는 벼슬을 하고나라에 도가 없을 때는 벼슬을 하는 것이 부끄러운 것이다. 论 (論)语 (語)憲 (宪)問 (问)恥子曰邦有논의할 론말씀 어법 헌물을 문부끄러울치아들 자가로 왈나라 방있을 .. 더보기
论语 : 子曰 君子는 和而不同하고 小人同而不和니라(논어 : 자왈 군자는 화이부동하고 소인동이불화니라) : 군자는 서로 어울리되 패거리를 짓지 않고 소인은 패거리를 짓되 서로 화합하지 않는다. 子 曰 (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君 子 는 (군자)는 : 군자는 和 而 不 同 하고 ( 화이부동 )하고 :조화롭게 어울리지만 아부하지 않고 小 人 同 而 不 和 니라 ( 소인동이불화 )니라 :소인은 아부하지만 어울리지 못한다. 군자는 사람들과 화합하지만 뇌동(雷同)하지는 않는다.소인은 뇌동하지만 화합하지는 않는다. 论 (論)语 (語)子曰君子和而논의할 론말씀 어아들 자가로 왈임금 군아들 자화할 화말이을 이不同小人同而不和아닐 부한가지 동작을 소사람 인한가지 동말이을 이아닐 불화할 화 이해 관계에 연연하지 않는 것이 화이부동(和而不同)이고실리(實利)에 연연하는 것이 동이불화(同而不和)이다. 화(和)란 서로 화합해서 사이가 좋아지는 것.그러나 동(同)과 틀리다.우뢰소리가 나면 만물이 동시에 여기에 응하.. 더보기
论语 : 子曰 苟正其身矣면 於從政乎何有며 不能正其身이면 如正人何오(논어 : 자왈 구정기신의면 어종정호하유며 불능정기신이면 여정인하오) : 남을 바르게 하려면 자기를 바르게 하라. 子 曰 (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苟正其身矣면 (구정기신의) :진실로 자신을 바르게 할 수 있다면 於 從 政 乎 何 有 며 (어종정호하유)며 :정치에 종사하는 것이 무슨 문제이겠느냐? 不 能 正 其 身 이면 (불능정기신)이면 :자기 자신을 바르게 할 수 없다면 如 正 人 何 오 (여정인하)오 :어떻게 다른 사람을 바르게 할 수 있겠느냐? 공자가 말하기를 "진실로 위정하는 자가가그 자신을 바르게 한다면 위정하는데 무슨어려움이 있으며 그 자신을 바르게 하지 못한다면어떻게 남을 바르게할 수 있으리오." 子曰苟正其身矣 아들 자가로 왈진실로 구바를 정그 기몸 신어조사 의 於從 (从)政乎何有 어조사 어좇을 종정사 정어조사 호어찌 하있을 유 不能正其身 아닐 불능할 능바를 정그 기몸 신 如正人何 .. 더보기
论语 : 齊景公問政於孔子 孔子對曰 君君 臣臣 父父 子子( 제경공문정어공자 공자대왈 군군 신신 부부 자자) :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다우며 어버이는 어버이답고 자식은 자식다워야한다. 齊 景 公 問 政 於 孔 子 (제경공문정어공자) :제경공이 공자에게 정치를 물으니 孔 子 對 曰 (공자대왈) :공자께서 대답하기를 君 君 臣 臣 父 父 子 子 (군군 신신 부부 자자)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다우며 어버이는 어버이답고 자식은 자식다워야한다. 齊 (齐) 景公問 (问)政於孔子가지런할 제볕 경공평할 공물을 문정사 정어조사 어구멍 공아들 자孔子對 (对)曰君君臣臣구멍 공아들 자대할 대가로 왈임금 군임금 군신하 신신하 신父父子子공자대왈(孔子對曰)공자께서 대답하셨다.아버지 부아버지 부아들 자아들 자군군(君君)임금은 임금 답고제경공(齊景公)제 나라 경공이신신(臣臣)신하는 신하답고정어(政於)정치에 대해 물었다.부부(父父)부모는 부모답고공자(孔子)공자에게자자(子子)자식은 자식다워야 한다. 제나라의 ..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