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水仙子 (수선자) :
맑고 깨끗한 아름다움을 노래하다
《물의 요정, 물의 여신》
산곡(散曲) : 중국 원나라 때 대중적인(유행한)
일종의 가사 문학 형식.
中 | 国 (國) | 元 | 朝 | 时 (時) | 代 |
가운데 중 | 나라 국 | 으뜸 원 | 아침 조 | 때 시 | 대신할 대 |
散 | 曲 | 水 | 仙 | 子 | |
흩을 산 | 굽을 곡 | 물 수 | 신선 선 | 아들 자 |
수선자(水仙子)은 중국 원나라 시대에
유명했던 산곡(散曲)의 곡패(曲牌) 중 하나로
산곡(散曲)이란 대중적인 가사의 형식이며
쌍조(双调)는 중국 전통 음악의 곡조 중 하나
곡패(曲牌)는 일종의 노래 제목이자 형식을
말하며 중국의 옛 가곡의 제목이기도 하다.
자유로운 삶을 추구하지만 결국에는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되는 인간의 운명을 표현한
것으로 자신의 삶을 실에 비유하며 처음에는
자신의 손으로 삶을 마음껏 조종할 수 있다고
생각했으나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삶은 예측할
수 없는 방향으로 흘러가고 결국은 통제를 잃게
되며 삶의 덧없음과 인간의 무력함을 담고 있다.
丝 纶 长 线 寄 生 涯 (사륜장선기생애) :
실은 꼬아 만든 긴 명주실에 인생을 맡기고
纵 放 由 咱 手 内 把 (종방유잠수내파) :
내 손 안에서 마음껏 풀어놓았네.
纸 糊 披 就 里 没 牵 挂 (지호피취리몰견괘) :
종이로 만든 옷을 걸치고 아무런 걱정 없이
被 狂 风 一 任 刮 (피광풍일임괄) :
거친 바람에 그저 내맡겼네.
线 断 在 海 角 天 涯 (선단재해각천애) :
줄은 끊어져 세상 끝으로 날아가고
收 又 收 不 下 (수우수불하) :
잡으려 해도 잡을 수 없고
见 又 不 见 他 ( 견우불견타 ) :
보려 해도 볼 수가 없네.
知 他 流 落 在 谁 家 (지타유락재수가) :
그가 어느 곳에서 떠돌고 있는지 알 수 없네.
丝 (絲) | 纶 (綸) | 长 (長) | 线 (綫) | 寄 | 生 | 涯 | |
실 사 | 벼리 륜 | 길 장 | 실 선 | 부칠 기 | 날 생 | 물가 애 | |
纵 (縱) | 放 | 由 | 手 | 内 | 把 | ||
세로 종 | 놓을 방 | 말미암을 유 | 손 수 | 안 내 | 잡을 파 | ||
纸 (紙) | 糊 | 披 | 就 | 里 | 没 | 牽 | 挂 |
종이 지 | 풀 호 | 헤칠 피 | 나아갈 취 | 마을 리 | 빠질 몰 | 끌 견 | 걸 괘 |
被 | 狂 | 风 (風) | 一 | 任 | 刮 | ||
이불 피 | 미칠 광 | 바람 풍 | 한 일 | 맡길 임 | 깎을 괄 | ||
线 (綫) | 断 (斷) | 在 | 海 | 角 | 天 | 涯 | |
실 선 | 끊을 단 | 있을 재 | 바다 해 | 뿔 각 | 하늘 천 | 물가 애 | |
收 | 又 | 收 | 不 | 下 | |||
거둘 수 | 또 우 | 걷을 수 | 아닐 불 | 아래 하 | |||
见 (見) | 又 | 不 | 见 (見) | 他 | |||
볼 견 | 또 우 | 아닐 불 | 볼 견 | 다를 타 | |||
知 | 他 | 流 | 落 | 在 | 谁 (誰) | 家 | |
알 지 | 다를 타 | 흐를 류 | 떨어질 락 | 있을 재 | 누굿 수 | 집 가 |
728x90
반응형