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孔 子 曰 (공자왈) :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暴 虎 憑 河 하여 (포호빙하)하여 :
맨 주먹으로 호랑이를 잡고
맨발로 강을 건너며
死 而 無 悔 를 (사이무회)를 :
죽어도 뉘우침이 없는 사람이라면
吾 不 與 也 니 (오불여야)니 :
나는 함께하지 않겠다.
必 也 臨 事 而 懼 하며 (필야임사이구)하며 :
반드시 일에 임하여 두려워하며
치밀한 계획을 세워서
好 謀 而 成 이니라 (호모이성)이니라 :
성취하는 사람이라야 함께 하겠다.
맨 손으로 호랑이를 잡고 배 없이 큰 강을 건너는
무모함과 죽음을 가볍게 여겨 후회하지도 않는
만용을 부리는 사람과 함께 하지 않으리라.
论 (論) | 语 (語) | 孔 | 子 | 曰 | 暴 | 虎 | 憑 (凭) | 河 | 死 |
논할 론 | 말씀 어 | 구멍 공 | 아들 자 | 가로 왈 | 사나울 포 | 범 호 | 기댈 빙 | 물 하 | 죽을 사 |
而 | 無 (无) | 悔 | 者 | 吾 | 不 | 與 (与) | 也 | 必 | 也 |
말이을 이 | 없을 무 | 뉘우칠 회 | 놈 자 | 나 오 | 아닐 불 | 더불 여 | 어조사 야 | 반드시 필 | 어조사 야 |
臨 (临) | 事 | 而 | 懼 | 好 | 謀 (谋) | 而 | 成 | 者 | 也 |
임할 임 | 일 사 | 말이을 이 | 두려워할 구 | 좋을 호 | 꾀할 모 | 말이을 이 | 이룰 성 | 놈 자 | 어조사 야 |
폭호(暴虎) | 호랑이를 때려잡고 | 빙하(憑河) | 황하를 건너려고 하며 | 사이(死而) | 죽어도 | ||||
무회자(無悔者) | 후회가 없는 사람이라면 | 오(吾) | 나는 | 불여야(不與也) | 함께하지 않는다 | ||||
필야(必也) | 반드시 해야 한다면 | 임사이(臨事而) | 일을 당해서 | 구(懼) | 두려워하고 | ||||
호모이(好謀而) | 계획 세우기를 좋아하고 | 성자야(成者也) | 「일을」이루는 사람일 것이다 |
맨손으로 호랑이를 잡고 맨 몸으로 강을 건너고자
한다면 죽어도 후회함이 없는 자를 함께 하지 않겠다.
반드시 일에 임에 두려워하며 꾀하기를 좋아해
성취하는 자와 함께 할 것이니라.
공자가 자로의 용맹을 자제하라고 충고한 말로써
공자가 안회에서 "등용이 되면 적극적으로 나아가
행동하고 버려지면 물러나서 들어앉는다고 한 말은
자네와 나 정도가 아닐까?"라고 말하자 자로가
"대군을 통솔하신다면 누구와 같이 하겠습니까?"
라고 질문을 하자 그에 대한 답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